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AE NEWSLETTER

NEWSLETTER (16'~)

44호 항공우주공학과 News

AE News 2022.03.31 20:56 Views : 952

 

NEWS


 

         주요 뉴스                              

 

 

 

이정률 교수,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신임 학과장 선임

 

66b441164d3076b06f1678447f06bd6e.png

 

 

   

   이정률 교수가 2022년 3월 7일부로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 신임 학과장으로 선임되었다.  

 

   이 교수는 우리 학과 2001년에 우리 학과 석사과정(지도 교수: 홍창선)을 졸업하였으며, 이후 2004년에 프랑스 ECOLE NATIONALE SUPERIEURE DES MINES DE SAINT-ETIENNE(ENSMSE)에서 박사학위를 취득 후 전북대학교를 거쳐 2015년에 우리 학과에 부교수로 부임하였고,현재 Opto-Electro-Robotics Lab(OERL)을 이끌고 있다. 

 

   이 교수는 학과장 선임 특집 인터뷰에서 ‘학과가 행정적으로 효율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운영되며 구성원 모두가 연구적으로 세계적 기술을 개발하여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임무를 잘 수행하려 한다’라는 포부를 밝혔으며, ’항공우주는 이제 가까운 미래’, ‘연구에 실패를 두려워 말자’라는 당부를 함께 했다.  이에 대한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교수의 학과장 임기는 총 5년이다. 

 

그림2.png

 

 

mainbotton.png

 


 

이전윤 박사,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부임

 

이전윤교수님.png

 

 

 

   이전윤 박사 (KAIST 기계공학과 학사 ’12)가 2022년 4월 1일부로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조교수로 부임하였다. 

   이 박사는 MIT 기계공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후 MIT 항공우주공학과와 화학공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이 박사는 나노 소재를 이용한 복합재료의 개발 및 지속가능한 차세대 복합재료 생산공정 및 고성능 고온 복합재 구조물 연구 및 전기방사 나노 섬유를 활용한 필터 연구를 수행해왔다.

 

 

 

mainbotton.png

 


 

한재흥 교수, KAIST 발전재단 상임이사 선임

 

1.한재흥교수.png

 

 

 

   우리 학과 한재흥 교수가 2022년 1월 12일 부터 KAIST 발전재단 상임이사로 선임되었다.


   KAIST 발전재단은 KAIST 발전 재원을 보다 능동적으로 마련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하기 위하여 설립된 독립법인이다.

 

 

 

mainbotton.png

 


 

KAIST AE-방글라데시 대사관 업무 협력 논의

 

4.방글라데시.JPG

 

 

 

   2022년 1월 27일 방글라데시 대사관  Mr. A F M Shamimul Islam 국방 무관(Defense Attaché)이 학과를 방문하여

 

   Bangabandhu Sheikh Mujibur Rahman Aviation and Aerospace University (BSMRAAU) 대학과의 교류/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를 가졌다.

 

 

 

mainbotton.png

 


 

KAIST AE – 공군 항공무기관리과 정책발전자문위원 방문

 

20220324_152823(0).jpg

 

 

 

   2022년 3월 24일 공군소장 최진원 군수참모부장 및 항공무기관리과에서 우리과를 방문하여 군수 주요 정책 및 기술 관련 소통 등 자문위원과의 협력 활성화를 위해 학과를 방문하였다.
   또한 우리 학과 광전로보틱스 연구실(지도교수: 이정률)의 주요 연구 내용 및 개발 시스템에 대한 시현이 진행되었다.

 

 

 

mainbotton.png

 


 

최지환 교수, IEEE TAES “2021 Associate Editor” 선정

 

13.최지환.png

 

 

 

   우리 학과 최지환 교수가 모범적인 편집위원 활동으로 IEEE Transactions on Aerospace and Electronic Systems (TAES) “2021 Associate Editor”에  선정되었다.
   IEEE TAES는 항공우주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 중 하나로서(Impact Factor 4.102), 최교수는 2019년부터 Associate Editor로 활동 중이다.

 

 

 

mainbotton.png

 


 

김규태 교수 연구실, 두산가스터빈 차세대 기술협력연구실로 선정

 

10.김규태교수2.jpg

 

 

 

   우리 학과 연소불안정 및 레이저진단 연구실(지도교수: 김규태)은 가스터빈 엔진 핵심 기술개발에 기여하여 [두산가스터빈 차세대 기술협력연구실]로 선정되었으며, 지난 12월 박홍욱 두산중공업 부사장 참석하에 인증서 수여식이 개최되었다.


   본 연구실은 현재 탄소중립 가속화를 위한 무탄소/저탄소 가스터빈 연소기술 개발을 위해 산∙학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mainbotton.png

 


 

TEAM KAIST AE 500 기부자 기념품 증정 행사 시행 

 

16. 기부자 기념.png

 

 

 

   2022년 1월 25일, TEAM KAIST AE 500에 참여해준 기부자 중 브론즈 등급으로 상향된 학과의 신동혁교수, 전은지교수 및 신효상방문교수에게 기념품 증정행사를 시행하였다.

 

 

 

mainbotton.png

 


 

한재흥 교수, SPIE Active and Passive Smart Structures and Integrated Systems XVI Conference (2022) 조직위원장 수행

 

1.한재흥교수.png

 

 

 

   우리 학과 한재흥 교수가 조직위원장으로 (Organizing Chair) 진행한 SPIE Active and Passive Smart Structures and Integrated Systems XV Conference가 2022년 3월 7일부터 9일까지 미국 California Long Beach 에서 개최되었다.

 

   한재흥 교수는 2020년부터 3년간 해당 학회 조직위원장을 수행한 바 있다.

 

 

 

mainbotton.png

 


 

2022년도 봄학기 AE safety Day 시행

 

12.AE_Safety_day_게시사진_(2).jpg

 

   2022년도 3월 10일 김규태 교수님 주관하에 AE safety Day 교육이 시행되었다.

 

   해당 교육은 항공우주공학과 신입생 대상 필수교육으로, 학과 Safety Code 및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에 대한 교육 및 안전사고시 보고체계 등을 포함하고 있다.

 

 

 

mainbotton.png

 


 

안병욱 박사 ASPACC 최우수논문상 수상

 

9.안병욱1.png

 

 

 

   우리 학과 연소불안정 및 레이저진단 연구실 출신 안병욱 박사는 제 12회 Asia-Pacific Conference on Combustion에서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안병욱 박사는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NTNU)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환형 가스터빈 연소불안정 현상을 연구하고 있다.

논문 제목: Chaotic thermoacoustic oscillations in an aero-engine combustor with a liquid-fueled turbulent diffusion flame

 

 

mainbotton.png

 


 

박정환 석사과정, 2021년 AIAA Region VII Student Conference 수상

 

2.박정환.JPG

 

 

   우리 학과 스마트 구조 및 하드웨어 시스템 연구실(지도교수: 한재흥)의 박정환 학생은 2021년 AIAA(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Region VII Student Conference (2021. 11월 호주 Melbourne/virtual)의 Masters Category에 참가하여 3위 입상하였다.


   발표 주제는 “A Perception and Control System for In-Flight Collision Avoidance of UAVs”이다.

   

   AIAA는 워싱턴 D.C.에 본부를 둔 세계 최대의 항공우주 관련 학회로, 2019년부터 매년 Student Conference를 Region별로 개최하며, Region VII는 미국/캐나다 외 모든 지역을 관할한다.

 

 

 

mainbotton.png

 


 

서종은 박사, 2021년도 하반기 공과대학 우수 박사학위 논문상 수상

 

15. 서종은 박사.png

 

   우리 학과 스마트 구조 및 하드웨어 시스템 연구실(지도교수: 한재흥)의 졸업생인 서종은 박사가 2021년도 하반기 공과대학 우수 박사학위 논문상을 수상하였다.

논문명: A Study on the Origami-based Reconfigurable Tubular Structure

 

 

 

mainbotton.png

 


 

학사과정 최지민, KAIST 전인 포상 수상자로 선정

 

5.최지민-2.png

 

   항공우주공학과 학사과정에 재학 중이던 18학번 최지민 학생이 KAIST 전인 포상 수상자로 선정되어 발전재단 이사장상을 수상하였다. KAIST 전인 포상은 교과목 성적 이외의 봉사활동, 연구활동 등이 뛰어난 학생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최지민 학생은 1학년 때부터 캔위성 체험 경연 대회에 참가하며 연구에 대한 열정을 보여왔다. 자율 비행 D.hive에서는 회피 알고리즘과 path planning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드론에 탑재하여 실험하는 전 과정을 담당하기도 했다. 또한 그가 가지고 있는 전문성과 지식을 바탕을 사회에 공헌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2년 동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블로그 기자단으로 활동하며 과학〮공학 기사를 작성하여 과학을 전공하지 않은 많은 사람들에게 올바른 지식을 알리고자 힘써왔다.

   최지민 학생은 카이스트 석사과정에 입학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융합적 인재로서의 활약이 기대된다.
 

 

 

mainbotton.png

 


 

학사과정 장재희, 2022년 김성부 창의활동상 수상자로 선정

 

6.장재희-2.jpg

 

 

 

   항공우주공학과 학사과정에 재학 중이던 18학번 장재희 학생이 2022년 김성부 창의활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김성부 창의활동상은 교과목 이외의 연구 활동을 통하여 창의성이 뛰어난 성과를 이룬 학생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장재희 학생은 학사과정을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하였으며, 연구에 대한 남다른 열정을 가지고 스스로 문제를 찾고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국제 여성 과학기술인학술대회 BIEN 2021에서 Radio Occultation 시스템 성능 비교 분석을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하여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이 외에도 우수한 학업 성취와 연구 성과로 항공우주학회 KSAS-KAI 장학생으로 선정된 이력이 있다.

  장재희 학생은 카이스트 석사과정에 입학할 예정이며, 우수과학기술인으로서의 활약을 계속해서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mainbotton.png

 


 

학사과정 김상원, 2022년 글로벌 리더십 포상 봉사부문 수상자로 선정

 

7.김상원-2.jpg

 

   항공우주공학과 학사과정에 재학 중인 19학번 김상원 학생이 2022년 글로벌 리더십 포상 봉사부문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글로벌 리더십 포상 봉사부문은 KAIST의 핵심가치인 “창의, 도전, 배려” 중 배려, 나눔 또는 봉사활동을 꾸준히 실천한 학생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김상원 학생은 2019년 입학 이후 KAIST 글로벌 학생봉사단원으로서 탄자니아, 캄보디아, 우간다 등에서 다양한 봉사활동에 참여해왔다. 2019년에는 탄자니아 ICT 봉사단의 팀장을 맡아 드론을 활용한 기후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월드프렌즈 ICT 봉사단 우수활동팀 최우수상을 수상하였고, 2020년에는 대학생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부 장관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특히, 그가 보유한 수학〮과학적 지식을 활용한 교육 기부활동은 파견국의 역량 강화 및 정보 격차 해소에 크게 기여하였다.

   글로벌 리더로서 김상원 학생의 행보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mainbotton.png

 


 

학사과정 신동윤, 2022년 글로벌 리더십 포상 도전부문 수상자로 선정

 

8.신동윤.png

 

   항공우주공학과에 재학 중이던 신동윤 학생이 2022년 글로벌 리더십 포상 도전 부문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글로벌 리더십 포상 도전 부문은 KAIST의 핵심가치인 “창의, 도전, 배려” 중 도전정신이 뛰어나다고 인정되는 학생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항공우주공학과의 학부생이자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의 대표인 신동윤은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와 협력하여 KAIST 50주년 기념 로켓을 제작하였고, 지난 12월 제주도 한경면 용수리에서 시험 발사하였다. 이를 통해 민간 로켓 발사 및 활용 가능성을 대중적으로 널리 알리고 국내 항공우주공학에 대한 관심 제고에 기여하였다. 

   이와 같은 활약은 수많은 도전 끝에 나왔다. 약 1년의 연구개발 동안 액체 로켓엔진, 항전 장비, 소프트웨어 및 지상관제 시스템 등 로켓 핵심 부품을 모두 자체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수의 기술적 문제들이 발생했으나, 약 20회의 성능 시험을 통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민간 로켓 발사를 위한 인허가 절차가 미비한 것도 문제였다. 신동윤은 발사 허가를 위해 6개월간 제주와 대전을 10회 이상 왕복하며 제주도청과의 협의 끝에 공역 및 해상통제 절차를 확립하였다.

   신동윤 학생은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할 예정이며,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대표 업무도 병행할 예정이다.

 

 

 

mainbotton.png

 


 

학사과정 장재희, 학부생연구참여(URP) 프로그램 우수상 수상

 

14.URP_상장.jpg

 

   우리 학과 장재희 학사과정(지도교수: 이지윤) 학생이 2021 여름/가을 학부생연구참여(URP) 프로그램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연구 제목: Research on Development of Total Electron Content Retrieval Algorithm for CubeSat GNSS RO 

 

 

 

mainbotton.png

 


 

 

 

 

원글                   이창훈[hl53214@kaist.ac.kr]

편집                      김경환[fddcd@kaist.ac.kr]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