Skip to menu

AE NEWSLETTER

NEWSLETTER (16'~)

25호 항공우주공학과 News

AE News 2017.07.02 19:32 Views : 1014

NEWS


 

 

 

우리과 졸업생 이상욱 박사, 호남대 미래자동차공학부 신임교수로 임용

이상욱 박사는 우리 학과에서 2000년 2월에 권장혁 교수님의 지도하에 석사학위를, 2006년 2월에 권오준 교수님의 지도하에 공력 최적설계 관련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르노삼성자동차에서 공기역학 분야의 테크니컬 리더 및 열/유체/연비 섹션을 담당하였으며, 2017년 3월 호남대학교 미래 자동차 공학부 신임교수로 임용되었다. 이상욱 박사는 전산 유체 역학과 형상최적설계 분야를 전공하고 차량의 공력 성능 개발 연구를 수행하여 왔다.

 

1.png

 

mainbotton.png

 

 

 

이덕주 교수, 제 32회 21세기 대상 기술부문 수상

이덕주 교수가 4월 13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32회 21세기 대상 시상식’에서 기술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21세기 경영인클럽/신산업경영원(이수성 시상위원장)은 새로운 산업과 기술 등을 주도하며 국내 경제, 산업 발전에 기여한 인사를 대상으로 이 상을 수여한다. 이덕주 교수는 국가 회전익 사업인 한국형 기동형 헬기 수리온 개발과 LCH/LAH 경민수/경공격헬기 사업 등 헬리콥터 산업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았다. 이 교수는 우리 대학에서 박사 26명과 석사 27명을 배출했고, 제1회 아시아/호주 회전익 포럼 및 전시에서 대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미국헬리콥터학회(AHS) 부회장, 한국 드론 산업 진흥협회 부회장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최근 교육부가 주관하는 K-MOOC(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를 통해 ‘헬리콥터 비행의 이해’의 주제로 강의를 했으며, 세계적 인터넷 강좌인 코세라(Coursera)에서의 강의, 전인교육학회 회장으로 활동하는 등 다양한 교육에도 힘을 쏟고 있다.

 

2.jpg

 

mainbotton.png

 

 

 

방효충 교수 연구실, QB50 큐브셋 LINK(KR01) 관련 OA-7(CRS-7) 발사 및 궤도진입, 비콘신호 수신 성공

우우리학과 항공우주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지도교수 방효충)의 KR01팀이 QB5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한 큐브셋 LINK를 실은 Atlas-V 발사체(OA-7)가 4월 18일 오전 11시 11분(미 동부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발사체와 분리된 Cygnus 모듈은 국제우주정거장과 도킹 후, 한국시각으로 5월 18일 오전 10시(GMT 01:00)에 발사장치로부터 사출되어 궤도에 진입하였으며, 5월 18일 오후 11시 5분(GMT 14:05) 큐브셋 LINK의 비콘신호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 약 3달 동안 QB5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저궤도 지구대기 관측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며, 임무 탑재체로는 이온/중성자 질량 분광기와 랑뮈어 탐침을 탑재하고 있다.

 

3.jpg

 

mainbotton.png

 

 

 

심현철 교수 연구실, ‘유레카 터보’ 임시운행허가증 획득

KAIST에서 개발한 자율주행차가 실제 도로에서 시험 운행을 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다. 심현철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연구팀이 개발한 자율주행차 ‘유레카 터보(EureCar Turbo)’가 국토교통부 ‘임시운행허가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유레카 터보는 올 1월 19일부터 5년간 실제 교통상황에서 도로 주행이 가능하며, 허가를 받기 위해 자율주행차의 안전운행요건을 충족시켰다. 안전운행요건은, 자율주행 중이더라도 운전자가 핸들이나 브레이크 등을 조작하면 자율주행 기능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운전자우선모드’, 주요 장치의 고장을 자동으로 감지해 경고하는 ‘고장 자동감지 기능’, 충돌 위험 시 자동 제동하는 ‘전방출돌방지 기능’ 등이다. 또한, 사고를 막기 위해 운행기록장치, 영상기록장치, 자율주행차 시험운행 표식을 차량에 부착했다. 특히 자율주행차 기술의 실용성이나 성능보다 ‘안전성’과 관련된 기술이 필요했다. 심 교수는 “우리는 주로 기술적인 문제를 다뤘기 때문에 이 관문을 통과하기는 쉽지 않았지만, 이 기회를 통해 자율주행차의 성능뿐 아니라 안전성까지 갖추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올 4-6월에는 실 도로 주행상황 데이터 획들을 위한 주행시험을, 6-9월에는 KAIST 본원-문지 캠퍼스 실 도로 자율주행을, 9-12월에는 대전 외곽도로(대전-세종) 자율주행을 수행할 계획이다. 2018년 이후에는 운전자 없이 목적지까지 운행‧주차 등 모든 기능이 완전 자동화된 ‘5단계 자율주행차량’을 개발할 예정이다. 2018년 계획은 ▲고속도로 진입‧주행‧진출 실험 ▲사전 작성 지도 없이 자율주행 수행하는 기술 개발 ▲본교-문지 캠퍼스-화암 기숙사 셔틀버스 무인화 기술 개발‧실험 등이다.

 

4.jpg

 

mainbotton.png

 

 

 

심현철 교수, KAIST ‘Dinner와 4.0’ (제 4차 산업혁명) 정책토론회 강연자로 선정

심현철 교수가 제 4차 산업혁명 정책토론회 강연자로 선정되었다. 우리대학은 4차 산업혁명이란 시대적 흐름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대한민국 발전을 위한 국가적인 차원의 중장기적 전략과 비전·정책수립 및 제도개선 등이 시급하다고 인식하고 이를 위해 우선 기획재정부 등 정부세종청사와 중소기업청 등 정부대전청사 공무원과 대전시 공무원, 그리고 대덕연구단지 출연 연구원 및 유관기관 종사자, 신성철 총장 등 학내 전문가그룹이 함께 참여하는 정책토론회를 5월부터 갖기로 했다. ‘Dinner와 4.0’이란 주제(부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한 정책토론)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미래 기술은 물론 정책·제도 등 여러 분야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통해 정부의 국가적 전략과 비전 및 정책수립 등을 지원하고, 유관기관 간 상호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5월 11일 열리는 첫 토론회에서는 신성철 총장이 ‘4차 산업혁명, KAIST의 도전과 혁신’이란 주제로 발표를 하고, 심현철 교수는 8월 3일(목) ‘4차 산업혁명과 무인 이동체 기술’ 주제로 발표한다. 토론회는 전문가그룹인 교수들이 매회 마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KAIST의 물리·디지털·바이오 기술융합 등 신기술과 관련한 주제로 30분씩 발표를 하고 이어 참가자간 자유로운 토론으로 진행하는 심층토론과 사회자가 심층토론 결과를 정리 및 보고하며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 종합토론 방식으로 진행된다. 우리대학은 이 정책토론회를 통해 앞으로 다가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여 우리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미리 살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5.jpg

 

mainbotton.png

 

 

 

제 13회 KAIST 조정훈 학술상에 미국 버클리대 Zi Jing Wong 박사

‘제13회 KAIST 조정훈 학술상’ 수상자로 미국 UC 버클리大 웡 지징(Wong, Zi Jing) 박사가 선정됐다. 웡 박사는 광학 메타물질 분야에서 Zero 굴절율 구현, 굴절율의 조작, 3D 투명 망토 구현 등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우수한 연구업적과 함께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과학저널인 사이언스(Science)와 네이처 포토닉스(Nature Photonics)에 각각 3편과 2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웡 박사는 이와 함께 미국 재료연구학회가 주는 최우수 대학원생 연구상(MRS Graduate Student Award-Gold medal) 등 국제적으로 저명한 다수의 학회로부터 베스트 논문상을 수상했다. 우리대학은 웡 박사 외에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김현탁씨를 비롯, 고려대 기계공학과 석·박사 통합과정 박호성, 공주사대부고 최형진 등 학생 3명을 장학생으로 선발하고 이들에게 12일 오전 본관 1층 대회의실에서 신성철 총장이 직접 장학금을 전달했다.

 

6.jpg

 

mainbotton.png

 

 

 

항공우주공학과, 연구실 안전관리부문 우수상

항공우주공학과가 연구실 안전관리 부문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2017년 5월 12일 KI 빌딩 fusion hall에서 열린 ‘제 4회 연구실 안전의 날 행사’에서 항공우주공학과는 연구실 안전관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연구실 안전관리 부문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7.jpg

 

mainbotton.png

 

 

 

NASA Ames 연구원 방문

NASA Ames 연구원 Yoon C. Jung 등 3명이 학과를 방문하였다. NASA Ames 연구원은 현재 NASA Ames Research Center 에서 Aerospace High-Density Operations Research Branch의 Aerospace Engineer로 소속되어 있으며, 학과 교수님 면담 및 연구실 투어를 통하여 연구 관련 교류를 진행하였다

 

8.jpg

 

mainbotton.png

 

 

 

독일항공우주센터(DLR) 및 독일 항공우주분야 기자단 방문

독일항공우주센터(DLR) 및 독일 항공우주분야 기자단이 학과를 방문하였다. 5/17 (수) 본관 제 1회의실에서 학과 및 학교 소개를 통해 학과 홍보 및 현재 진행중인 연구 등을 소개하였으며, 오찬 후 인공위성센터 등을 방문하여 학교 투어도 진행하였다

 

9.jpg

 

mainbotton.png

 

 

 

17-2회 실무능력향상프로그램 수여식

항공우주공학과에서 2017-2회 실무능력향상 프로그램을 가졌다. 5/17 ~ 5/25 기간에 1316호 세미나실에서 ‘무인기 시스템 이론 교육 및 기체 제작’ 교육을 진행하였다. 9명의 인원이 수강하였으며, 교육 기간 동안 총 5회의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10.jpg

 

mainbotton.png

 

 

 

이정률 교수, 2016 KAIST R&D 10선 수상

이정률 교수 연구팀이 2016년 KAIST 대표 연구 우수성과 10선에 선정되어 2017년 5월 23일 Research Day를 맞이하여 수상하였다. 연구과제명은 “이동식 펄스 에코 레이저 초음파전파영상화 시스템 개발”로 개발된 장비는 공군에 2016년 12월에 납품되었고, 공군은 CN235 수송기에 실 적용 중에 있다.

 

11.jpg

 

mainbotton.png

 

 

 

KAIST 연합팀, NASA 우주임무설계대회에서 “유인 달탐사미션 지원시스템” 부문 Best in Theme Award 수상

2002년부터 NASA가 개최해 온 혁신적 우주임무 설계대회인 RASCAL(Revolutionary Aerospace Systems Concepts-Academic Linkage)에서 우리 학과 팀(고재열, 서종은, 이은광, 이주성, 최석민, 지도교수: 안재명)이 호주 RMIT, 미국 TTU와 연합팀으로 참가해 “유인 달 탐사 미션용 물자 수송을 위한 시스템 및 수송 계획” 부문 Best in Theme Award를 수상하였다. 미국 플로리다에서 열린 최종발표회에는 많은 참가 희망팀 중 1차/2차 심사를 통과한 Finalist 14개 팀이 참가하였다. KAIST팀은 두 종류 모듈 구성과, 복수 출발 궤도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시스템 운영상의 유연성을 극대화시킨 설계를 수행, 처음 출전한 대회에서 국내 최초 수상의 결과를 만들어 냈다.

 

12.jpg

 

mainbotton.png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신임교수 Zi Jing Wong

Zi Jing Wong 박사는 2005년 UTM 대학교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2008년 2월에 우리 학과에서 김천곤 교수의 지도하에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15년 UC Berkeley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UC Berkeley에서 박사 후 과정을 하고 있으며 Peking University, University of Cambridge,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에서 Research Assistant 등을 수행하였다. Zi Jing Wong 박사는 Realized the first monolayer excitonic laser based on 2D transition metal chalcogenide materials WS2, Developed a metamaterial-based ultrathin invisibility cloak 등의 연구를 수행해 왔다.

 

13.png

 

mainbotton.png

 

 

 

최한림 교수, AIAA JAIS Associate Editor 선정

최한림 교수는 그 동안의 자율화, 분산 의사결정 분야의 학술 업적과 기여를 인정받아 2017년 5월 AIAA Journal of Aerospace Information Systems (JAIS)의 Associate Editor에 선정되었다. JAIS는 정보 시스템, 자율화, 통신, AI 등 새로운 항공우주 분야에 특성화된 미국항공우주학회(AIAA) 발간 학술지이다.

 

14.jpg

 

mainbotton.png

 

 

 

KAIST 신성철 총장님, 항공우주공학과 방문

우리학교 신성철 총장님이 항공우주공학과를 방문하였다. 6/7(수) 4층 대회의실에서 총장님 및 관계부처 보직자 분들이 오셨으며, 10시 10분부터 약 30분간 학과장님의 학과 브리핑 후 총장님 및 보직자의 의견제시를 통해 학과 발전에 대하여 의논하였다.

 

15.png

 

mainbotton.png

 

 

 

미국 Boeing R&T Structure Technology Director 및 관계자 방문

미국 Boeing R&T Structure Technology Director 및 관계자 5명이 학과를 방문하였다. 6/21(수) 10:00 ~ 15:00까지 연구실 투어 및 Boeing Aerospace Structures 관련 세미나 등을 통해 연구 교류 및 정보 교환을 진행하였다.

 

16.jpg

 

mainbotton.png

 

 

 

학과사무실 김민선 선생님, 이달의 직원상 수상

학과사무실 김민선 선생님이 학교 이달의 직원상 수상을 하였다. 이달의 직원상은 평소 성실하고 근면한 자세로 맡은 바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는 분에게 수여되는 상이며, 표창장과 기념패가 수여되었다.

 

17.jpg

 

mainbotton.png

 

 

 

김상현 박사과정, 이선호 석사과정, 육군 제1회 창의적 아이디어 공모전 육군 참모총장상(장려상) 수상

정보 및 제어시스템 연구실의 박사과정 김상현 학생과 석사과정 이선호 소령은 육군이 주최한 제1회 창의적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참모총장상(장려상)을 수상하였다. 수상팀 중 민간인이 포함된 팀은 KAIST팀이 유일하다. 수상 일시 및 장소: 2017년 6월 22일 / 육군본부 대회의실 주제: 딥러닝 기반 자율인식 UAV를 활용한 정찰/감시체계 개선.

 

18.jpg

 

mainbotton.png

 

 

 

KAI-KAIST 항공우주공학과 기술교류회

6/26(월) KAI-KAIST 항공우주공학과 기술교류회가 진행되었다. KAI 정성섭 부사장 외 임원 15명과 KAIST 항공우주공학과 한재흥 학과장 외 12명이 참석한 이번 기술교류회에서 항공분야에 대한 기술토의 및 현장견학을 통해 서로간의 연구 교류를 진행하였다.

 

19.jpg

 

mainbotton.png

 

 

편집         현종민[jmhyun08@kaist.ac.kr]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