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주요 뉴스
방효충 교수, 제1회 국가우주위원회 위원 위촉
지난 5.30(목)에 우리 학과 방효충 교수가 제1회 국가우주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되었다.
국가우주위원회는 우주개발 진흥법 제6조에 따른 대통령 소속 자문위원회이다.
위원회는 위원장 1명 및 부위원장 1명을 포함한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위원장은 대통령이 되고, 부위원장은 민간위원 중 호선된다.
한재흥 교수, KAIST 우주연구원장 선임
지난 4.2(화)에 우리 학과 한재흥 교수가 KAIST 우주연구원 원장으로 선임되었다.
KAIST 우주연구원은 KAIST 부설 연구 조직으로 KAIST의 우주 분야 연구 성과를 계승・발전하고, 교내・외 관련 연구 역량을 체계적으로 결집해 새로운 우주개발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목표를 갖고 있다.
KAIST 우주연구원은 연구부총장 직속기구로 KAIST가 강점을 지닌 소형 위성 R&D 뿐만 아니라 미래 우주 임무 개념 연구, 우주 바이오 및 소재 융합 연구, 필수 핵심기술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다.
경상국립대 제12대 총장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석·박사 출신 권진희 교수 임명
경상국립대 제12대 총장으로 KAIST 항공우주공학과(지도교수: 故 홍창선, 석사 1989년, 박사 1993년) 출신인 권진희 교수가 임명되었다.
권 총장은 24년 6월 24일(월)부터 공식 업무를 시작하여 대학의 주요 업무를 챙긴다.
권 총장은 서울대학교 항공공학과를 졸업한 후 KAIST 항공우주공학과에서 공학석사 학위와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삼성항공우주산업(현 KAI) 선임연구원을 거쳐 1997년 경상대학교 항공기계공학과 교수로 부임해 공과대학 부학장, 기획처장 등을 역임했다.
또한 한국복합재료학회 회장, 교육부 교육공무원인사위원회 위원,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위원장 직무대행을 역임했으며, 현재 우주항공정책포럼 공동회장, 우주항공복합도시건설준비단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교육분야로는 경상국립대 최초로 '개척강의대상' 을 수상했으며, 연구분야로는 '개척한림원' 회원으로 7차례 선발됐다.
2024 KAIST Research Day 방효충 교수 연구대상 수상, 신동혁 교수 14대 미래선도기술 대표연구성과 선정
지난 5.21(화)에 KAIST Research Day가 개최되어 우리학과 방효충 교수가 Research Day 연구대상을 수상하고, 신동혁 교수가 2024년 KAIST 14대 미래선도기술 대표연구성과로 선정 되었다.
윤효상 교수,국방과학연구소(ADD) 공로상 수상
우리 학과 윤효상 교수는 2023년 12월 21일 국방과학연구소 공로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국방과학연구소는 기술 변화를 신속하게 반영하여 신개념 무기체계 소요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 도전적 미래도전국방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윤효상 교수는 ADD 겸임 연구원으로서 인공위성을 개발하고 있으며, 미래도전 국방기술 성과를 인정받아 공로상을 수상하였다.
최한림 교수 연구팀, The BARN Challenge 2024 우승
우리 학과 최한림 교수 연구팀(팀명: LiCS-KI)이 2024 국제 로봇 및 자동화 학술대회(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ICRA) 기간 중에 개최된 The BARN Challenge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올해 3회를 맞이하는 본 대회는 고도로 제한된 환경에서 최신 자율주행 기술을 경쟁하는 대회이다. 참가탐들은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Clearpath사의 JACKAL 로봇에 탑재하여 다양한 장애물 환경에서 목표지점 도달여부를 겨루었다.
LiCS-KI 팀은 가상환경에서 치뤄진 예선에서 최고 기록으로 본선에 진출하였고, 본선인 하드웨어 경연에서 참가팀들 중 가장 많은 시나리오에 대해서 목표점에 도달하며 1위를 차지하였다.
2024 봄학기 외국인 가족 간담회 개최
2024년 3월 29일 우리 학과에서는 최지환교수님 주관으로 봄학기 외국인 가족(학생 및 연구원)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본 행사에는 이정률학과장님과 최지환 교수님이 참여해주셨고 학생 15명이 동참하였다.
본 간담회에서는 학교 생활, 타국 생활, 진로 및 기타 애로 사항 등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뜻 깊은 시간을 가졌다.
이훈희 박사, 한서대학교 항공컴퓨터학과 부교수 임용
우리학과 정보 및 시스템 제어 연구실[LiCS] (지도교수 최한림)에서 2021년까지 연구한 이훈희 박사가 2024년 3월 1일자로 한서대학교 항공컴퓨터학과에 임용되었다.
이박사는 정보 및 시스템 제어 연구실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달 착륙선의 영상기반 항법에 필요한 랜드마크 특성화 연구를 하였다.
이 박사는 최근까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재직하면서 프랑스 EADS Astrium(現. Airbus)과 천리안위성 시뮬레이터 개발, 다누리호 시뮬레이터 개발, 인공지능 기반의 달영상 및 위성정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돈구 박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계공학부 신임교수 임용
우리학과 전략적 항공우주 연구실(지도교수 안재명)에서 연구한 이돈구 박사가 2024년 3월 1일자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기계공학부에 임용되었다.
이 박사는 2018년 8월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후 ㈜클래스팅 SW Engineer, 본교 기계기술연구소 연수연구원 및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2024년 진입생 환영회 및 홍창선 장학기금 수여식 개최
2024년 03월 29일 기계공학동 중앙회의동에서 항공우주공학과 진입생 환영회가 열렸다. 이정률 학과장의 인사말로 시작하여 이창훈 학사주임 교수의 학과 소개, 신동혁 교수의 학과 프로그램 소개, 이건모 학생회장의 학과생활 소개, 재학중인 선배들의 인턴십 경험, 동아리 활동을 소개 하는 시간을 가졌다.
제 4회 홍창선 장학기금은 학사과정 김단비,남윤호, 박사과정 진도현 학생이 수여받았으며, 함께 BBQ 파티를 하며 행사를 마무리했다.
학과장과 학부생 대표, 항공우주 발전을 위한 만남
2024년 04월 01일 학과장과 학부생 대표 12인이 식사시간을 가졌다. 이정률 학과장은 학부생과 소통하는 시간을 통해 학부생들의 학교생활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학생회 및 학번 대표를 포함한 학부생 12명은 앞으로 성장할 미래 우주산업에 대한 기대를 표했으며, 학생회는 그에 걸맞은 학과생활을 마련하기 위해 계획 중인 다양한 사업을 소개하였다.
이정률 학과장은 학부생이 학과의 가장 중요한 기반이라며 학생들을 북돋았고, 학생들과의 만남이 긍정적인 효과로 이어지길 기대했다.
국방과학연구소 이도윤 단장, 정기세미나 개최
2024년 4월 9일(화), 2024학년도 봄학기 항공우주공학과 제4회 정기세미나가 개최되었다. 본 세미나에서는 국방과학연구소 이도윤 단장이 연사로 초청되었다.
박종찬 단장은 “고체추진우주발사체” 라는 제목의 강연을 진행하였으며, 본 강연을 통해 액체 및 고체 추진체 개발의 역사와 앞으로 대한민국의 발사체와 국방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강연하였다. 학과에서는 강연에 대한 감사 의미로 감사패를 전달하였다.
독일 항공우주센터 Ali Gülhan 부서장, 항공우주공학과 정기세미나 개최
2024년 4월 23일 (화), 2024학년도 봄학기 항공우주공학과 제 5회 정기세미나가 개최되었다. 본 세미나에서는 독일 항공우주센터 Ali Gülhan 부서장이 연사로 초청되어 온라인으로 강연을 진행하였다.
해당 강연은 "Achievements of Aerothermal Instrumentation of ExoMars 2016 Entry Capsule"라는 제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본 강연을 통해 화성 탐사를 위한 유럽 우주국의 연구와 화성 진입을 위한 탐사기 설계에 대해 강연하였다.
2024 KAIST-DLR 워크숍 개최
2024년 4월 26일, 우리 학과와 독일 항공우주센터(DLR)는 초음속 및 극초음속 공기역학에 관한 연구와 미래 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공동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DLR (Göttingen) Institute of Aerodynamics and Flow Technology, Department of Spacecraft의 Dr. Mritz Ertl, Dr. Chiara Amato, and Mr. Leo Basov가 DLR의 연구 성과를 발표했으며, 우리 학과의 5명의 교수진이 연구 분야를 소개하였다. 이 워크숍을 통해 두 기관 간의 초음속/극초음속 연구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심한슬 박사, 세종대학교 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 신임교수 임용
우리학과 극초음속 연구실(지도교수 박기수)에서 연구한 심한슬 박사가 2024년 3월자로 세종대학교 우주항공시스템공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심 박사는 2022년 8월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후 본교 기계기술연구소 연수연구원 및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Mechanical Science and Engineering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교수소개 링크 : https://ae.sejong.ac.kr/shop_contents/myboard_read.htmload_type=&page_idx=0&tag_on=&h_search_
c=0&h_search_v=&me_popup=&myboard_code=professor&page_limit=50&idx=2016691&page=1&category_idx=82031
제20회 KAIST 조정훈 학술상 수여식 개최
‘제20회 KAIST 조정훈 학술상’ 수상자로 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박동훈 교수가 선정됐다.
우리 대학은 박동훈 교수 외에 우리 대학 항공우주공학과 뱅쌍 마리오 피에르 우골리니(Vincent Mario Pierre Ugolini) 박사과정,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 노도원 석사과정,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엄문영 학생 3명을 장학생으로 선발하고 이들에게 13일 오전 KAIST 본관 4층 제2회의실에서 장학금을 전달했다.
박동훈 교수는 극초음속 비행체가 대기 중을 비행할 때 발생하는 경계층 현상에 대한 실험 및 이론적 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 연구는 현재 세계적인 관심사인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에 응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박 교수는 이 분야에서 극초음속 유동의 안정성을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자력으로 개발하여 국내 관련 기술 기반 확보에 기여했다. 박 교수는 관련 분야에서 최근 5년간 다수의 논문을 해외 유수 학술지에 게재했다.
공기역학 분야와 관련된 22건의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해 국방 및 산·연과의 협력을 통해 많은 성과를 내고 있으며, 현재 연구재단이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인 “육해공 무인 이동체 혁신 인재 양성사업”의 남부권 세부 책임자를 맡아 항공우주공학 분야의 인재 양성과 실무적 역량 제고에도 크게 기여해 오고 있다.
뱅쌍 우골리니 군은 프랑스 국적으로 현재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3년 차 대학원생으로, 달 착륙선에 적용할 수 있는 가변 추력 액체로켓을 연구하고 있다. 우골리니 군은 프랑스 파리에 소재한 그랑제콜 ESTACA (항공우주분야 특성화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마치고 KAIST 박사과정에 진학해 내년 2월 졸업을 앞두고 있다. 우골리니 군은 학위취득 후 한국에서 취업을 희망하고 있다.
한편, KAIST 조정훈 학술상은 2003년 5월 KAIST 로켓실험실에서 연구를 수행하던 중 불의의 사고로 숨진 故 조정훈 명예박사를 기리기 위해 제정됐다.
이 상은 故 조 박사의 부친인 조동길 교수가 유족보상금과 사재를 합쳐 KAIST에 학술기금으로 기부한 4억 7천800만 원을 재원으로 만들어졌으며, 2005년부터 매년 항공우주공학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업적을 이룬 젊은 과학자를 발굴해 시상하고 있다.
우리 대학은 또 이 기금으로 조 박사가 재학했던 KAIST와 고려대, 공주사대부고에서 매년 각 1명씩 장학생을 선발해 장학금을 수여하고 있다. 학술상 수상자에게는 2천500만 원의 상금, 대학(원)생은 400만 원, 고등학생은 300만 원의 장학금이 지급된다.
고온 복합재료/시험 국제 워크샵 개최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주최, KAIST BK21사업단 및 충남대학교(우주항공·국방 특화센터) 공동 주관으로 지난 5월 9~10일 KAIST KI 빌딩(Matrix Hall)에서 워크샵이 개최되었다(KAIST 박기수 교수, 충남대학교 허환일 교수 공동 조직위원장). 본 워크샵을 통해 앞으로 관련 분야에서의 국내·외 인적 네트워크와 글로벌 연구 교류 확대/활성화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동훈 교수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발전기금 1000만원 기부
제 20회 조정훈 학술상을 수상한 부산대학교 박동훈 교수가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발전기금 1000만원을 기부하였다.
2024 KAIST-HK PolyU Joint Workshop 개최
2024년 5월 20일부터 21일까지, 우리 학과와 홍콩 폴리텍 대학(HK PolyU)은 연소 및 공기역학에 관한 연구와 미래 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공동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HK PolyU AAE(Department of Aeronautical and Aviation Engineering) 의 Prof. Chihyung Wen, Dr. Sangdi Gu, Prof. Yu Guan, Dr. Tianqi Wang, Prof. Bing Xu와 우리 학과의 3명의 교수진이 연구 분야를 소개하였다. 또한 Lab Tour를 진행하여 각 연구실의 실험실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워크숍을 통해 두 기관 간의 연구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백민하 석사과정, 한국연소학회 추계학술대회 최우수 논문발표상 수상
우리 학과 연소 모델링 연구실(지도교수: 신동혁)의 백민하 연구원은 2023년도 제 66회 한국연소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학위논문상 및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우수논문제목: 벽-유체 열흡수율이 수소/공기 화염의 정면 소염에 미치는 영향
이동우 박사과정, 2023년 한국항공우주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발표상’ 수상
우리 학과 항공우주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지도교수 : 방효충)의 이동우 박사과정은 2023년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된 한국항공우주학회 주관의 2023년 한국항공우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쿠푸만 연산자를 이용한 쿼드로터의 데이터 기반 모델링 및 고장진단
유재민 석사과정, 2024년 한국복합재료학회 춘계 학술대회 '최우수발표논문상' 수상
우리 학과 광전로보틱스 연구실(지도교수 : 이정률)의 유재민 석사과정은 2024년도 한국복합재료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발표논문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 RCS 측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근거리-원거리 변환 알고리즘 연구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이정률 교수 ASME Journal, Associate Editor 선임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이정률 교수(학과장)이 2024년 7월 1일 부로 ASME 저널 중 하나인 Journal of Nondestructive Evaluation, Diagnostics and Prognostics of Engineering Systems (JNDE) 의 부편집장으로 선임되었다.
Journal of Nondestructive Evaluation, Diagnostics and Prognostics of Engineering Systems (JNDE) 은 국제 학술지로서 비파괴 검사 (NDE) 및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 (SHM) 분야의 다학제적인 주제에 대한 연구 내용을 담고 있으며, 산학연관의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 NDE 및 SHM 사례를 보고한다.
저널의 목적은 독자들에게 NDE, SHM 및 prognosis 분야의 최신 개발 동향을 알리고, 비파괴 검사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전파하며, 관련된 유용한 응용 사례들을 보고하는 것에 있다.
JNDE의 최신 Impact factor (2023년)는 2.0 이다.
원글 임정빈[jungbean99@kaist.ac.kr]
편집 이승찬[aero_sc@kaist.ac.kr]
Comment 0
- Total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
No. | Subject |
---|---|
Notice | 자유기고 모집 |
Notice | Fund Raising |
»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9 |
학부생 소식
![]() |
8 |
특집 인터뷰 (신동혁 교수)
![]() |
7 |
동문 인터뷰 (한서대학교 이훈희 교수)
![]() |
6 |
Research Highlight (전은지 교수)
![]() |
5 |
연구실 탐방 (연소 모델링 연구실, 지도교수 : 신동혁 교수)
![]() |
4 |
항공우주 이야기 (Zipline 자율 배송 드론)
![]() |
3 |
Photo Album
![]() |
2 |
자유기고 모집
![]() |
1 |
Fund Raisin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