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인터뷰 (이전윤 교수)
< 이전윤 교수 >
1. 간단한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KAIST 항공우주공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인 이전윤입니다. KAIST 기계공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마친 후, 미국 MIT에서 기계공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학위 소속은 기계공학과였지만, 지도교수님과 연구실은 항공우주공학과 소속이어서 항공우주 분야와의 인연은 대학원 시절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박사과정에서는 복합재료의 구조적 특성과 제조 공정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였고, 이후에는 MIT 항공우주공학과와 화학공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나노소재 기반의 융합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2022년부터 KAIST에 부임하여, 항공우주 구조체에 적용 가능한 고신뢰성 복합재 및 지능형 생산공정에 관한 연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 현재 주력하고 계신 연구 분야와, LAMP에서 수행 중인 주요 연구 주제에 대해 소개 부탁드립니다.
제가 운영하는 LAMP(Laboratory for Advanced Materials and Processes)에서는 항공우주 구조물에 적합한 차세대 복합재료 개발과, 지속가능한 새로운 복합재 생산기술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구조체로서의 성능뿐 아니라, 기능성과 신뢰성을 함께 만족시키는 복합재 설계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로는 극저온 및 고온 환경에서도 우수한 계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극한환경용 복합재, 나노소재 기반의 자가진단 및 능동 환경 대응 복합재, 그리고 오토클레이브를 대체할 수 있는 탈오토클레이브 기반 생산기술 개발 등이 있습니다.
3. 교수로서 KAIST에서 느낀 점이나 어려움이 있다면?
KAIST는 손꼽히는 우수한 학생들이 모인 곳이기에, 교수로서 매우 큰 자극과 동시에 책임감을 느낍니다. 학생들이 지닌 높은 자율성과 창의성은 교육자로서 끊임없는 성찰과 유연한 접근을 요구하게 만듭니다.
또한 다양한 관심과 역량을 지닌 학생들을 개별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일은 언제나 쉬운 일이 아닙니다. 실험실의 연구 방향성과 각자의 성장 목표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지속적인 소통과 조율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4. 연구실 운영이나 학생 지도에서 중점을 두시는 부분이 있으신가요?
LAMP는 ‘자율성과 책임’, 그리고 ‘존중과 공유’를 핵심 가치로 삼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연구를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동시에, 팀원 간의 기술적·정서적 교류를 통해 함께 성장하는 문화를 형성하고자 합니다.
특히 실패를 단순한 오류가 아니라 중요한 학습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그 과정에서 의미 있는 통찰을 얻을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실험실은 단순히 결과를 만들어내는 공간이 아니라, 문제를 정의하고 해석하는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의 장이어야 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5. 바쁜 일정 중에도 리프레시할 수 있는 교수님만의 취미나 루틴이 있으신가요?
저는 ‘공간을 바꾸는 것’이 생각을 전환하고 재충전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느끼는 편입니다. 실내에서 머리를 싸매고 고민할 때보다, 커피 한 잔 들고 바깥을 걸으며 주변 풍경을 바라보다 보면 예상치 못한 아이디어가 떠오르거나, 복잡하게 얽혀 있던 개념들이 퍼즐처럼 맞춰지는 경험을 자주 하게 됩니다. 특히 연구가 막히거나 정리가 되지 않을 때는 짧은 산책만으로도 생각이 자연스럽게 정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하나의 루틴은 주 2회 정도 1시간가량 진행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입니다. 운동하는 동안은 복잡한 생각이 자연스럽게 떠오르지 않더군요. 몸이 힘들어지면 의도하지 않아도 머릿속의 생각들이 잠시 멈추게 되는데, 그 시간 덕분에 뇌가 리셋되는 느낌을 받을 때가 많습니다. 몸도 좋아지면 좋겠지만, 우선은 업무나 연구에서 잠시 벗어나는 시간을 확보하는 것을 일순위로 하고 있습니다. 운동은 단순히 몸의 건강을 위한 것만이 아니라 마음 건강을 위한 활동이라는 점을 점점 더 실감하고 있습니다. 그런 여백이 오히려 일에 더 집중할 수 있는 에너지를 만들어주는 것 같습니다.
6. 연구실 선택이나 주제 선택에 고민이 있는 학생들에게 조언을 주신다면?
자신이 연구하고자 하는 분야에 대해 ‘왜 이 주제를 선택했는가’라는 질문에 스스로 명확한 답을 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진정한 몰입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한 흥미나 외부의 평가보다는, 스스로 납득 가능한 내적 동기와 지속가능한 관심을 기반으로 연구 주제를 선택하길 권합니다.
또한 연구는 단거리 경주가 아니라 장기적인 마라톤과 같습니다. 실패와 시행착오를 기꺼이 감내할 수 있는 끈기와 문제 해결 의지를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연구자에게 있어 가장 큰 자산은 결국 ‘깊이 파고드는 능력’과 ‘끝까지 해보는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원문 이전윤 교수[jlee@kaist.ac.kr]
인터뷰, 편집 이상길[sanggil.lee@kaist.ac.kr]
Comment 0
- Total
- 57호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
No. | Subject |
---|---|
Notice | 자유기고 모집 |
Notice | Fund Raising |
352 |
학부생 소식
![]() |
» |
특집 인터뷰 (이전윤 교수)
![]() |
350 |
동문 인터뷰 (이연관 박사)
![]() |
349 |
Research Highlight (신동혁 교수)
![]() |
348 |
항공우주 이야기 (한국-미국 공동 개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SPHEREx)' 발사 성공)
![]() |
347 |
Photo Album
![]() |
346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45 |
신규 사업 소개 (복합 화학반응을 포함한 극초음속 다원자 혼합물 유동의 입자기반 해석기법 개발)
![]() |
344 |
연구실 탐방 (전기추진 및 이온빔 응용 연구실 연구실)
![]() |
343 |
연구실 탐방 (Space Testing And Research 연구실)
![]() |
342 |
학부생 소식 (2025 봄 해피아워 개최)
![]() |
341 |
특집 인터뷰 (이동호 교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