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주요 뉴스
제21회 KAIST 조정훈 학술상 수여식 개최
2025년 5월 13일 오전 11시 행정본관 제1회의실에서 ‘제21회 KAIST 조정훈 학술상’ 시상식을 개최하였으며, 본 학술상 수상자로 선정된 국방과학연구소 이연관 선임 연구원, 이외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이동우 박사과정,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박선우, 공주사대부고 김강민 학생 3명에게 장학금을 전달했다.
본 행사에는 이광형 총장, 권세진 위원장, 박정주 부위원장, 이정률학과장, 유족 부친이신 조동길 교수 및 제18회 수상자인 KAIST 신효상 교수가 본 행사에 참석하여 자리를 빛내주었다.
우주 서비스 및 제조 연구센터 IRC사업 선정(한재흥 교수 센터장, 10년간 총 700억 여원의 연구비 지원)
우리 학과가 주축이된 '우주 서비스 및 제조 연구센터'가 국가전략기술 분야 대형 융복합 연구그룹 지원을 목표로 하는 혁신연구센터(IRC)에 14대 1의 걍쟁을 뚫고 선정되었다. 한재흥 교수가 이끄는 '우주 서비스 및 제조 연구센터'는 10년간 총 500억원의 국비지원을 받으며, 그 외 지자체, 교비, 참여기업지원비를 포함하면 전체 연구비는 700억원에 이른다.
본 센터에서는 우주 서비스 및 제조 핵심기술, 소형 무인 우주정거장 플랫폼 구현 등이 주요 목표다. 센터 연구 공간은 메타융함관I 7층에 조성될 예정이다.
KAIST 항공우주공학과 Space-K BIG 프로젝트 선정
KAIST 항공우주공학과의 "미래 우주탐사 핵심기술 연구센터(연구책임자: 방효충 교수")가 우주항공청의 Space-K BIG 프로젝트에 선정되어, 향후 5년간 약 60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되었다.
미래 우주탐사 핵심기술 연구센터는 화성 탐사를 포함한 미래 심우주 탐사를 목표로, 우주과학탐사 분야의 3대 핵심 융복합 기술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과 동시에, 관련 분야의 고급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할 계획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국가 우주과학탐사 역량을 강화하고, 우주기술의 상용화 기반을 축적하며, 산·학·연 협력을 통한 기술사업화 기반 구축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본 사업 착수를 시작으로 KAIST 항공우주공학과의 장기적 비전인 2050년 화성 캠퍼스 건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I-Transformed Aerospace 이노코어 연구단 선정
우리 학과가 주축이 된 AI-Transformed Aerospace 연구단이 4개과기원 이노코어사업단으로 4.75:1의 경쟁을 뚫고 선정되었다.
최한림 교수가 이끄는 'AI-Transformed Aerospace 연구단'은 항공우주 가치사슬 전주기의 AI전환을 위한 핵심 융합 기술을 연구하고, 최우수 젊은 박사급 연구자를 양성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총 337.5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으며, 항공우주-AI 융합 분야 우수 포닥을 연간 50명 선발하고, 차별화된 경제적 처우(연 9천만원)를 통해 혁신적인 연구에 매진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한재흥 교수, 31st International Congress on Sound and Vibration 주최(38개국 700여명 참석)
ICSV31(31st International Congress on Sound and Vibration)은 전 세계의 음향진동 관련 전문 연구자들이 매년 한자리에 모여 최근의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토론을 갖는 음향진동 관련 최고의 국제학술행사이다.
우리 학과 한재흥 교수가 위원장을 맡은 본 국제행사는 38개국에서 약 700여명이 참석하였으며, 음향진동분야의 국제적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선진 연구자들과의 교류 및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또한, 국내 우수 연구자들의 연구결과들을 조직적으로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학계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기타 소식
네브라스카 주립대학교 박재성 교수, 항공우주공학과 정기세미나 개최
2025년 4월 1일 (화), 2025학년도 봄학기 항공우주공학과 제 3회 정기세미나가 개최되었다. 본 세미나에서는 네브라스카 주립대학교 기계재료학과 박재성 교수가 연사로 초청되었다.
박재성 교수는 “난류항력감소를 위한 유동 제어 기술”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였으며, 본 강연에서는 난류 경계층에서의 항력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유동 제어 전략에 대해 소개하였고 벽면 근처 난류 구조를 어떻게 억제하는지 설명하였다. 학과에서는 강연에 대한 감사 의미로 감사패를 전달하였다.
2025년 봄학기 항공우주공학과 Safety Day
2025년 4월 8일 (화), 2025학년도 봄학기 신입생, 풍동실험실 출입 희망자, 학과 TA 희망자 및 박사 자격시험 대상자, 안전교육 수강 희망자 대상으로 총 73명이 학과 자체 안전교육 프로그램인 AE Safety Day에 참여하였다.
해당 교육프로그램은 이전윤 교수 주관 하에 실시하였으며, 학과에서 자체 수립한 AE Safety Code,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 사고 보고 절차 교육, 실험 실습 관련 안전 유의사항 교육을 주제로 진행하였다.
허송현 석사 졸업생, 한국항공우주학회 우수논문발표상 수상
우리 학과의 비평형 기체 플라즈마 연구실(지도교수: 전은지)의 허송현 석사졸업생이 한국항공우주학회의 2025학년도 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하였다.
‘초저궤도 원자 산소 흡착과 탈착을 고려한 입자 기반 항력 분석’이라는 연구로 연구 내용과 발표의 우수성 등을 인정받아 이 상을 수상하였다.
한화에어로수페이스 우주사업부 이준원 전무, 항공우주공학과 정기세미나 개최
2025년 4월 22일 (화), 2025학년도 봄학기 항공우주공학과 제 4회 정기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우주사업부의 이준원 전무가 연사로 초청되었다.
이준원 전무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우주분야 사업 현황 및 발전 방향”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였다. 강연에서는 종합방위산업체로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주요 사업 분야를 소개하고, 민간 우주 시장 진출을 위한 우주사업부의 비전과 전략을 공유하였다. 학과에서는 감사의 뜻을 담아 이준원 전무에게 감사패를 전달하였다.
신영호 석사졸업생, 한국추진공학회 석사부문 우수학위 논문상 수상
우리 학과의 비평형 기체 플라즈마 연구실(지도교수: 전은지)의 신영호 석사졸업생이 한국추진공학회의 2024학년도 석사부문 우수학위 논문상을 수상하였다. ‘고고도 고체로켓 플룸의 입자 기반 2상 유동 해석’이라는 연구로 독창성 및 창의성, 연구 내용의 우수성 등을 인정받아 이 상을 수상하였다.
*Shin, Yeongho, “Particle-based two-phase flow simulation of solid rocket motor plume at high altitudes,” Master’sThesis, KAIST, 202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센터 김덕관 센터장, 항공우주공학과 정기세미나 개최
2025년 5월 13일 (화), 2025학년도 봄학기 항공우주공학과 제5회 정기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센터 김덕관 센터장이 연사로 초청되었다.
김덕관 센터장은 “국내 유무인 헬기 개발 현황 및 전망”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였다. 강연에서는 회전익기의 형태별 특징을 소개하고, 수리온, 미르온 등의 국내 유무인 헬기 개발 현황과 차세대 기동헬기를 포함한 향후 발전 방향과 기술적 과제에 대해 폭넓게 설명하였다. 학과에서는 감사의 뜻을 담아 김덕관 센터장에게 감사패를 전달하였다.
우주항공청 항공혁신부문 김현대 부문장 항공우주공학과 정기세미나 개최
2025년 5월 20일 (화), 2025학년도 봄학기 항공우주공학과 제6회 정기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우주항공청 항공혁신부문 김현대 부문장이 연사로 초청되었다.
김현대 부문장은 “미래항공 R&D 방향 및 우주항공청의 역할”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였다.
강연에서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와 우주항공청 (KASA)의 연구 부문과 추진 전략을 소개하였다. 또한, 항공기의 발전 역사와 함께 미래 항공 모빌리티의 발전 방향을 설명하였다. 학과에서는 감사의 뜻을 담아 김현대 부문장에게 감사패를 전달하였다.
연소모델링 연구실 손정호 박사과정생,Young Investigator Award 수상
2025년 5월 20일 (화), KAIST 항공우주공항과 연소모델링 연구실(지도교수: 신동혁)의 손정호 박사과정생이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제15회 아시아-태평양 국제 연소 학회(15th Asia-Pacific Conference on Combustion)에서 젊은 연구자상(Young Investigator Award)을 수상하였다.
손정호 박사과정생은 2년 전 개최된 제14회 아시아-태평양 국제 연소학회에서 발표한 논문: ‘Modeling of turbulent flame speed and turbulent Markstein length of a harmonically oscillating flame’의 연구 내용과 발표의 우수성 등을 인정받아 해당 상을 수상하었다.
King Sum Ma 박사과정, 2025년 한국복합재료학회 춘계학술대회 복합재료 우수논문상 수상
우리 학과 측정 로봇 및 진단 AI 연구실(지도교수 : 이정률)의 King Sum Ma 박사과정은 2025년도 한국복합재료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복합재료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 Inspection of Complex-Shaped Composite Structures Using a Robotic Pulse-echo Ultrasonic Propagation Imaging System
장기원 박사과정, 비지상 통신 네트워크 운용을 위한 고고도 플랫폼 고도 최적화 연구 수행
우리학과 장기원 박사과정 학생 (지도교수 최지환)이 차세대 네트워크 요소 중 하나인 고고도 플랫폼 (HAPS)의 최적 고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수의 빔을 각 사용자에게 조향할 수 있는 HAPS를 운용할 때 비지상망 경로 손실 간의 트레이드오프가 발생해 이에 따른 최적 고도가 결정됨을 보였고, 이에 더해 확률적 기하학 기반 분석을 적용해 HAPS의 최적 고도 변화 및 장기적인 고도 설정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해당 연구결과는 항공우주 분야 최상위 국제 학술지인 ‘IEEE Transactions on Aerospace and Electronic Systems’ (IF 5.1)에 4월 4일 게재되었다.
항공우주 로보틱스 및 메커니즘 연구실 (이대영 교수), 제15회 고흥우주항공축제 우주 로버 & 종이접기 체험 프로그램 성료
항공우주 로보틱스 및 메커니즘 연구실 (ARML, 지도교수: 이대영) 은 2025년 5월 3–6일에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전남 고흥)에서 개최된 ‘제15회 고흥 우주항공축제’에서 무인탐사연구소(UEL)와 함께 운영한 ‘우주 로버 체험(광물수집, 동굴탐사, 외벽탐사)’ 및 ‘우주 시스템 종이접기 체험’ 프로그램을 성료하였다고 전했다.
올해 고흥 우주항공축제는 약 12만 명의 방문객이 찾으며 대표적인 우주항공축제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이번 체험 프로그램은 580㎡ 규모로 운영되어 천 명 이상의 관람객이 직접 참여하는 등 축제를 대표하는 인기 프로그램으로 주목받았다.
이대영 교수 연구실은 앞으로도 청소년들이 우주 로봇에 흥미를 갖고 꿈을 키울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한재흥 교수, KAIST 발전공로상수상
우리 학과 한재흥 교수가 KAIST 발전공로상을 수상하였다. 본 상은 KAIST의 비전 실현과 전략적 목표 달성에 현저한 성과를 거두고, 기관의 대외 위상 제고 및 지속가능한 발전의 토대를 닦는데 기여한 교원을 선정하여 수여하는 것이다. 한 교수는 지난 3년 반 이상 KAIST발전재단 상임이사로 봉사하며, 총장님을 도와 학교의 많은 기부를 이끌어 냈다.
한재흥 교수, 학과발전기금 1000만원 기부
우리 학과 한재흥 교수가 학과발전기금으로 1000만원을 기부하였다.
본 기금은 학과 인프라 개선에 쓰여질 예정이다. 한 교수는 지속적으로 학과발전을 위해 기금을 기부해 오고 있다.
이연관 연구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발전기금 1000만원 기부
제 21회 조정훈 학술상을 수상한 국방과학연구소 이연관 연구원이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발전기금 1000만원을 기부하여 학과 발전에 큰 도움을 주었다.
김경수 박사과정, 한국통신학회 해동우수논문상 최우수상 수상
우리 학과 항공우주통신 및 응용지능 연구실(지도교수: 최지환)의 김경수 박사과정이 2025년 한국통신학회 하계종합학술발표회에서 해동우수논문상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김경수 박사과정은 “Joint Beamforming and Space-Time Filter Design for Cell-Free LEO Satellite Networks with Uneven ISAC Demand Matching”이라는 연구를 통해 6G 저궤도 위성통신에 활용될 수 있는 통합 센싱 및 통신 핵심 원천 기술을 개발했으며,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상금 200만원과 함께 이 상을 수상하였다.
박웅휘 박사과정, 제 2기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생 선정
우리 학과 비평형 기체 플라즈마 연구실 (지도교수: 전은지) 의 박웅휘 박사과정생이 2025년도 제 2기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 수혜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은 우수 이공계 대학원생이 학업에 전념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장학재단이 지원하는 장학제도이다.
원글 오채윤[codbs2978@kaist.ac.kr]
편집 이은혁[lehx01@kaist.ac.kr]
Comment 0
- Total
- 57호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
No. | Subject |
---|---|
Notice | 자유기고 모집 |
Notice | Fund Raising |
»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
352 |
연구실 탐방 (첨단소재 및 공정 연구실)
![]() ![]() |
351 |
학부생 소식
![]() |
350 |
특집 인터뷰 (이전윤 교수)
![]() |
349 |
동문 인터뷰 (이연관 박사)
![]() |
348 |
Research Highlight (신동혁 교수)
![]() |
347 |
항공우주 이야기 (한국-미국 공동 개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SPHEREx)' 발사 성공)
![]() |
346 |
Photo Album
![]() |
345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44 |
신규 사업 소개 (복합 화학반응을 포함한 극초음속 다원자 혼합물 유동의 입자기반 해석기법 개발)
![]() |
343 |
연구실 탐방 (전기추진 및 이온빔 응용 연구실 연구실)
![]() |
342 |
학부생 소식 (2025 봄 해피아워 개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