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AE NEWSLETTER

NEWSLETTER (16'~)

45호 특집 인터뷰 (이전윤 교수)

AE News 2022.07.07 15:50 Views : 518

특집 인터뷰 : 이전윤 교수


 

 

이전윤_cropped-1.jpg

 

 

1. 간단한 교수님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2022년 4월 항공우주공학과에 부임하게 된 이전윤입니다. 저는 2012년 KAIST 기계공학과를 졸업 후, 2014년과 2018년에 MIT 기계공학과에서 석사 그리고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박사후 연구원으로 MIT 항공우주공학과와 화학공학과에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2. 교수님께선 어떤 연구를 해오셨고, 현재는 어떤 연구를 하고계신가요?

 

   저는 항공우주 복합재의 생산공정의 개선, 특히 이를 위해 나노소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연구를 해왔습니다. 대표적으로 나노기공의 모세관현상을 이용하여 복합재의 기포결함을 최소화하는 기법을 연구하였습니다.

 

   현재도 저의 연구 관심 분야는 이종 및 계층적 소재/재료의 새로운 제조 공정과 항공 우주 응용 분야를 위한 향상된 가공성을 갖춘 혁신적인 복합 재료 및 구조를 연구 개발하는 것입니다. 도심항공모빌리티 (Urban Air Mobility, UAM)와 우주탐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복합재료의 중요성과 수요를 나날히 증가하고 있으며, 새로운 혁신적 복합소재와 생산공정으로 이 패러다임들의 실현을 앞당기는 기술들을 연구개발을 하고자 합니다.

 

 

 

3. 부임하시기 전에는 어디서 연구 혹은 근무를 하셨고, 어떤 경험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부임 전까지 MIT 항공우주공학과와 화학공학과 두개의 연구실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지도교수님들의 배려로 두 연구실에서 서로 관련이 없는 개별적인 과제들에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지만, 정말 정신없이 바쁘게 시간이 흘렀던 기억이 납니다.

 

   항공우주공학과 연구실에서는 박사 때 제안/개발하였던 복합재 생산공정의 scale-up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화학공학과에서는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마스크와 필터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화학공학과의 경우 나노 섬유의 다양한 생산 공정에 대한 관심으로 참여하게 된 과제였으며, 제가 대학원과정 때 연구하였던 복합재와는 다소 상이한 분야였습니다. 하지만 제 연구의 폭을 넓히고, 연구라는 큰 틀은 분야에 관련없이 동일하다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과제에 참여하기 시작할 당시에는 새로운 분야의 연구에 참여한다는 것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느꼈었지만, 문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은 비슷하다는 점을 느끼면서, 새로운 분야를 짧은 시간에 많이 배울 수 있었습니다. 지금 제가 겪었던 두려움과 같거나 비슷한 걱정을 하시는 분도 있으실 거라 생각되는데요, 지금까지 차근차근 공부하시며 쌓아오신 지식과 경험들이 자연스레 큰 도움이 될 겁니다. 두려움을 넘어 한번 부딪쳐 보시 길 적극 추천드립니다.

 

 

 

4. 앞으로 구성하실 연구실에서는 어떤 분야의 연구를 하실 지, 어떤 학생들이 관심있을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항공우주산업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복합재료의 필요성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복잡한 공법과 높은 생산비용으로 인하여 적용에 많은 제한이 있어 왔습니다. 제 연구실은 첨단 복합재료의 무결성 (integrity)에 영향을 미치는 공정 매개 요인의 이해를 기반으로, 첨단 재료의 이질적인 (heterogeneous) 특성에 맞는 차세대 제조/생산 방식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이러한 혁신적 생산공정을 통해 기존 공정으로는 실현하기 어려웠던 항공우주 소재를 개발하고 구현하고자 합니다. Industry 4.0 및 스마트 팩토리 구축과 더불어 복합재료의 생산공정 혁신을 통해 차세대 항공우주 구조물을 효율적으로 제조/생산하고, 이를 통해 복합재료에 대한 접근성을 항공우주산업을 넘어 다양한 산업 전반으로 확장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또한, 복합재료생산 공정은 3D printing과 적층 제조 (additive manufacturing)라는 점에서 궤를 같이합니다. 복합재 생산공정에서의 기술들이 3D printing에서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이를 기반으로 확대 적용해볼 계획입니다.

 

   소재 및 생산공정이라는 테마는 실험 그리고 이론적 모델링을 포함한 다양한 방면에서의 이해와 접근을 필요로 합니다. 예를 들어 구조 및 재료역학 뿐만 아니라 유체 역학/유동학에 대한 포괄적 지식을 필요로 합니다. 또한 복수변수의 최적화 이론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테마이기도 합니다. 폭넓은 분야가 종합되어 있는 만큼 항공우주소재와 생산기법들에 대한 막연한 관심만으로도 재미있는 주제를 함께 찾아내고 연구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5. 선배로서 대학원생과 학부생에게 조언 부탁드립니다.

 

   많은 분들이 학부 그리고 대학원 공부를 통해, 내가 좋아하고 하고싶은 것이 무엇인가 고민하고 찾아가는 시기를 겪고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어느 날엔 그 목표와 동기부여가 뚜렷하기도 하고, 때로는 막연하고 의문이 들어 덜컥 조바심을 느끼는 때도 있으실 것이라 생각됩니다. 물론 미래를 계획하고 정해진 목표를 위해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이따금 그때 그때 주어진 것에만 충실하는 것이 해답을 주기도 합니다. 그 순간순간에 진심으로 다한다면, 의미없게 느껴졌던 일들이 차곡차곡 쌓여 도움을 주는 날이 꼭 오게 될 것입니다. 어느 순간 뚜렷하지 않았던 미래가 그려지는 순간도 있을 것입니다. 단순히 학업뿐만 아니라 휴식 또한 최선을 다해 후회없이 할 수 있겠지요. 조급해하지 마시고,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매순간 즐기는 하루가 되길 바랍니다.

 

 

 


 

 

 

mainbotton.png

원고                   이전윤[jlee@kaist.ac.kr] 

인터뷰            진도현[jdohyun7@kaist.ac.kr]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