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주요 뉴스
KAIST AE가 개발에 참여한 첫 민간 우주발사체 INNOSPACE의 한빛-TLV 발사 성공
우리학과 비행역학 및 제어 연구실 (지도교수: 이창훈)이 개발에 참여한 국내 첫 민간 우주발사체인 INNOSPACE의 한빛-TLV가 2023년 3월 20일 오전 2시 52분 브라질 알칸타라 발사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 되었다.
우리학과는 2050년 화성캠퍼스 개척을 목표로 인공위성, 우주탐사선, 발사체, 착륙선, 탐사로봇, 재진입 기술 등 뉴스페이스 핵심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이번 발사 성공을 통해 국내외에 뉴스페이스 선도학과로서의 입지를 다시한번 확실히 다지게 되었다.
2023 항공우주공학과 석박학위 후딩식 개최
2023년 2월 17일, 석박학위 수여자를 위한 항공우주공학과 후딩식이 기계공학동 중앙회의동 1층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우리학과에서는 코로나 19이후 3년만에 개최된 본 행사에 우주탐사학제전공을 포함하여 석사 35명, 박사 28명 등 총 6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본 후딩식에는 졸업생을 비롯하여 학과 교수 13명, 명예교수 2명 및 학부모님등 약 150여명이 참석하였으며, 박승오 명예교수님의 축사와 박도형 석사 졸업생과 차지훈 박사 졸업생이 학생대표 연설을 했다.
꿈과 도전의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 경제 개척자와의 대화, 이성우 학생 참가
2023년 02월 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우주 경제 개척자와의 대화’ 행사에 우리 KAIST 항공우주공학과 2023년 진입생 이성우 학생이 초청되어 참가하였다.
이성우 학생은 ‘우리나라 항공우주산업 최전방에서 우주 경제를 개척하고 계신 분들과 미래의 항공우주산업 주역이 될 학생분들 등 많은 훌륭한 분들을 뵙고 자극받아, 우리나라의 항공우주산업의 미래를 함께 이끌어나가고 싶다’며 소감을 전했다.
이종위성군 우주 감시정찰 기술 특화연구센터 개소
우리 학과 최한림 교수가 센터장을 맡고 안재명, 윤효상, 방효충 교수가 참여하는 이종 위성군 우주 감시정찰 기술 특화연구센터(Heterogeneous Satellite constellation based ISR Research Center, HSRC)의 개소식이 2023년 2월 2일 개최되었다. 개소식에는 엄동환 방위사업청장을 비롯 다수의 내빈이 참석하여 센터의 시작을 축하하였다.
이 센터는 방위사업청이 6년간 221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이종 위성군 기반의 감시정찰 시스템 구축을 기반 기술, 즉, 이종 위성군의 설계 및 운용, 온보드 감시정찰 정보 처리, 이종위성군을 위한 우주 통신, 신속 제작 및 검증 기반 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게 된다. 기존 동종 위성 기반의 위성군 운용의 한계를 극복하는 혁신적인 연구 성과가 기대된다.
센터에는 주관기관인 KAIST를 포함하여 14개 대학, 4개 기업이 참여하게 된다.
미국방부 FCT팀 학과 방문 및 간담회 개최
미국 국방부 Foreign Comparative Testing (FCT) 관계자와 국내에서 관련 사업을 추진 중인 국방기술진흥연구소 관계자들이 2월 23일 학과를 방문하여 학과 교수진과 함께 간담회를 가졌다.
FCT는 미국방부가 신속하게 해외 기업/기관의 기술과 제품을 시범사용/획득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본 방문은 KAIST의 항공우주 기술적 성과를 보고자 하는 FCT 팀 측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졌다.
간담회에서 우리 학과 교수진의 연구에 대한 소개가 있었으며, 방문자들은 학과의 우주분야, 자율시스템 분야 성과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다
한재흥 교수, KAIST 인공위성연구소장 취임
우리 학과의 한재흥 교수가 2023년 1월 16일 부로 KAIST 인공위성연구소장으로 취임하였다.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한국 최초의 위성인 우리별 1호를 시작으로 우리별 2호와 3호, 그리고 과학기술위성 1호, 2호 및 나로과학위성을 개발 및 제작하여 운용하고 있는 위성 기술 연구/개발의 선구자이자 우주기술 인력 양성의 요람이다.
윤효상 교수 지도 GBSAT팀 큐브위성 경연대회 최종 선정
GBSAT 팀은 KAIST 윤효상 교수의 지도 아래 KAIST 새내기과정학부 이제민 학생을 포함하여 5개 대학의 1학년 학생 7명이 모인 대학연합 팀으로, 2022 큐브위성 경연대회 최종 경연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이들은 에너지 구간에 따른 우주 방사선 flux 관측을 통해 태양풍 에너지 스펙트럼을 조사하는 미션을 제안하여, 2차 경연에 선정될 경우 한국형 발사체(누리호)를 통해 실제 궤도에 올릴 위성을 제작하게 된다.
최한림 교수,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obotics Research (IJRR) Associate Editor 선임
우리학과 최한림 교수가 2023년 1월부로 로보틱스 분야 저명한 학술지인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obotics Research (IJRR) 의 Associate Editor로 선임되었다.
IJRR은 로보틱스 분야에 특화된 최초의 학술지이기도 하며, 각종 지표에서 지속적으로 분야 내 Top 3를 유지하고 있는 최우수 국제학술지이다.
최한림 교수는 Robot Learning 세부분야를 다루는 Associate Editor로서 우수 논문을 선별하고 저자들에게 생산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IAB 산학협력 자문위원회 개최
우리 항공우주공학과에서는 2023년 1월 18일 IAB (Industrial Advisor Board) 산학협력자문위원회가 오후 1시10분 부터 5시 30분까지 학과 교수님들을 포함한 구성원들과 중앙회의동 2층 해동정보실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IAB 산학협력자문위원회는 10인의 산업체와 연구소의 대표적인 전문가 그룹으로서 KAIST AE 주요 현황 및 연구실에 대해 설명을 듣고 향후 학과가 나아갈 바람직한 산학협력 모델 및 정책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다.
코로나 사태로 5년여만에 개최된 금번 자문회를 계기로 산업계 및 연구소와 학과의 협력관계가 더욱 긴밀하고 발전적인 형태로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재흥 교수, 한국항공우주학회 부회장 선출
우리 학과의 한재흥 교수가 2023년 1월 1일부터 한국항공우주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한다. 올 한해 학회 편집 분야를 총괄하고, 우주학술대회의 조직위원장으로 활동할 예정이다
최한림 교수,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IJCAS), Editor 선임
우리학과 최한림 교수가 제어/자동화 분야 우수 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IJCAS) 의 Editor로 선임되었다.
IJCAS는 제어로봇시스템학회에서 발간하는 영문 학술지로, 제어/자동화 분야에서 Q2 급의 영향력지수를 기록하고 있는 우수 국제학술지이다.
최한림 교수는 Control Theory, Artificial Intelligence, Multi-Robot System 등을 다루는 Editor로서 해당 분야 Associate Editors와 함께 우수 논문을 선별하고 저자들에게 생산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윤효상 교수, 윤석열 대통령과 '과학기술 Young 리더와의 대화' 참석
우리 학과 윤효상 교수는 지난 1월 2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과학기술 Young 리더와의 대화’에 손영익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등 5명의 여러 대학 교수들과 함께 참석하였다. 윤 교수는 뉴 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세계적인 인재를 키우고 과학기술력을 증대하기 위해 학교와 국가가 집중해야 할 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2022학년도 가을학기 우수강의상 시상식 개최
학과에서는 2022학년도 가을학기 우수 강의상 시상식을 개최하였으며, 독창적이며 열정적인 강의로 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해주신 이지윤 교수님과 이대영교수님께 상패와 상금을 전달하였다.
이지윤 교수님은 「원격탐사를 위한 위성시스템 응용」, 이대영 교수님은 「항공우주공학 실험Ⅰ」을 강의하였다.
2023년도 AE 동계 워크샵 개최
우리 학과에서는 2023년 2월13~14일까지 2023년 AE 동계 워크샵을 개최하였다. 이번 워크샵은 경남 사천 KAI 회의실에서 개최하였으며, 학과 주요 사안에 대해 논의 및 학과 위원회별 다양한 활동 및 의제를 가지고 학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뜻 깊은 시간을 가졌다.
또한 본 워크샵은 앞으로 학과와 산업체간의 보다 긴밀한 협력을 다지기 위한 시도로써, 기간중 KAI와의 기술교류회는 산학협력의 좋은 사례를 보여주었다고 판단된다.
KAIST AE - KAI 기술교류회 2023
우리 학과는 2023년 2월 14일 경남 KAI에서 항공우주산업 발전을 위한 KAIST AE-KAI 기술교류회를 진행하였다. 본 기술교류회에서는 학과 연구실 소개, KAI 핵심 추진 사업 소개, 생산 현장 방문과 더불어 미래 항공우주 분야 기술 개발 방향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번 기술교류회를 통해 상호 간 핵심 기술을 공유하고 공동 연구 목표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였으며 산학이 상호수혜적 협력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고 판단된다.
본 기술교류회는 KAIST AE 측 이정률 학과장 외 학과 교수 12명, KAI 측 김지홍 전무 외 10여 명이 참석하였다.
고영일, 김상원 학사과정, 학부생연구참여 (URP) 프로그램 우수상 수상
우리 학과 고영일, 김상원 학사과정 학생이 2022 여름/가을 학부생연구참여(URP) 프로그램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학생들은 우리 학과 비평형 기체 플라즈마 연구실 (KNGPDL)에서 문건웅 박사 과정, 전은지 교수님의 지도 아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성과를 2022년 여름/가을 및 Long-Term URP 프로그램 워크샵에서 발표함으로써 위와 같은 성과를 거두었다.
연구 주제: Particle-based Drag Simulation of Very-Low Earth Orbit Satellites and Performance Analysis of Atmosphere-Breathing Electric Propulsion System
한종섭 박사, 충남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신임 교원 임용
우리학과 스마트 구조 및 하드웨어 시스템 연구실(지도교수 한재흥)에서 수학한 한종섭 박사가 2023년 3월 1일자로 충남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에 임용되었다.
한 박사는 2016년 2월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에서 연구조교수로 근무하였다. 2018년 부터 뮌헨공대 공기역학-유체역학 연구소(Chair of Aerodynamics and Fluid Mechanics) 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며 풍동실험분야를 연구하였다.
이창훈 교수, KAIST Breakthroughs [Readers' Choice Award] 수상
우리학과 이창훈 교수는 KAIST 공과대학 Research Webzine “KAIST Breakthroughs” 2022년 가을호에 “Key Technology for Reusable Launch Vehicles: Fuel-Optimal Landing Guidance and Control Algorithms” 이라는 연구성과 홍보로 KAIST 공과대학의 위상을 크게 높였으며, 구독자들로부터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대표 연구성과로 선정되어 “Readers’ Choice Award”를 수상하게 되었다.
과기정통부 거대공공 조선학 국장님 초청 간담회 개최
2023년 3월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거대공공 조선학 국장님이 우리 학과 교수님들과의 간담회를 가졌다. 항공우주공학과 4층 대회의실 열린 이번 간담회에에서는 이은우감사님, 이정률학과장님, 인공위성소장님외 10인의 교수님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조선학 국장님과의 학과비젼, 우주연구원설립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건설적인 의견을 주셨고 우주임무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청취하셨다. 또한 위성개발, 차세대 우주기술 개발 등 다양한 우주 산업의 현안들을 자유롭게 질의하는 뜻 깊은 시간을 가졌다
박훤 PD, 항공우주공학과 정기세미나 개최
2023년 3월 7일 2023학년도 봄학기 항공우주공학과 정기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우리 학과 한재흥 교수의 추천으로 박훤 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가 연사로 초청되었다. 박훤PD는 '국가 산업기술 R&D 체계 소개 및 시사점'의 주제로 항공우주공학과 석사 학생들에게 강의를 진행하였으며, 우리 학과에서는 감사 의미로 감사패를 전달하였다.
신의섭 교수, 항공우주공학과 정기세미나 개최
2023년 3월 14일 2023학년도 봄학기 항공우주공학과 정기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우리 학과 한재흥 교수의 추천으로 신의섭 전북대학교 교수가 연사로 초청되었다. 신의섭 교수는 ‘우주 비행체 재진입 환경의 내열 재료 실험 및 열구조 해석’ 이라는 주제로 항공우주공학과 석사 학생들에게 강의를 진행하였으며, 우리 학과에서는 감사 의미로 감사패를 전달하였다.
양동욱 학사과정, 학부연구참여 (URP) 프로그램 최우수상 수상
우리 학과 양동욱 학사과정 학생이 2022 여름/가을 학부생연구참여(URP) 프로그램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양동욱 학생은 우리 학과 항공우주 로보틱스 및 메커니즘 연구실(ARML)에서 이대영 교수의 지도 아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성과를 2022년 여름/가을 및 Long-Term URP 프로그램 워크샵에서 발표함으로써 위와 같은 성과를 거두었다.
연구 주제:Design and Fabrication of Compliant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Space Robotic System
김중혁 작가, 항공우주공학과 정기세미나 개최
2023년 3월 21일 2023학년도 봄학기 항공우주공학과 정기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우리 학과 전은지 교수의 추천으로 김중혁 작가가 연사로 초청되었다.
김중혁 작가는 ‘3과 글쓰기’ 라는 주제로 항공우주공학과 석사 학생들에게 강의를 진행하였으며, 우리 학과에서는 감사 의미로 감사패를 전달하였다.
원글 이창훈[hl53214@kaist.ac.kr]
편집 김태현[kth95@kaist.ac.kr]
Comment 0
- Total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
No. | Subject |
---|---|
Notice | 자유기고 모집 |
Notice | Fund Raising |
344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43 |
신규 사업 소개 (복합 화학반응을 포함한 극초음속 다원자 혼합물 유동의 입자기반 해석기법 개발)
![]() |
342 |
연구실 탐방 (전기추진 및 이온빔 응용 연구실 연구실)
![]() |
341 |
연구실 탐방 (Space Testing And Research 연구실)
![]() |
340 |
학부생 소식 (2025 봄 해피아워 개최)
![]() |
339 |
특집 인터뷰 (이동호 교수)
![]() |
338 |
동문 인터뷰 (Caltech 연구원 서종은 박사)
![]() |
337 |
Research Highlight (이상봉 교수)
![]() |
336 |
항공우주 이야기 (민간 무인 탐사선 블루 고스트 달 착륙)
![]() |
335 |
Photo Album
![]() |
334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33 |
연구실 탐방 (익스트림역학 및 멀티피직스 연구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