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 인터뷰 (이연관 박사)
1. 먼저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드리며, 선배님에 대한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 그림 1. 이연관 박사 >
안녕하세요, 저는 김천곤 교수님께 지도받아 석사(2009년)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13년 박사 졸업 후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약 13년간 유도무기 개발을 위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2. 조정훈 학술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수상하신 소감과 함께, 이 상에 대한 간단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KAIST 조정훈 학술상은 2003년 5월, KAIST 로켓실험실에서 연구를 수행하던 중 사고로 별세하신 故 조정훈 명예박사를 기리기 위해 제정된 상입니다. 이번 수상은 저 혼자만의 성과가 아니며, 함께 고민하고 실험에 참여해준 동료 연구자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앞으로도 저는 ‘나라를 지키는 과학자’라는 책임감을 가지고, 조정훈 명예박사님의 정신을 계승하여 안전하고 평화로운 미래를 위한 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3. KAIST 재학 시절 김천곤 교수님 연구실에서 진행하신 연구와 현재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수행 중인 연구의 주요 내용을 소개해주실 수 있을까요?
KAIST에서 김천곤 교수님의 지도를 받으며 “변위-변형률 기반의 다양한 물리량을 측정하는 광섬유 센서”와 “여러지점에서 동시에 다변수 및 다점 측정이 가능한 광섬유 통합 시스템”을 연구하였습니다. 센서의 원리 제안, 검증과 시제품 제작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모두 수행하였습니다. 기존의 무아레 간섭효과를 이용한 원리에서 벗어나 거울을 이용한 단순한 반사의 원리로 동일한 계측 신호를 구현하는 원천기술이 있었기에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연구였습니다.
제가 국방과학연구소에 입소하여 수행하는 연구는 학위과정의 연구와 연결성은 거의 없는 탄도미사일과 관련된 연구입니다. 아쉽지만, 전략 무기 개발에 기여하고 있는 만큼 관련 내용에 대한 자세한 언급은 어렵습니다. 다만, 일반 산업에서는 다루지 않는 첨단 내열 복합소재를 이용한 내열 구조의 설계 및 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4. 국방과학연구소로 진로를 선택하신 계기나 동기가 궁금합니다. 해당 분야에 관심이 있는 후배들에게도 좋은 참고가 될 것 같습니다.
국방과학 연구는 실험실 연구로 머물지 않는 실용주의적 기술연구입니다. 국가의 안전과 미래기술을 책임지는 매우 의미 있고 도전적인 분야이면서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신뢰도가 높은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본인의 연구 결과물이 실제 적용되고 비행시험 등을 통해 검증을 해내는 쾌감을 만끽하고 싶으신 분에게 적합한 분야입니다. 순수연구보다는 응용연구에 가까우며 본인이 이러한 연구를 좋아하신다면 국방과학연구소에 지원하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작은 연구 하나하나가 모여 대한민국의 평화와 미래를 지키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5. 국방 분야는 기술 보안 제약이 많아 연구성과를 외부에 공개하거나 논문화하기 어려운 환경으로 예상이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논문과 특허를 남기신 비결이나 전략, 그리고 지속적인 동기부여의 원천이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맞습니다. 제가 몸담고 있는 유도무기 연구분야는 특히나 제약이 많습니다. 여러 결제 라인의 “보안성 검토“를 통한 허가를 득해야 하는데, 각자의 관점에서 문제가 없어야 하고 이외의 여러 행정 절차 덕분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연구 내용 공개의 제약 때문에 논문보다는 일반화가 가능한 특허 실적이 더 많더라구요.
특허와 논문은 친한 친구사이라 교집합이 많습니다. 항상 특허와 논문을 연관시켜 연구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예측하면서 시험 계획을 세워보세요.
조직에서는 본인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어떤 상황에 직면하게 될지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를 하기 위해 동기부여를 해온 것 같습니다. 연구자를 증명해주는 건 논문과 특허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6. 학위과정을 마치신 지 10년이 지난 지금, 당시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점이 있을까요? 특히 연구 주제나 진로 고민 중인 후배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이 있다면 부탁드립니다.
후배님들이 연구 주제를 다루듯 본인을 잘 “특성화(characterization)” 하시기 바랍니다. 많은 후배분들이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특성화하기 위한 고민을 해보셨을 겁니다. 제가 학위과정 때로 돌아간다면 연구하듯이 ”자아 특성화“를 정의해 나갈 것 같습니다.
후배님들은 최대한 여러 직접 혹은 간접 경험을 통한 여러분 스스로를 알아가기 위한 끊임없는 성찰과 철학적 질문을 던져보세요. 여러분이 살아가면서 여러 기회들이 있고 선택해야 하는 중요한 순간이 많을 겁니다. 그 때 많은 도움이 될 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7. 선배님께서 앞으로 이루고 싶은 목표나 꿈이 있다면 나눠주실 수 있을까요?
대한민국 국방의 큰 축이 될 수 있는 비대칭 전략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저의 앞으로의 목표입니다. 꾸준한 개발의 노력 끝에 달콤한 열매를 맺듯이, 어느 나라에서도 넘볼 수 없는 대한민국만의 꿈의 기술을 이루고 싶습니다. 또한, 투자와 연구에서 자주 쓰이는 고위험(High Risk)/고수익(High Return)이라는 용어처럼, 저는 고위험 연구에 도전하는 연구원이 되고 싶습니다. 힘들 때도 있지만, 그만큼 보람이 크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후배님들도 남들이 어려워하는 연구에 과감히 도전해 보시길 바랍니다.
원문 이연관 박사[yeongwan@add.re.kr]
편집 이은혁[lehx01@kaist.ac.kr]
Comment 0
- Total
- 57호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
No. | Subject |
---|---|
Notice | 자유기고 모집 |
Notice | Fund Raising |
352 |
학부생 소식
![]() |
351 |
특집 인터뷰 (이전윤 교수)
![]() |
» |
동문 인터뷰 (이연관 박사)
![]() |
349 |
Research Highlight (신동혁 교수)
![]() |
348 |
항공우주 이야기 (한국-미국 공동 개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SPHEREx)' 발사 성공)
![]() |
347 |
Photo Album
![]() |
346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45 |
신규 사업 소개 (복합 화학반응을 포함한 극초음속 다원자 혼합물 유동의 입자기반 해석기법 개발)
![]() |
344 |
연구실 탐방 (전기추진 및 이온빔 응용 연구실 연구실)
![]() |
343 |
연구실 탐방 (첨단소재 및 공정 연구실)
![]() ![]() |
342 |
학부생 소식 (2025 봄 해피아워 개최)
![]() |
341 |
특집 인터뷰 (이동호 교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