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사업 소개
Q/V 송수신 모듈 조립체 개발 및 저궤도 우주환경 지상 검증
본 연구과제는 이 연구과제는 “비 지상망 서비스를 위한 다층 망 구조용 유연성을 갖춘 능동형 대용량 전송 시스템 개발”이라는 총괄과제 하에 진행되는 “Q/V 송수신 모듈 조립체 개발 및 저궤도 우주환경 지상 검증”이라는 세부 연구과제이다. 극저온 및 고온, 고진공 등 우주 환경에서도 Q/V 대역 송수신 모듈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며, 지상에서 이러한 환경을 모사하여 성능을 검증할 계획이다. 또한 온도 변화에 따른 열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방열성 구현 기술도 포함되어 있다.
<그림 1. 기술개발 컨소시엄 협력 구성>
본 연구는 위성통신 체계 적합성을 입증하기 위해 조립체 성능 검증이 필수적이다. 위성용 송수신 모듈에 상용 기성품(COTS)을 사용하려면 부품 선정, 관리, 구매, 그리고 신뢰성 시험 등을 통해 품질을 확보해야 한다. 더불어 초저궤도와 저궤도 우주환경에서의 시험 및 검증 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초저궤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자산소에 의한 물리적, 화학적 영향에 대비한 방호 기술도 요구된다.
<그림 2. 단계별 초저궤도/저궤도 우주위협복합인자 시험 및 신뢰성 평가>
<그림 3. 초저궤도/저궤도 우주위협복합인자 분석, 시험 및 문서>
이 과제의 기대효과는 Q/V 대역 저궤도 위성통신용 핵심 모듈의 시험 기술을 확보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차세대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을 국내에서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다. 또한 우주용 부품 스크리닝 기술 개발을 통해 해외 전문 기업이 수행하던 스크리닝 사업을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출 시장도 개척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우주 환경에서의 다양한 위협 인자에 대한 시험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우주급 부품의 신뢰성 기술도 강화될 것이다.
원문 한재흥 교수[jaehunghan@kaist.ac.kr]
편집 이승찬[aero_sc@kaist.ac.kr]
Comment 0
- Total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
No. | Subject |
---|---|
Notice | 자유기고 모집 |
Notice | Fund Raising |
344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43 |
신규 사업 소개 (복합 화학반응을 포함한 극초음속 다원자 혼합물 유동의 입자기반 해석기법 개발)
![]() |
342 |
연구실 탐방 (전기추진 및 이온빔 응용 연구실 연구실)
![]() |
341 |
연구실 탐방 (Space Testing And Research 연구실)
![]() |
340 |
학부생 소식 (2025 봄 해피아워 개최)
![]() |
339 |
특집 인터뷰 (이동호 교수)
![]() |
338 |
동문 인터뷰 (Caltech 연구원 서종은 박사)
![]() |
337 |
Research Highlight (이상봉 교수)
![]() |
336 |
항공우주 이야기 (민간 무인 탐사선 블루 고스트 달 착륙)
![]() |
335 |
Photo Album
![]() |
334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33 |
연구실 탐방 (익스트림역학 및 멀티피직스 연구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