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주요 뉴스
한화 스페이스 허브-KAIST 우주연구센터 설립 협약 체결
2021년 5월 17일 오후 3시 한화 우주 산업을 총괄하는 스페이스 허브(Space Hub)가 카이스트와 공동으로 우주연구센터를 설립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다.
본 협약식에는 KAIST에서는 이광형총장, 이상엽연구부총장, 방효충안보융합연구원장, 한재흥학과장 등 센터 설립에 참여하는 교수진들과 한화에서는 김승모대표, 신현우대표, 김연철대표 및 주요 관계자들이 함께했다.
본 연구소는 연구부총장 직속으로 설립될 예정이며, 우리 항공우주공학과가 중심 학과로 참여할 예정이다.
최한림 교수, RSS 2023 유치 성공
우리 학과 최한림 교수가 로보틱스 분야 최우수 컨퍼런스인 Robotics: Science and Systems (RSS)의 유치에 성공하였다. 최교수는 대구컨벤션뷰로와 협력하여 2023년 6월 대구 EXCO에서 RSS를 개최하는 안을 제안하였고, 최근 RSS 이사회는 만장일치로 대구 개최를 확정하였다.
RSS는 2005년 시작되어 매년 개최되어 온 로보틱스 컨퍼런스로서, 학회 규모는 크지 않지만 소수의 최우수 논문이 발표되는 학술대회로 인식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미국, 유럽 지역에서 주로 개최되어 왔으며, 2023년 대구 개최는 아시아 지역에서 개최되는 최초의 RSS이기에 그 의미가 크다 할 것이다.
또한, 금번 유치 과정에는 KI 로보틱스연구소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었으며, 현대로보틱스, 네이버랩스, KT 등의 관련 기업체의 지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스페이스 쉴드 기초 연구실 선정
우리 학과 김천곤 교수가 연구 책임을 맡은 공동 연구팀 (김천곤, 한재흥, 박기수, 조한솔)이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한 2021 기초연구실 (Basic Research Laboratory) 사업에 최종 선정되었다. 본 기초 연구실에서는 향후 3년 (+3년) 동안, 다양한 우주 및 재진입 환경에서 발생하는 고에너지 방사선 입사, 고속 충돌, 충격파 및 가열 현상 등을 동반한 멀티피직스 우주 환경과 구조체 및 재료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극한의 우주 환경에서도 강인하게 작동하는 구조 및 재료시스템 설계를 위한 기초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제 17회 KAIST 조정훈 학술상 수여식 개최
2021년 5월 13일 오전 11시 본관 대회의실에서 ‘제17회 KAIST 조정훈 학술상’ 시상식을 개최하였으며, 본 학술상 수상자로 선정된 국방과학연구소(ADD) 이원준 박사, 이외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최석민 박사과정, 고려대 기계공학과 최형원 석박사통합과정, 공주사대부고 박정호 학생 3명에게 장학금을 전달했다.
본 행사에는 이승섭교학부총장님과 한재흥학과장, 유족 부친이신 조동길교수 및 학과 교수 다수가 본 행사에 참석하였으며, 이원준 박사는 국방 분야에서 총 24편의 SCI급 논문을 등재했으며, 17편의 학술대회 논문,31여건의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 다수의 국방 분야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KAIST 조정훈 학술상은 2003년 5월 KAIST 로켓 실험실에서 연구를 수행하던 중 불의의 사고로 숨진 故 조정훈 명예박사를 기리기 위해 제정 되었으며, 2005년부터 매년 항공우주공학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업적을 이룬 젊은 과학자를 발굴해 시상하고 있으며, 학술상 수상자에게는 2천 500만 원의 상금, 대학(원)생은 400만 원, 고등학생은 300만 원의 장학금이 지급된다.
박승오 교수 고별 강연
2021년 6월 7일 우리 학과 박승오 교수가 고별 강연 행사를 실시했다. 수강생 뿐만 아니라 학과 교수, 학생 졸업생과 직원들도 행사에 참가하여 고별 강연을 축하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승오 교수는 1983년 서울 홍릉 캠퍼스에서 부임하여 38년 간 학과를 위해 노력해왔다.
또한 박승오 교수는 고별 강연 기념 인터뷰에서 재학생 및 졸업생들에게 박승오 교수가 살아가면서 얻은 깨달음을 전해주었다. 이에 대한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항공우주공학과의 최신 연구분야 : 우주 발사체 선두부 공력 특성 기초 연구
연구 내용 요약 : 우리 학과 박상하 박사과정, 박기수 교수 및 건국대학교 박수형 교수는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에 실린 논문을 통해 초고속 유동에서 우주 발사체 선두부 형상에 대한 공력 특성 기초 연구를 수치적 계산 및 실험적 측정 비교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최한림 교수, RITA2021 조직위원장 활동
우리 학과 최한림 교수가 로보틱스 분야 국제학술대회,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RiTA 2021)의 General Chair로 선임되어 활동 중이다.
RiTA2021은 12/16 – 12/17 양일 간 KAIST에서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개최되며, 올해 대회는 “Robotics for the New Normal”이라는 테마를 가지고 로봇/무인이동체 시스템, 제어, 기계학습, 인공지능 분야의 우수연구자들이 연구 성과를 교류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 학과에서는 이창훈 교수 역시 Local Arrangement Chair로 조직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홈페이지: http://2021.icrita.org/ )
「인사이트코리안」 무인비행체 자율임무계획 선구자 최한림교수 소개
2020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0’에서 현대자동차는 개인용 비행체(Private Air Vehicle, PAV) 콘셉트 ‘S-A1’을 선보였다. S-A1은 전기 추진방식의 수직이착륙 기능을 탑재하고 조종사를 포함해 5명이 탑승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PAV와 UAM의 핵심 기술은 자율화(Autonomy)다. 자율화는 조종사나 원격조정 없이 비행체 스스로 모든 것을 제어할 수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현재 전 세계 유수의 자동차업체, 항공사, IT 기업 등이 PAV 생산과 함께 자율화 기술 연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2021년 6월2일 인사이트코리아에서는 우리 학과 최한림교수의 「무인비행체 자율임무계획 」 연구분야에 대한 소개가 있었으며,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인이동체 원천기술 개발사업’에서 자율지능연구단장을 맡고 있으며, 6년 동안 ‘무인기를 위한 지능형 의사결정기술’이라는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아울러, 최한림교수는 완전 자율비행 기술 도달 시기에 대해 모든 국민의 합의가 이뤄지면 10년 안에도 가능하다고 말했으며, 비행체가 도심 상공을 다니는 일은 단순히 기술개발만의 문제가 아니라 보안·안전·사회적 합의 등이 복합적으로 갖춰져야 완성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윤효상 교수, ICROS 우수신진연구자상 수상
우리 학과 윤효상 교수는 6월 23~25일에 열린 2021 제 36회 제어로봇시스템학회(ICROS 2021) 학술대회에서 우수신진연구자로 선정되어 본 상을 수상하였다.
이창훈 교수, ICROS 우수신진연구자상 수상
우리 학과 이창훈 교수는 6월 23~25일에 열린 2021 제 36회 제어로봇시스템학회(ICROS 2021) 학술대회에서 우수신진연구자로 선정되어 본 상을 수상하였다.e Materials 분야의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항공과 역량강화: PARALLEL PROGRAMING ON LINUX OS
2021년 5월 10일부터 13일까지 온라인을 통하여 항공과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시행되었다. 신동혁 교수 주도하에, “리눅스 OS에서 병렬 프로그래밍”이라는 주제로 4일 동안 온라인 강의와 실시간 튜토리얼이 진행되었다.
항공과 학/석/박사과정의 24명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강의는 Zoom 을 통하여 송출되고, 실시간 튜토리얼은 최근 학과에 설치된 AE-VELP (AE’s Virtual Environment for Linux Programing) 서버를 이용하였다.
장혜연 박사과정, 2020년 AGU 우수 논문상 수상
우리 학과 위성항법시스템 연구실(지도교수: 이지윤)의 장혜연 박사과정은 American Geophysical Union (AGU) 2020 Fall Meeting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Effects of CICERO Receiver Characteristics on the Quality of Radio Occultation Data (2020)
항공우주공학과 학부생 2인, 2021년 김영한 글로벌리더 장학생으로 선정
항공우주공학과 학사과정에 재학 중인 18학번 이재령, 19학번 노대경 학생이 2021년 김영한 글로벌리더 장학생으로 선정되었다.
김영한 글로벌 리더 장학금은 故 김영한 여사의 유증 수익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분야의 노벨상을 수상할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하는 장학금이다.
이재령 학생은 2019년 학년 대표를 시작으로 2020년 부학생회장을 역임하며 학부생의 복지와 학과 홍보에 힘썼고, 노대경 학생은 2020년 1학기와 2학기 모두 Dean’s List에 등재되는 등 학업 우수자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한편, 김영한 글로벌 리더 장학생으로 선정되면 학기당 200만 원, 연간 총 400만 원의 학업장려금이 주어지며, 학과의 Boeing 장학금과도 중복 수령이 가능하다
원글 이창훈[hl53214@kaist.ac.kr]
편집 김경환[fddcd@kaist.ac.kr]
Comment 0
- Total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
No. | Subject |
---|---|
Notice | 자유기고 모집 |
Notice | Fund Raising |
344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43 |
신규 사업 소개 (복합 화학반응을 포함한 극초음속 다원자 혼합물 유동의 입자기반 해석기법 개발)
![]() |
342 |
연구실 탐방 (전기추진 및 이온빔 응용 연구실 연구실)
![]() |
341 |
연구실 탐방 (Space Testing And Research 연구실)
![]() |
340 |
학부생 소식 (2025 봄 해피아워 개최)
![]() |
339 |
특집 인터뷰 (이동호 교수)
![]() |
338 |
동문 인터뷰 (Caltech 연구원 서종은 박사)
![]() |
337 |
Research Highlight (이상봉 교수)
![]() |
336 |
항공우주 이야기 (민간 무인 탐사선 블루 고스트 달 착륙)
![]() |
335 |
Photo Album
![]() |
334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33 |
연구실 탐방 (익스트림역학 및 멀티피직스 연구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