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주요 뉴스
KAIST 항공우주공학과 & CU Boulder AES, 복수학위제도 공동협약 체결
KAIST 항공우주공학과와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Aerospace Engineering Sciences 간 석사 학위 복수학위제도(Dual degree program) 공동 협약이 체결되었다. 복수학위제도 대상 학생 선발과 인원은 양 기관이 정하는 바에 따르며, 복수학위제도에 참여하는 학생은 양 기관에서 지도교수를 배정받고 공동 연구에 참여하게 된다. Dual degree 취득은 KAIST와 CU Boulder 양측의 석사 학위 취득 요건을 만족하고, 양 기관에서의 최소 2학기 이상의 수학이 필요하며, 총 2.5년~3년의 시간이 소요된다.
우주의 조약돌 프로젝트 1기 출범(KAIST X 한화스페이스 허브)
한화스페이스허브와 KAIST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우주 교육 프로그램인 우주의 조약돌 1기가 7월부터 시작된다. 중학교 1·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우주의 조약돌 프로젝트에는 총 30명의 학생이 선발되었으며, 선발된 학생들은 총 6개월(7~12월) 동안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석박사과정 멘토들과 함께 우주 인문학 컨퍼런스, 우주 미션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학과에서는 방효충, 전은지, 이대영, 안재명, 이정률, 이지윤, 최지환, 한재흥 교수가 우주 미션 프로젝트의 교수진으로 참여한다.
학과 행정실 환경 개선 공사
다소 비좁고 낡은 학과 행정실(2315호)을 리모델링으로 새롭게 구축하였다. 그간 막혀있던 공간에 테이블을 배치해 직원 간 소통의 장벽을 제거하고, 석면 제거 등을 수행하여 더욱 쾌적한 행정실 환경을 구축하였다.
이지윤 교수, KAIST 청렴옴부즈퍼슨 위촉
우리 학과 이지윤 교수가 2022년 8월 1일부로 KAIST 청렴옴부즈퍼슨으로 위촉되었다. 청렴옴부즈퍼슨은 KAIST의 청렴한 문화 조성 및 자정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추진되었으며, 구성원들의 고충을 듣고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인지하여 예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Cranfield University 신효상 교수-한국천문연구원 황정아 박사,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겸임교수 임용
신효상 Cranfield University 교수와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박사를 2022년 8월 1일부로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겸임교수로 임용하였다.
신효상 교수는 2011년 Cranfield University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영국 정부가 지원하는 다수의 미래 항공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신효상 교수는 유도, 항법 및 제어가 주 연구분야이며 최근 인공지능의 한 갈래로서 정보 기반 제어 기법을 주창하여 다수의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황정아 박사는 2006년 KAIST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및 정부 전문가 위원 등으로 다수 활동하고 있다. 황정아 박사는 인공위성 탑재체 설계, 우주방사선 모델 개발 및 지구자기장 측정기 운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권오준 교수 정년 퇴임 행사 개최
2022년 6월 16일, 권오준 교수님의 정년 퇴임 행사가 진행되었다. 학과 교수와 명예교수 그리고 학과 직원 대다수가 참여해 축하하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권오준 교수는 1994년도 부임하시어 2022년까지 약 28년 동안 항공우주공학과에서 재직하셨으며, 학과 발전 및 많은 후학을 배출하는데 이바지했다.
학부생 세미나: 누리호, Across The Universe(KARI 장영순 박사)
2022년 6월 30일, 항공우주공학과에서 학부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이번 세미나는 누리호 발사 성공의 주역인 장영순 박사(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누리호 개발 이야기를 주제로 진행되었다. 이날 세미나에는 새내기 학부생을 포함하여 약 80여 명의 학생이 참가하였고, 누리호에 관한 수많은 질문이 쏟아질 만큼 열기가 뜨거웠다. 항공우주공학과에 2학년으로 재학 중인 박재형 학생은 세미나 이후 “정말 많은 것을 배워간다, 누리호를 계기로 항공우주산업의 토대가 세워졌으면 좋겠다. ”라고 소감을 전했다.
최민준 박사과정, 한국유체공학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수상
우리 학과 연소 모델링 연구실(지도교수 : 신동혁)의 최민준 박사과정은 2022년도 한국유체공학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 Improved thickened flame model for strained hydrogen/air premixed flames
Yisehak Abreham Keflemariam, 한국풍력에너지학회 우수발표상 수상
우리 학과 Yisehak Abreham Keflemariam (지도교수: 이상봉) 학생이 한국풍력에너지학회가 주최하는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발표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DTU10 MW 부유식 해상풍력터빈의 제어 연구
임민지 석사과정, 한국비파괴검사학회 우수논문발표상 수상
우리 학과 광전로보틱스 연구실(지도교수 : 이정률)의 임민지 석사과정은 2022년도 한국비파괴검사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로버 기반 유도 초음파 전파 영상화 시스템 개발
2022학년도 봄학기 우수강의상 시상식 개최
2022년 8월 4일, 학과에서는 2022학년도 봄학기 우수 강의상 시상식을 개최하였으며, 독창적이며 열정적인 강의로 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해주신 권오준 교수님과 김규태 교수님께 상패와 상금을 전달하였다. 권오준 교수님은 「공기역학 Ⅱ」, 김규태 교수님은 「연소공학」을 강의하였다.
체외충격파 기술교류회 개최
2022년 8월 9일, 우리 학과 박기수 교수가 연구회장으로 있는 대한기계학회 주관 충격파 응용 연구회(KSME 융합형 연구회)의 기술교류회가 의료기기 표준화를 위한 기술적 고찰이라는 주제로 개최되었다.
광전로보틱스연구실, 2022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 참가
2022년 8월 17일부터 19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22 무인이동체 산업엑스포(UWC, Unmanned System World Congress)에 우리 학과 광전로보틱스연구실(지도교수: 이정률)이 참가하였다. 광전로보틱스연구실은 무인이동체사업단의 시스템 H/W연구단 소속으로, 무인이동체의 복합재료 연속섬유 3D프린팅 기술 적용을 위한 설계, 비파괴검사, 전자기성능검사 기술 등을 연구하고 있다.
2022년도 AE 하계 워크샵 개최
우리 학과는 2022년 8월23~24일 양일 간 2022년 AE 하계 워크샵을 개최하였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학과 주요 사안에 대해 논의하고, 학과 위원회별 다양한 활동 및 의제를 가지고 학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최재용 박사, 가천대학교 AI-소프트웨어학부 신임교수 임용
우리 학과 스마트 구조 및 하드웨어 시스템 연구실(지도교수: 한재흥)의 졸업생인 최재용 박사가 가천대학교 AI-소프트웨어학부 신임교수로 임용되었다. 최재용 박사는 우리 학과에서 2022년 2월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최 박사는 딥러닝 기법을 적용한 자동 공중 도킹 시스템에 관한 연구를 주로 수행하였다.
김해동 박사, 경상국립대학교 신임교수 임용
우리 학과 출신인 김해동 박사가 경상국립대학교 항공우주 및 소프트웨어공학부 정교수로 임용되었다.
김 박사는 2000년부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재직 중 우리 학과에서 2009년 박사학위(지도교수 : 방효충)를 취득하였다. 김 박사는 1996년 현대우주항공㈜에서부터 우리나라 최초 실용위성인 아리랑위성 1호부터 5호까지 관제시스템 개발에 참여하였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우주쓰레기 위험 및 제거기술 연구, On-orbit service 기술 연구, 그리고 초소형 위성 개발을 수행하였다. 김 박사는 경상국립대에서 다양한 우주시스템을 연구하면서 지난 28년간의 우주분야 연구개발 노하우와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 우주인력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태훈 박사, 국립순천대학교 신임교수 임용
김태훈 박사는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우리 학과 비행역학 및 제어연구실(지도교수: 탁민제)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카이스트 기계기술연구소와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유도무기의 유도제어기법을 연구하였으며, 비궁(2.75인치), 비룡(130mm) 유도로켓 및 탄도탄 방어를 위한 천궁-II, LSAM(장거리지대공) 유도무기의 유도제어 시스템 개발을 수행하였다.
목성훈 박사, 인하대학교 신임교수 임용
우리 학과 출신인 목성훈 박사가 인하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목성훈 박사는 우리 학과 학부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항공우주 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 (지도교수: 방효충)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2014년)를 취득하였다. 이후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 네덜란드 델프트공과대학교, 그리고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인공위성 자세제어, 군집위성 궤도 설계 및 유도제어, 국방우주임무 자세궤도제어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였다.
김윤중 군 위탁 장교, 2021년 한국해군과학기술학회 주관 동계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수상
우리 학과 위성항법시스템 연구실 (지도교수: 이지윤) 졸업생 김윤중 군 위탁 장교는 한국해군과학기술학회가 주관하고 전력분석시험평가단이 후원한 2021년도 동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위성궤도 고장 상황에서 위성 가림현상을 고려한 자율 공중급유 시스템 무결성 향상 연구
스마트 구조 및 하드웨어 시스템 연구실 및 우주선 원형 개발 연구실, 2022 국방과학기술대제전 전시 참가
우리 학과 스마트 구조 및 하드웨어 시스템 연구실(지도교수: 한재흥) 및 우주선 원형 개발 연구실(지도교수: 윤효상)에서 개발한 "초저고도 광학 인공위성 구조 모델"이 2022년 국방과학기술 대제전 (22.08.31-22.09.02)에 전시 되었다.
국방과학기술대제전은 방위사업청에서 주최하는 행사로, 국내/외 첨단 국방과학기술의 개발 성과를 공유하고 산학연 간 교류 확대와 국방 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2016년부터 시작된 행사이다.
최지환 교수, KAIST 미래우주교육센터 소장 임명
우리 학과 최지환 교수가 2022년 9월 1일부로 KAIST 미래우주교육센터 소장으로 임명되었다.
“미래우주교육센터”는 미래 우주기술을 교육하고 연구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센터로, “멀티미션 저궤도 군집위성 우주통신” 연구 주제로 우리 학과 연구실 6곳과 기계공학과, 전기및전자공학부, 인공위성연구소, 쎄트렉아이, 한화시스템이 함께 우주통신 융합/선행 연구 및 인력양성사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ETRI와 KT Sat도 우주통신 산학연 컨소시엄에 참여한다. 교육트랙설치 및 취업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매년 30명 이상 학생연구원을 지원함으로써, 인력이 필요한 우주 분야 연구기관·산업계에 채용을 연계하게 된다. 향후 5년간 연간 12.6억원씩 총 63억원을 지원받는다.
이건희 학부생, 공과대학 Engineering Innovator Award 수상
항공우주공학과 4학년으로 재학 중인 이건희 학생이 공과대학 Engineering Innovator Award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공과대학 Engineering Innovator Award는 재학 기간 중 논문, 창업, 전시, 발명 등의 우수한 성과를 이룬 학생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이건희 학생은 ‘Nupjuk!’이라는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배포하였다. Nupjuk!은 학습관리시스템인 KLMS에 기능, UI, 디자인 면에서 편리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추가로 제공한다. 학생들은 학기 중 거의 매일 KLMS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더 효율적인 수학이 가능하게 되었다.
2022년 9월 기준으로 Nupjuk!의 사용자는 2,000여 명에 달하며, KLMS를 이용하는 누구나 Chrome 웹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석사과정 김성훈 - 김민성 학부생, 2022년 김영한 글로벌 리더 장학생으로 선정
항공우주공학과 석사과정에 김성훈 학생, 학부생 김민성 학생이 2022년 김영한 글로벌 리더 장학생으로 선정되었다. 김영한 글로벌 리더 장학생은 학업의 우수성 및 학술연구능력, 리더십 자질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선발된다.
김성훈 학생은 항공우주통신 시스템에 관심과 열정이 매우 높다. 그는 뉴스페이스 시대에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받는 위성 인터넷 시스템을 연구하고 유의미한 성과를 도출함으로써 글로벌 인재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김성훈 학생은 현재 위성 통신망을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에 적용하는 대학 ICT 연구센터 육성지원과제 세부 연구를 주도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성과 또한 기대된다.
김민성 학생은 월드프렌즈코리아 ICT 봉사단에 참가하여 타국의 학생들에게 Python을 가르치는 교육 봉사를 진행하며 글로벌 리더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김민성 학생은 KAIST 리더십 마일리지 등급이 다이아몬드에 해당한다. 그만큼 학업 외 활동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학과에서 스터디 사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이 친목과 공부를 모두 잘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였다. 또한, 멘토 제도를 설계하고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이 학과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박사과정 장광우 - 장우진 학부생, 2022년 KAIST 인성 장학생으로 선정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장광우 학생과 학부생 장우진 학생이 각각 2022년 인성 장학생(모범, 봉사 부문)으로 선정되었다. 인성 장학생은 솔선수범과 배려의 정신을 실천하는 등 타인의 모범이 되는 학생을 대상으로 20명의 대학원생과 20명의 학부생이 선발된다.
장광우 학생은 학과 CA로 활동하며 학부생 및 대학원생과의 상담을 통해 학생들의 고민을 덜어주고 도움을 제공하였다. 그는 학과의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생들을 지원하였으며, 모범적인 선배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지난 봄학기에는 My AE 수업의 멘토로서 학부생에게 학과 생활과 진로 등에 대하여 경험과 조언을 아끼지 않았으며 수강생 모두를 만족시켰다.
장우진 학생은 학생회 부원으로서 학과 홍보활동에 참여하였고, 학과 이미지 제고를 위해 힘썼다. 장우진 학생은 학과의 교과목 Tech Tree를 리뉴얼하여 제작 및 배포하였고 이를 학과의 홍보자료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학과 설명회 홍보를 위한 현수막과 포스터를 제작하여 많은 신입생이 참여하도록 독려하였으며, 진입생 환영회에는 다양한 학과 굿즈를 제작하여 학생들의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신동혁 교수, Journal of Fluid Mechanics 논문 게재
우리 학과 신동혁 교수는 캐나다의 Queen’s University 와 University of Toronto, 그리고 루마니아 가스터빈 연구기관 (COMOTI)와의 공동연구를 수행하여 그 성과를 Journal of Fluid Mechanics에 게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밀 직접수치해석 (Direct Numerical Simulation) 기법을 이용하여, horseshoe-like vortices와 VLMS (very-large-scale motions)를 통하여 난류 제트의 거동에 대한 이해를 제시하였다. 난류 제트는 연료분사, 화산분출, 공기 환기 등 다양한 분야의 기초 유동으로 광범위한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다. 또한 JFM은 1956년 출간된 논문지로, 유체역학 분야에서 세계에서 가장 저명한 논문지이다.
신동혁 교수, Siemens Simcenter Day 키노트 발표
우리 학과 신동혁 교수는 독일 Siemens의 주최로 2022년 7월 14일 서울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개최된 Simcenter Day 심포지엄에서 키노트 발표 연사로 초청되었다.
디지털 트윈, 고정밀(High-Fidelity) 시뮬레이션 및 모델링을 통한 버추얼 개발을 주제로, 미래 공학 연구에 있어 디지털 트윈 및 엑사-스케일 컴퓨팅의 중요성에 대하여 강연하였다.
배현지 교수, 항공우주공학과 정기세미나 개최
2022년 9월 6일 2022학년도 가을학기 항공우주공학과 정기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우리 학과 신동혁 교수의 추천으로 배현지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교수가 연사로 초청되었다. 배현지 교수는 ‘Multi-agent reinforcement learning for wall-model development for turbulent flows'의 주제로 항공우주공학과 석사 학생들에게 강의를 진행하였으며, 우리 학과에서는 감사의 의미로 감사패를 전달하였다.
최지환 교수팀, 저궤도 위성망 엣지컴퓨팅을 위한 오프로딩/슬라이싱 기법 개발
우리 학과 최지환 교수팀은 차세대 저궤도 위성망 시스템에 활용 가능한 새로운 엣지컴퓨팅 오프로딩 및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법을 개발했다.
여러 서비스가 가상화된 시나리오에서 저궤도 위성의 분포 및 이동성, 무선 채널 환경 등의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아직 초기 단계인 국내 위성 네트워크 기술을 한 단계 진일보시켰다는 의미가 있다 볼 수 있다.
우리 학과에 파견연구 중인 김태연 디지스트 박사과정 학생이 1저자로 참여하고 디지스트 곽정호 교수와 공동 수행한 연구 결과는 관련 분야 국제학술지인 ‘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Impact Factor 11.043)에 8월 15일 게재되었다.
비행역학 및 제어 연구실, 계룡산 국립공원 1랩 1봉사(L.O.V.E) 프로그램 참여
우리 학과 비행 역학 및 제어 연구실(지도교수 : 이창훈)이 2022년 9월 23일 계룡산 국립공원 환경정화 활동을 통해 KAIST 1랩 1봉사(L.O.V.E) 프로그램을 수행하였다.
비행역학 및 제어 연구실은 계룡산 국립공원을 방문하여, 주도적인 사회 공헌 활동을 위해 환경 정화 및 공원관리 자원 봉사 활동을 수행하였다.
정바울 박사과정, 국제청년우주회의(SGC) 및 국제우주교육위원회(ISEB) 국제학생프로그램 참가
우리 학과 스마트 구조 및 하드웨어 시스템 연구실(지도교수: 한재흥)의 정바울 박사과정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의 SGC&ISEB 학생 지원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2022년 9월 14~23일 간 프랑스 파리에서 진행된 제 20회 국제청년우주회의(SGC, Space Generation Congress) 2022 및 국제우주교육위원회(ISEB, International Space Education Board) 국제학생프로그램에 참석하였다.
- 국제 청년우주회의(SGC)는 UN COPUOS의 자문위원회인 SGAC에서 개최하며, 150 여명의 학생들의 주제(우주 탐사, 우주 인재 양성, 지구 관측 데이터 활용 등) 토론과 발표, 우주 기관(NASA, ESA 등) 및 우주 기업(Airbus, Blue Origin 등)의 Keynote, 참가자 네트워킹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국제우주교육위원회(ISEB)는 NASA, ESA, JAXA, KARI 등 10개 국제 우주기관이 회원으로 참여하는 미래 항공우주 인재양성을 위한 위원회로, ISEB 국제학생프로그램은 회원기관에서 선발된 학생들과 기관장(HoA) 간의 질의응답, 연구 논문 발표, 교육기부 활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글 이창훈[hl53214@kaist.ac.kr]
편집 정바울[bwchung@kaist.ac.kr]
Comment 0
- Total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
No. | Subject |
---|---|
Notice | 자유기고 모집 |
Notice | Fund Raising |
344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43 |
신규 사업 소개 (복합 화학반응을 포함한 극초음속 다원자 혼합물 유동의 입자기반 해석기법 개발)
![]() |
342 |
연구실 탐방 (전기추진 및 이온빔 응용 연구실 연구실)
![]() |
341 |
연구실 탐방 (Space Testing And Research 연구실)
![]() |
340 |
학부생 소식 (2025 봄 해피아워 개최)
![]() |
339 |
특집 인터뷰 (이동호 교수)
![]() |
338 |
동문 인터뷰 (Caltech 연구원 서종은 박사)
![]() |
337 |
Research Highlight (이상봉 교수)
![]() |
336 |
항공우주 이야기 (민간 무인 탐사선 블루 고스트 달 착륙)
![]() |
335 |
Photo Album
![]() |
334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33 |
연구실 탐방 (익스트림역학 및 멀티피직스 연구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