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이카루스(ICARUS), 16회 부산대학교 창의비행체 경진대회 대학부 금상(1위) 수상
우리 학과 동아리 이카루스 (ICARUS, 지도교수: 한재흥 교수)가 “제 16회 경상대학교 전국 대학생 자작모형항공기 경진대회 및 제 7회 부산대학교 총장배 창의비행체 경진대회”의 창의비행체 경진 대회의 임무수행부문 대학부 금상(1위)을 수상하였다. 이번 대회 에는 우리 학과의 유재승, 장광우, 조민현 학생 등이 참가하였다.
우리 학과, 유성구청 주관 “청소년 나 Be 한마당” 행사 부스 참가
지난 9월 17일, 18일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개최된 유성구청 주관 “청소년 나Be 한마당” 행사에 우리 학과가 체험 부스를 통해 참가 하였다. ‘항공우주공학자는 어떻게 되는거에요?’라는 주제로 진로
탐색 중인 청소년들에게 학과 주요 연구 소개, 비행 시뮬레이터 체험, 간이 비행기 조립 등의 컨텐츠가 제공되었다.
김재원 학생(지도교수: 권오준 교수), KAI 항공우주논문상 대상(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수상
전산유체역학 및 최적설계 실험실(지도교수: 권오준 교수)의 김재원 학생이 지난 10월 21일 KAIST 항공우주논문상 대상(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으며, 대상 논문을 지도한 권오준 교수에게는 특별상이 수여되었다. 김재원 학생은 수상 논문을통해 ‘산소 원자의 촉매 재결합 반응에 대한 수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KAI 항공우주논문상은 국내 항공우주산업의 연구개발 활성화를 목적으로 2003년부터 시행되었으며, 수상자에게는 1400만원의 장학금과 KAI 입사 시 서류전형 면제 혜택이 주어진다.
극초음속 실험실 개소
극초음속 실험실 (박기수 교수) 개소식이 2015년 10월 22일 풍동 실험실에서 열렸다. 학과 교수, ADD 연구소 관계자, 학생 등이 모여 극초음속 연구실의 화려한 앞날을 기원했다. 본 행사는 연구실소개, 극초음속 지상시험장비 시리즈 투어, 컷팅식, 극초음속 실험시연, 다과회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덕주 교수, ARF 2015에서 수여하는 Life time achievement award수상
015년 11월 17일 인도 Bangalore에서 개최된 4th Asian-Australian Rotorcraft Forum에서 이덕주 교수가 헬리콥터 관련 연구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Life time achievement award”를 수상하였다.
우리학과졸업생전승문 박사, 2015년올해의 ADD인수상
전승문 박사{88’ 박사,지도교수: 홍창선 교 수)가 2015년 올해의ADD인 상을 수상하 였다. 전승문 박사는 첨단 탄소복합재료 의 항공기체 구조 설계와 제작기법을 국 내 최대 크기의복합재 날개 개발에 적용, 비행체의중량 감소와 성능향상이라는 큰 성과를 거뒀다. 또한 스마트 구조(Smart Structure)의 기술연구 결과를 비행체 시제기에적용,국내 기술력으로의수입항공기성능 향상을 가능하게한점을높이평가 받 았다. ‘올해의ADD인’은 ADD에서 20년 이상근무한연구원중국 방과학기술 개발 및 발전 공로자에 시상하는 국방 R&D분야 최고 상이다.
이정률교수연구팀, Boeing과정보보호협돼PIA) 체결
우리 학과 광전구조실험실(이정률 교수)이 비접촉 비파괴검사 및 구조건전성관리기술 정보보호협약(PIA)을 2016년 1월 9일 체결하였다. PIA는 Boeing과의 공동과제수행을 위해 필요한 사전 협정이다.
우리 학과, ADD 지능기반 무인기 제어 특화연구실 선정
우리 학과가 2015년 ADD ‘지능기반 무인기 제어 특화연구실’(총 21억원)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었다. 본 특화연구실에는 우리 학과 심현철(특화연구실장), 탁민제, 안재명, 최한림 교수 연구팀이 참여한다. 본 특화연구실에서는 향후 6년간 지능형 무인기 의사결정 알고리즘, 무인기 전술기동을 위한 지능 제어계, 복수무인기 운용자 임무과부하 최소화를 위한 HMI 기술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한재흥 교수, AIAA Associate Fellow 선정
한재흥 교수가 항공우주 분야 학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6년 1월 AIAA Associate Fellow로 선정되었으며, 미국 San Diego에서 열린 AIAA SciTech 학회 기간 중 있었던 AIAA Associate Fellows Recognition Ceremony에서 Certificate을 수여받았다.
심현철 교수 자율주행차량 EureCar팀, 미래부 장관상 우수상 수상
우리 학과 자율주행차량 EureCar팀(심현철 교수)이 2015년 11월 창조경제박람회의 일환으로 수행된 자율주행차량 실도로 주행 시연을 기획,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미래창조과학부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EureCar는 자체개발 자율주행기술을 기반으로 영상 기반 차선/신호등/보행자 인식 및 정차 기능 등을 구현하여 실제 도로환경에서의 주행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이카루스, KAIST 도전상 수상
우리 학과 동아리 이카루스 (ICARUS, 지도교수: 한재흥 교수)가 지난 2월 16일 진행된 제 45주년 KAIST 개교기념일에서 ‘KAIST 도전상’을 수상하였다. ‘KAIST 도전상’은 ‘KAIST 창의도전상’중 하나이며, KAIST의 핵심가치인 창의와 도전에 부합하는 탁월한 창의력을 발휘하거나 도전정신이 뛰어나다고 인정되는 자(학부 1 팀, 대학원 1팀)에게 수여되는 포상이다.
이정률 교수, SHM-IJ Associate Editor 선정
이정률 교수가 그 동안의 구조건전성 분야 학술 업적과 기여를 인 정받아 2016년 2월 16일 SHM-IJ(Structural Health Monitoring - An International Journal)의 Associate Editor에 선정되었다. SHM-IJ는 구조건전성모니터링 분야 세계최고권위지로 Impact Factor는 2.663이다.
김숙경 직원, 공로직원 표창 기여상 수상
우리 학과 김숙경 직원이 지난 2월 16일 진행된 제 45주년 KAIST 개교기념일에서 ‘공로직원 표창 – 기여상’을 수상하였다. 공로직원 표창은 KAIST의 학교 운영에 성실하게 임한 직원에게 수여되는 포상이다.
우리 학과 졸업생 김은호 박사, 전북대학교 기계시스템공학부 신임교수 임용
졸업생 김은호 박사(’12 박사, 지도교수: 이 인 교수)가 지난 3월 전북대학교 기계시스 템공학부 신임교수로 임용되었다. 김은호 박사는 2012년 2월 이인 교수의 지도 하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KAIST 기계기 술 연구소,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Postdoc.을 거친 바 있다. 김은호 박사는 복합재료 구조/재료의 충격 손상 및 잔류강도 연구, 지능 구조물 개발 및 구조건전성 모니터링 기법 연구, 음향/탄성 메타재료에 대한 연구 등을 수행하였다.
우리 학과 졸업생 김재강 박사, 세종대학교 항공시스템공학과 신임교수 임용
졸업생 김재강 박사(09’ 박사, 지도교수: 권 오준 교수)가 2015년 9월 세종대학교 항공 시스템공학과 신임교수로 임용되었다. 김 재강 박사는 2009년 8월 권오준 교수의 지 도 하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KAIST 기계기술 연구소, University of Michigan 에서 Post-doc.을 거쳐 삼성전자 책임연 구원으로 근무한 바 있다. 김재강 박사는 비평형 열물리 현상 및 복사 모델링, 극초음속 및 희박기체 공기열역학, 조언 플라즈마 열 유체 해석 관련 이론적 연구를 주로 수행하였다
‘한미 우주협력협정’ 실무협력기관 지정
우리 학교가 지난 2월 29일 체결된 ‘한미 우주협력협정’의 실무협 력기관으로 지정되었다. 우리 학과는 가장 관련 높은 학과로서, 본 협정에 따라 NASA 등 미국 실무기관과의 기술협력을 통해 달 궤 도선 개발, 위성 개발 및 운용, 화성·소행성 우주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우주개발 능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우리 학과 졸업생 이성규 박사, UC Davis 기계항공과 조교수 임용
졸업생 이성규 박사(04’ 석사, 지도교수: 이덕주 교수)가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UC Davis) 기계항공과 조교수로 임 용되었다. 이성규 박사는 2004년 8월 석 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어 2009년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년간의 Post-doc. 후 약 5년간 GE Global Research Center에서 Engineer 및 Program Manager로 근무 한 바 있다. 이성규 박사는 Aerodynamic, Aeroacoustics, Rotorcraft and Wind Turbine CFD and CAA, Fan and Jet Noise 등에 관한 연구를 주로 수행하였다.
Anh Tuan Nguyen 학생(지도교수: 한재흥 교수), 2016 SPIE Smart Structures/NDE Conference 바이 오 공학부문 학생 논문상 수상
스마트 시스템 및 구조 연구실(지도교수: 한재흥 교수)의 외국인 박사과정 Anh Tuan Nguyen 학생이 지난 3월 미국 Las Vegas 에서 열린 SPIE Smart Structures/ NDE Conference Bioinspiration, Biomimetics, and Bioreplication 부문에서 “Best Student Paper Award 2015 in Memory of H. Don Wolpert (2nd place)”를 수상하였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IST MOU 체결
지난 4월 7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한국과학기술원의 상 호 교류 및 협력을 위한 협약(MOU)이 체결되었다. 두 기관은 서로 이웃해 있지만 기관 간의 공식적 협약은 이번이 처음이다. 항공과 학과장 한재흥 교수는 본 MOU를 통해 ‘우리 학과의 교육, 특히 실 험 실습 및 설계 분야의 교육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최한림-탁민제 교수팀, 우주기초연구 지정과제 선정
우리 학과 최한림-탁민제 교수팀이 미래창조과학부 우주핵심기 술개발사업 우주기초연구 지정과제 “달 궤도선 영상의 초정밀 수 치 표고 모델 추출 기법 및 단계별 영상생성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 발” (총 예산 6억, 2016.5-2019.4) 과제를 수주하였다. 이 과제는 기존의 달 궤도선에서 획득한 광학/SAR 영상과 레이저 고도계 정 보 등을 활용하여 달 표면의 정밀한 지형도를 구축하는 기법을 개 발함으로써 달탐사를 위한 기반 기술 확립을 목표로 한다. 원활한 연구 진행을 위해 NASA Ames Research Center의 Intelligent Robotics Division 및 항공우주연구원 달탐사 임무팀과의 협력을 추진 중이다.
공군 항공기술연구소-우리 학과 MOU 체결
공군 군수사령부 항공기술연구소와 우리 학과의 기술교류 협정 체결식이 지난 4월 29일 항공기술연구소에서 진행되었다. 두 기 관은 본 협정을 통해 공군 무기 전력의 현장애로 기술을 공유하여 상급 기술 교류와 기술 개발을 통해 무기체계의 전력 극대화를 위 해 노력할 계획이다.
이정률 교수팀, Boeing 기초연구 과제 선정
우리 학과 이정률 교수팀(광전구조 실험실)이 Boeing의 기초연 구지원 과제 “Real-time Non-contact Damage Visual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mposite Aircraft Structures for 1. Composite skin with substructures and fasteners 2. Composite repair patch” (1단계 2년간 총 예산 3억)에 선정되었다. 본 과제에서는 역 펄스에코 레이저 초음파전파영상화 시스템의 민간 항공기에 대한 손상가시화능력과 TRL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 광 전구조실험실은 관련 기술분야에서 세계 최고수준을 유지해오고 있으며, 향후 Boeing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국제적 인증 및 표 준 기술로 나아갈 계획이다
이덕주 교수, LAH 시험비행 軍 조종사·기술사를 위한 헬리콥터 관련 특강
우리 학과주관으로 소형무장헬기(LAH: Light Armed Helicopter) 시험비행 군 조종사/기술사를 위해 헬리콥터 관련 특강을 수 행하였다. 운영책임교수인 이덕주 교수를 비롯한 이재명 교수, KARI 강사의 초빙강연으로 ’16.4.11(월)~5.4(수)까지 4주간 수행 하였다. 본 교육 과정은 기초 필수 이론, 헬기 기본 역학, 성능, 안정 성 및 헬기 소음과 안전, 로터 후류와 동체 간섭, 헬기 전기체 구조 와 Trim 등을 다룬다. 교육 이후 조종사 및 기술사들은 캐나다의 ITPS(International Test Pilot School)에서 실제 비행시험에 관 한 교육을 받을 예정이다.
이색소식
학부생 서준호 학생, 영문 건강 서적 출간
우리 학과 학부생 서준호 학생이 우리 학교 기계공학과인 동생과 함께 영문 자기 맞춤형 운동지도서 ‘매스 이펙트(Mass Effect)’를 출간하여 2015년 10월 22일자 조선일보 인물 33면에 소개 되었다.
이덕주 교수 명상 강의, 세계적 온라인 강좌 사이트 ‘코세라’에 개설
이덕주 교수의 자기돌아보기 명상 강의가 세계적 온라인 강의 사 이트 ‘코세라(Coursera)’에 2015년 12월 7일 개설되어 6주간 실 시되었다. 이덕주 교수는 과목을 통해 자기 돌아보기의 필요성, 나 를 변화시키는 마음 빼기 방법론 등을 강의하였다. (https://www. coursera.org/course/selfreflection) 코세라는 스탠포드, 하버 드, MIT, 존스홉킨스, 예일, KAIST, 도쿄대 등 140개 유수 대학들 의 세계적인 석학들이 참여하는 온라인 강좌 사이트이며, ‘에덱스 (edX)’, ‘유다시티(Udacity)’와 함께 세계 3대 대규모 오픈 온라인 코스(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로 평가되고 있다.
홍창선 명예교수, 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장에 임명
우리 학과 홍창선 명예교수가 지난 2월 4일 더불어민주당의 20대 국회의원총선거를 대비한 공직선거후보자 추천 관리위원장에 임 명되었다. 홍창선 교수는 한국항공우주학회 회장, 한국복합재료학 회 회장, 카이스트 총장 등을 역임했으며 17대 국회 대 열린우리당 비례대표 국회의원을 지냈다.
학부생 강승체 학생, 중앙일보 이세돌-알파고 문자 생중계 해설
우리 학과 학부생 강승체 학생이 지난 3월 15일 중앙일보 이세돌- 알파고 다섯번째 대국 문자 생중계 해설을 진행하였다. 비공인 아 마 4단인 강승체 학생은 카이스트 바둑동호회 전 회장을 맡은 바 있다.
편집 최의환 [cuh3355@kaist.ac.kr]
Comment 0
- Total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
No. | Subject |
---|---|
Notice | 자유기고 모집 |
Notice | Fund Raising |
344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43 |
신규 사업 소개 (복합 화학반응을 포함한 극초음속 다원자 혼합물 유동의 입자기반 해석기법 개발)
![]() |
342 |
연구실 탐방 (전기추진 및 이온빔 응용 연구실 연구실)
![]() |
341 |
연구실 탐방 (Space Testing And Research 연구실)
![]() |
340 |
학부생 소식 (2025 봄 해피아워 개최)
![]() |
339 |
특집 인터뷰 (이동호 교수)
![]() |
338 |
동문 인터뷰 (Caltech 연구원 서종은 박사)
![]() |
337 |
Research Highlight (이상봉 교수)
![]() |
336 |
항공우주 이야기 (민간 무인 탐사선 블루 고스트 달 착륙)
![]() |
335 |
Photo Album
![]() |
334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33 |
연구실 탐방 (익스트림역학 및 멀티피직스 연구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