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주요 뉴스
한재흥 교수, 미국기계학회 최우수 논문상 및 한국소음진동공학회 학술상 수상
우리학과 한재흥 교수 연구팀이 미국기계학회(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SME)의 Journal of Mechanical Design에서 2023년도 최우수 논문상(Best paper award)을 수상했다.
한재흥 교수 연구팀의 졸업생 김태현 박사(주 저자)와 박사과정 장건익 학생 및 학과 이대영 교수(공동 저자) 연구진은 최근 항공우주 등 다양한 기계설계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폴더블(Foldable) 구조 설계 시, 균일한 두께의 패널을 적용하면서도 구멍이나 빈 공간 없이 펼쳐진 상태의 유효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설계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Journal of Mechanical Design의 최고 우수 논문상 (Best paper award)은 매년 그 전 해 실린 모든 논문을 대상으로 편집위원회의 엄격한 평가 기준에 따라 오랜 심사를 거쳐 매년 1편에서 2편이 선정된다. 한재흥 교수팀의 논문은 2023년도에 출판된 150여 편의 논문 중에서 기계설계(Machine design) 분야의 최고 우수 논문으로 선정되었으며, 국내 기관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로 본 상을 수상한 것은 이번이 최초이다.
논문 제목: A Thickness-Accommodating Method for Void-Free Design in Uniformly Thick Origami
우리 학과 한재흥 교수가 2024년 한국소음진동공학회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한 교수는 항공우주 시스템의 진동 해석 및 제어 관련 연구를 수행하며 해당 학문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며, 시상식은 10월 24일 강원도 정선에서 열린 학회 정기총회에서 진행되었다.
한재흥 교수는 그동안 공력 유발 진동의 해석 및 제어, 위성체의 미소 진동 원인 규명 및 절연, 발사체의 연성 하중 해석 등의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개발되는 디양한 항공우주 체계 개발에 기여해 왔다.
김준수 박사과정, DASC 2024 최우수논문상 수상
우리 학과 위성항법시스템 연구실 (지도교수: 이지윤)의 김준수 박사과정은 43rd Digital Avionics Systems Conference (DASC) 학회에서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Minimum Separation Boundary for UAM Tactical Deconfliction based on Avoidance Risk Ratio Model
이정률 교수, 한국복합재료학회 학술상 수상
우리 학과 이정률 교수가 2024년 한국복합재료학회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이정률 교수는 복합재료의 비파괴 검사, 전파흡수구조 설계, 복합재 구조 결함 진단 및 모니터링 관련 연구를 수행하며 해당 학문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며, 시상식은 11월 14일 부산에서 열리는 추계 학술대회에서 진행 되었다.
이정률 교수는 그동안 로봇 기반 복합재 결함 검사 기술 개발, 전파흡수구조의 전자기 성능 평가, 3D 프린팅 복합재 구조 결함 탐지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개발되는 복합재료 기술 및 응용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여 왔다.
이대영 교수, 강경지 박사과정,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 기술상 수상
우리 학과 이대영 교수 및 강경지 박사과정은 2024 기계의 날 행사에서 한국기계기술단체총연합회가 선정하는 2024 대한민국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상을 수상하였다.
수상을 한 “130g의 무게로 100kg 이상의 물체를 들 수 있는 직조 그리퍼” 기술은 KIST 송가혜 박사팀과 공동 개발한 기술로, 유연하고 가벼운 플라스틱 띠를 나선 직조(Spiral Weaving)라 명명한 독자 개발 기하 구조로 엮어 로봇 그리퍼를 구현하는 기술이다.
기존 그리퍼에 비해 수십배 이상의 파지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구동기로 다양한 물체의 포획이 가능하고, 단순한 구조로 고장이나 오염에 대해서도 강인한, 높은 실용성을 가지는 그리퍼 기술이다.
해당 성과는 Nature Communications 23년 10월호에 게재되었고 뉴로메카에 기술이전 되었으며, KAIST 인공위성연구소 능동제어위성 개발 과제에 채택되어 2027년 우주 임무를 준비 중에 있다.
추이은 학사과정, 2024 미래 항공우주 학술대회 대상 (국방부 장관상) 수상
우리 학과 추이은 학사과정 학생이 2024 미래 항공우주 학술대회 대상(국방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학생은 우리 학과 스마트 구조 및 하드웨어 시스템 연구실 (SSHS Lab)에서 한재흥 교수의 지도 아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성과를 2024 미래 항공우주 학술대회에서 발표함으로써 위와 같은 성과를 거두었다. 또 학생은 부상으로 받은 상금 중 일부인 2백만원을 학과 발전기금으로 기부하였다.
연구 주제: 비대칭 변형 유연관절구조의 개발과 조류모방형 오니솝터에서의 적용
이상봉 교수 연구실, 슈퍼컴퓨팅 가시화 경진대회 수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주관 제 1회 슈퍼컴퓨팅 가시화 경진대회에서 우리 학과 이상봉 교수 연구실이 최우수상 및 우수상,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최우수상은 우리 학과 강유주 박사과정과 이상봉 부교수가 수상하였으며, 출품작은 “충격파-난류경계층 상호작용의 직접수치모사”이다. 연구실 자체 개발 코드를 활용하여 KISTI 누리온 5호기 225노드, 15,300 코어를 활용하여 720시간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영상이 제작되었다.
우수상은 우리 학과 이상봉 교수, 이예담, 김혜빈 박사과정과 이동현, 김용재, 양병헌 석사과정이 수상하였다. 출품작은 “UAM 도심 비행 시뮬레이션 가시화”이며, 도심 유동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드론의 6-자유도 모델과 결합하여 도심의 기상이 비행체에 미치는 영향을 가시화한 영상이 제작되었다.
장려상은 우리 학과 박준범 석사, 권태연 석사과정, 이상봉 부교수가 수상하였다. 출품작은 “전진비행 상황에서의 UH-60 동체 및 주로터 공력해석 시뮬레이션”이며, Actuator Line Method, Immersed Boundary Method를 활용한 UH-60 헬리콥터의 공력해석 결과를 Q-criterion으로 가시화하였다.
삼성중공업 박성종 시니어 엔지니어, 9월의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024년 9월 수상자로 삼성중공업(주) 박성종 시니어 엔지니어가 선정됐다.
박성종 엔지니어는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이인 교수님의 제자로, 2002년 학사와 2004년 석사과정을 마치고 KAIST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하였다.
박성종 시니어 엔지니어는 성능 향상 소음기 제품군을 구축하여 성능을 기존 대비 30~50% 향상시켰으며, 영하 52 °C의 극저온 또는 600 °C 이상의 초고온 환경에서도 작동 가능한 첨단기술 소음기를 국산화했다.
KAIST AE - Quebec Aerospace Delegation Visit Workshop 개최
10월 28일(월), KAIST 항공우주공학과는 캐나다 퀘벡 항공우주 사절단과의 "KAIST AE - Quebec Aerospace Delegation Visit Workshop"을 열어, 한국 항공우주 R&D 생태계와 지속 가능한 항공 모빌리티,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분야에서의 국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정률 학과장과 이상봉 교수, CRIAQ의 Guillaume Cote CEO, 대전시 우주산업팀 최봉석 팀장 등 관계자 총 12명이 참석했다.
워크샵의 주요 논의는 한국 항공우주 R&D 생태계 이해, 지속 가능한 항공 모빌리티와 UAM 분야에서의 국제 연구 및 산학 협력, 학생 교류와 연구 인턴십 활성화, 워크숍/학술대회 등의 추가 협력 방안에 초점을 맞췄다.
이번 워크샵은 한국 항공우주 연구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공동 연구를 통해 혁신적 성과를 창출하는 데 의미가 있다.
선기영 박사과정, ION GNSS+ 2024 우수논문상 수상
우리 학과 위성항법시스템 연구실 (지도교수: 이지윤)의 선기영 박사과정은 2024년 9월 미국 메릴랜드 볼티모어에서 열린 ION (Institute of Navigation) GNSS+ 2024 학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Impact of Phase Transitions due to Ionospheric Scintillation on GBAS Integrity
2024학년도 하반기 학부생 창의체험학습 성황리 개최
2024학년도 하반기 창의체험학습이 지난 10.25-26일 성황리에 마무리 되었다.
25일에는 KAI를 방문하여 항공기와 위성의 개발, 제작, 실험 환경을 직접 보고, 현장에 있는 선배들과 만나 궁금한점을 물어보며 항공우주공학도로서의 실무 지식을 쌓는 기회를 가졌다. 25일 밤에는 학생들간 친목을 다질 수 있도록 학생회에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26일에는 사천 에어쇼에 참석하여 항공 우주 분야 사업체 부스 방문, 에어쇼 관람 등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이창훈 학사주임 교수는 “항공우주공학과는 학생들이 진로를 탐색하는데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전공을 체험할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을 참여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라며 학부생들의 꿈을 지지했다.
항공우주연구원 허문범 KPS개발사업본부장, 항공우주공학과 정기세미나 개최
2024년 11월 5일(화), 2024학년도 가을학기 항공우주공학과 제 3회 정기세미나가 개최되었다. 본 세미나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허문범 KPS개발사업본부장이 연사로 초청되었다.
허문범 본부장은 “위성항법 소개 및 국내 위성항법 개발 현황” 이라는 제목의 강연을 진행하였고, 본 강연을 통해 위성항법의 원리와 세계의 위성항법 시스템 개발 현황에 대해 강연하였다. 학과에서는 강연에 대한 감사 의미로 감사패를 전달하였다.
Mohammed Irfan Rashed 박사과정, AIAA/CEAS Aeroacoustics 2024, ICAS 2024, IAC 2024 12명의 후보자로 선정
우리 학과 Mohammed Irfan Rashed 박사과정이 AIAA/CEAS Aeroacoustics 2024, ICAS 2024, IAC 2024의 참가자 중 12명을 선발하는 후보자 중 한명으로 선발되었다.
콜로라도 대학교의 특훈교수 Daniel Jay Scheeres, 항공우주공학과 정기세미나 개최
2024년 11월 12일(화), 2024학년도 가을학기 항공우주공학과 제 4회 정기세미나가 개최되었다. 본 세미나에서는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의 특훈교수 Daniel Jay Scheeres가 연사로 초청되었다.
Scheeres 교수는 “The Mechanics of Exploring Asteroid Systems” 라는 제목의 강연을 진행하였고, 소행성 탐사의 중요성과 다양한 탐사선을 통한 연구 방법에 대해 강연하였다. 학과에서는 강연에 대한 감사 의미로 감사패를 전달하였다.
이창훈 교수, 권욱현 젊은 연구자 논문상 수상
우리학과 이창훈 교수(비행역학 및 제어 연구실)가 제어로봇시스템학회가 수여하는 “권욱현 젊은 연구자 논문상"을 수상했다.
“권욱현 젊은 연구자 논문상"은 만 40세 이하 젊은 연구자 가운데 우수한 연구 성과를 거둔 자를 선정하여 제어로봇시스템학회에서 매년 1명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이창훈 교수는 정밀 유도 제어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인정 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2024학년도 항공우주공학과 학과설명회 성황리 개최
2024년 11월 18일, 항공우주공학과 학과설명회가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이번 학과설명회는 새내기 과정생들이 항공우주공학과의 연구와 전망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얻어 갈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소행성계의 권위자로 알려진 Prof. Daniel J. Scheeres의 특별 스피치는 학생들이 항공우주공학의 미래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님들의 랩 소개 프로그램은 학부생에 대한 교수님들의 애정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 되어 학생들의 열렬한 환호를 받았다.
학과설명회에 참석한 학생은 “최근 경험한 학과설명회 중 가장 재미있고, 유익했던 학과설명회였다며 항공우주공학과에 꼭 진입하여 내년에 항공우주공학과 학생이 되겠다”는 소감을 밝혔고, 이정률 학과장은 "항공우주공학과는 앞으로 더욱 높이 성장할 학과로, 많은 학생들이 이곳에서 꿈을 키우며 미래의 인재로 성장하길 바란다"며 새내기과정 학부생들을 격려하였다.
국방과학기술연구소 오우섭 항공기술연구원장, 항공우주공학과 정기세미나 개최
2024년 11월 19일(화), 2024학년도 가을학기 항공우주공학과 제 5회 정기세미나가 개최되었다. 본 세미나에서는 국방과학기술연구소의 오우섭 항공기술연구원장이 연사로 초청되었다.
오우섭 항공기술연구원장은 “군용 무인항공체계 기술발전방향” 이라는 제목의 강연을 진행하였고, 본 강연을 통해 무인항공기와 인공위성 기술의 발전 과정과 발전 방향을 군사적 관점에서 분석한 내용에 대해 강연하였다. 학과에서는 강연에 대한 감사 의미로 감사패를 전달하였다.
한재흥 교수, 한국항공우주학회 특별공로상 수상
우리 학과 한재흥 교수가 2024년 한국항공우주학회에서 학회의 영문학술지 IJASS의 Q2진입에 기여한 업적으로 특별공로상을 수상하였다.
한재흥 교수는 IJASS 초창기부터 편집위원으로 활동하였고, 현재는 Vice Editor-in-Chief로 IJASS의 위상을 높히는 데 기여하고 있다.
양현호 박사과정, 2024년 항공우주학회 춘계학술대회 우수논문발표상 수상
우리 학과 스마트 구조 및 하드웨어 시스템 연구실 (지도교수: 한재흥)의 양현호 박사과정 학생이 2024년 4월에 개최된 한국항공우주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은 “조류모방형 오니솝터의 전진 비행 동역학 시뮬레이션“ 이다.
KAIST AE - 1랩 1봉사 [L.O.V.E] 프로그램 (KNGPDL 비평형 기체 플라즈마 연구실)
2024년 11월 22일 우리학과 비평형 기체 플라즈마 연구실(지도교수 : 전은지)은 유성구청의 심폐소생술교육센터에 방문하여 1랩 1봉사 프로그램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에 참여하였다.
교육 과정에서 인형을 활용해 가슴압박법을 실습하고 자동심장충격기(AED)의 사용법을 익히는 시간을 가졌다. 교육을 통해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을 깨닫고, 생명을 살리는 활동에 동참하기를 다짐하는 시간을 가졌다.
SSHS & ARML 연구실, 1랩 1봉사 (L.O.V.E) 프로그램 참여
우리 학과 스마트 구조 및 시스템 설계 연구실 (지도교수: 한재흥)과 항공우주 로보틱스 및 메커니즘 연구실 (지도교수: 이대영)이 함께 2024년 11월 22일, 대전 죽동초등학교를 방문하여 1랩 1봉사 프로그램으로 교육 봉사를 수행하였다.
"비행기가 안정적으로 하늘을 나는 원리", "종이접기, 로봇, 우주" 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공학에 대한 흥미를 일깨우는 소중한 경험을 전달하였다.
장재희 박사과정, 2024년 항법시스템학회 정기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수상
우리 학과 위성항법시스템 연구실 (지도교수: 이지윤)의 장재희 박사과정은 11월 6일부터 8일까지 진행된 항법시스템학회 주관의 2024년 항법시스템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광선 추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GNSS-RO 총전자량의 잔여 굴절 오차 분석
이지윤 교수, KSAS-금곡 젊은연구자상 수상
우리 학과 이지윤 교수는 지난 11월 14일에 개최된 한국항공우주학회 정기총회에서 KSAS-금곡 젊은연구자상을 수상하였다.
이지윤 교수는 지능형 항공교통시스템 및 자율 무인시스템을 위한 혁신적인 항법 기술 연구를 주도하고, 특히 항법 무결성 아키텍처 설계 기술분야의 훌륭한 연구성과로 우리나라 항공우주 유도제어 분야 학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 상을 수상하였다.
이동우 박사과정, 2024년 항공우주시스템 공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발표 논문상 수상
우리 학과 항공우주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지도교수 : 방효충)의 이동우, 김영재 박사과정은 10월 16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된 2024년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우수발표 논문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SINDy를 이용한 쿼드로터의 데이터 기반의 모델 예측 제어 기법 연구
김현정 교수, Prof. Juejun Hu (MIT)팀과 Advanced Optical Materials (IF:18.8 ) 논문 발표
우리학과 김현정 교수가 부임 후 첫 저널을 Advanced Optical Materials (IF: 18.8)에 출판하였다.
Chalcogenide 상변화물질은 programmable photonics, optical computing, active metasurface등의 응용성으로 인해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지만, 아직까지 내구성과 life cycling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 분야이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 김현정 교수와 MIT Juejun Hu 교수팀은 GeSbSeTe (GSST)를 이용 on-chip photonic devices를 제작해서, electrothermal switching configuration 에 따른 cycling 고장 메커니즘을 설명할 수 있는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실패 메커니즘에 대한 통찰 (KARA TEM 분석팀, 배형빈과 이태우 선생님)을 바탕으로 한 일련의 설계 규칙이 제안되었으며, 이를 성공적으로 구현하여 GSST 장치의 내구성을 67,000 사이클 이상으로 향상시켰다.
김현정 교수는 NASA 근무하던 2017년부터 MIT 팀과 공동연구를 꾸준히 진행해 오고 있으며 2021년부터 상기 논문의 제1 저자인 Mr. Cosmin Constantin Popescu의 co-advisor이며 MIT visitor scholar이다.
KAIST 항공우주공학과 2024 미래 항공우주 학술대회 수상
우리 학과 학생들이 2024 미래 항공우주 학술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윤이습 학사과정 학생은 항공우주 로보틱스 및 메커니즘 연구실 (ARML)에서 이대영 교수님의 지도 아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성과를 발표해 한화에어로스페셜 특별상을 수상하였다.
유재민 석사과정 학생은 **광전로보틱스 연구실 (OERL)**에서 이정률 교수님의 지도 아래 ‘완전도체 (PEC) 블레이드 모델의 레이더 반사 면적 측정 및 특성 분석’을 발표하여 대학원생 분과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또한, 같은 광전로보틱스 연구실 소속 홍정완 석사과정 학생은 '항공기 고압 압축기 블레이드 시각 검사의 인공지능 기반 실시간 자동 손상 진단 연구'를 발표하여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박태윤 석사과정 학생은 **항공우주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 (ASCL)**에서 방효충 교수님의 지도를 받아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성과를 발표해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김현정 교수 2024 MRS Fall Meeting 초청 강연 (“Reconfigurable metasurface optics for space sensing”) & 2025 학회에도 초청강연 초대!
우리학과 김현정 교수가 2024 MRS (Materials Research Society) Fall Meeting에서 invited talk을 하였다.
발표제목은 “Reconfigurable metasurface optics enabling space image sensing” 이다.
Reconfigurable 광학 메타서피스 (metasurface)는 광자 연구, 개발 및 응용의 주요 분야로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metasurface는 필요에 따라 dynamically-define 하는 기능과 컴팩트하고 경량이면서도 에너지 효율적 성능을 보이고, 재구성 가능한 광학 시스템을 가능하게한다.
우주 응용에 있어서, 이러한 reconfigurable 광학 메타서피스 (metasurface optics/ photonics)는 중요한 소자로 여겨진다. 특히, 칼코겐화물 기반의 위상 변화 재료(PCM)는 비휘발성과 아날로그 스위칭 특성 덕분에 reconfigurable metasurface 분야의 신소재로 여겨진다.
김현정 교수는 MIT Juejun Hu 교수와 2017년부터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metasurface 광학 소자 (광학 필터, 렌즈, spectrometer)를 학계에 처음으로 소개함으로써, 그 공을 인정받아왔다.
특히, 2022년과 2025년 두 차례에 걸쳐서 본 소재를 우주정거장에 보내서 우주환경 성능 및 안정성 평가를 진행한다 (2025 실험 계획 수립).
PCM 샘플은 저지구 궤도(LEO) 환경의 극한 조건에 재료를 노출시키기 위해 국제 우주 정거장(ISS) 외부에 배치되었으며, 우주에서 에서 후보 PCM의 우주 생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https://spaceborne-pcms.github.io/).
MISSE (Materials International Space Station Experiment) 결과 및 김현정 교수의 reconfigurable metasurface 연구는 2020년 이후 20회 이상의 invited talk을 했으며, Nature Photonics (2023) 및 npj Microgravity (2024) 에도 결과를 발표하였다.
원글 오채윤[codbs2978@kaist.ac.kr]
편집 이승찬[aero_sc@kaist.ac.kr]
Comment 0
- Total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
No. | Subject |
---|---|
Notice | 자유기고 모집 |
Notice | Fund Raising |
344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43 |
신규 사업 소개 (복합 화학반응을 포함한 극초음속 다원자 혼합물 유동의 입자기반 해석기법 개발)
![]() |
342 |
연구실 탐방 (전기추진 및 이온빔 응용 연구실 연구실)
![]() |
341 |
연구실 탐방 (Space Testing And Research 연구실)
![]() |
340 |
학부생 소식 (2025 봄 해피아워 개최)
![]() |
339 |
특집 인터뷰 (이동호 교수)
![]() |
338 |
동문 인터뷰 (Caltech 연구원 서종은 박사)
![]() |
337 |
Research Highlight (이상봉 교수)
![]() |
336 |
항공우주 이야기 (민간 무인 탐사선 블루 고스트 달 착륙)
![]() |
335 |
Photo Album
![]() |
»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33 |
연구실 탐방 (익스트림역학 및 멀티피직스 연구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