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AE NEWSLETTER

NEWSLETTER (16'~)

22호 News 및 이색소식

AE News 2016.09.27 15:25 Views : 968

NEWS


이정률 교수, SARES Young Scientist Award 수상

이정률 교수는 2016년 International Symposium on Sustainable Aviation 에서 Sustainable Aviation Research Society 에서 수여하는 Young Scientist Award를 수상하였다. 상기 협회는 항공기 감항 기술 분야에서 매년 Lifetime Achievement Award, Science Award, Service Award, Young Scientist Award, Company Award를 수여한다. Young Scientist Award는 관련 분야 H-index와 그간 관련분야의 연구업적을 평가하여 수여한다.

 

1.png

mainbotton.png

 

 

 

서동호 박사과정 학생, 한국전산유체공학회(KSCFE)에서 수여하는 우수발표논문상 수상

박사과정 재학중인 서동호 학생(이덕주 교수님 연구실)이 2015년 한국전산유체공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진행한 논문 발표에 대해 우수발표논문상의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논문상을 수상한 논문명은 ‘가속운동 상태의 원통형 실린더에 관한 Scale Resolving Simulation을 이용한 수치해석’ 이다.

 

2.jpg

mainbotton.png

 

 

 

서종은 석사과정 학생, 한국소음진동공학회(KSNVE)에서 수여하는 논문우수발표상 수상

우리 학과 석사과정 재학 중인 서종은 학생(지도교수 한재흥)이 2015년 한국소음진동공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진행한 논문 발표에 대해 논문우수발표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수상 논문명은 ‘Notch Filter 제어기법을 이용한 반작용 휠 미소진동 절연장치의 절연 성능 평가’이다.

 

3.jpg

mainbotton.png

 

 

 

안명환 박사과정 학생, 한국항공우주학회(KSAS)에서 수여하는 우수논문발표상 수상

우리 학과 박사과정 재학 중인 안명환 학생(지도교수 이덕주)이 2015년 항공우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진행한 논문 발표에 대해 우수논문발표상의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한 논문명은 ‘효과적인 충격파 예측을 위한 고차-고해상도 단조성 보존 기법 개발’이다.

 

4.jpg

mainbotton.png

 

 

 

홍승찬 박사과정 학생, 한국복합재료학회(KSCM)에서 수여하는 우수논문발표상 수상

우리 학과 박사과정 재학 중인 홍승찬 학생(지도교수 이정률)이 2016년 한국복합재료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진행한 논문 발표에 대해 우수논문발표상의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한 논문명은 ‘전영역 펄스-에코 초음파전파영상화 시스템을 사용한 복합재 구조 비파괴 평가’이다

5.jpg

mainbotton.png

 

 

 

국토부-미래부 장관 정책협의회 현장 과제현황 보고 및 연구결과 시연

우리 학과 심현철 교수는 지난 6월 9일 미래부-국토부 장관과 양 부처가 함께하는 드론 체험행사에서 연구결과 성과를 발표했다. 광나루 모형비행장에서 열린 이 행사에서 심현철 교수 연구팀은 국토부와 미래부가 진행하는 드론 관련 연구개발 성과를 발표했고, LTE 통신망을 이용한 드론 제어, 무인차와 드론을 이용한 택배서비스, 무허가 무인기 공중 포획 등의 연구성과를 선보였다. 이 행사 후 부처가 함께하는 정책간담회가 열렸으며 드론과 자율 주행차 등 신산업 육성에 양 부처가 협력하여 정책목표를 추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6.jpg

mainbotton.png

 

 

 

Annual Meeting of the New Champions 2016 (세계경제포럼 주최) 참가

우리 학과 심현철 교수는 진행 중인 “최소 침습성 무인화 기법(조종사 로봇/Pibot)”이라는 연구주제로 세계경제포럼 (World Economic Forum, WEF)에서 주최하는 Annual Meeting of the New Champions 2016(AMNC 2016, 2016년 6월 26-28일, 중국 톈진)에 초청되었다. 2014년부터 “조종사 로봇(Pibot)”이라는 연구주제로 연구를 진행해온 심현철 교수 연구팀은 현재 사람 크기의 로봇 플랫폼과 4자유도 비행 모션 모사 장치, 비행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등으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여 인간 조종사를 보조, 대체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 중이다.

 

7.jpg

mainbotton.png

 

 

 

백승욱 교수, ICHMT 2016에서 수여하는 기여업적상 수상

백승욱 교수가 복사 열전달 연구 분야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6월 6~10일 터키 카파도키아에서 개최된 국제 복사 열전달 학회(International Centre for Heat and Mass Transfer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Radiative Transfer(RAD-16))에서 기여업적상(Achievement award of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radiation transfer)를 수상했다. 또한 “Thermal Radiation Characteristics in Combustion”을 주제로한 기조 연설자로 선정되었다.

 

8.jpg

mainbotton.png

 

 

 

우리학과 Rocketeers 팀, 제 1회 창조국방학술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우리 학과 로켓티어(Rocketeers) 팀(지도교수 권세진)이 국방부가 주최한 ‘제 1회 창조국방 학술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차지했다. 본 경진대회에서 로켓티어 팀은 ‘한국형 미사일 방어용 차세대 직격 요격체 액체 추진시스템’을 주제로, 요격 미사일 액체 추진제의 맹독성과 폭발 위험을 개선하기 위해 친환경 접촉 점화성 추진제를 제안하였다.

 

9.jpg

mainbotton.png

 

 

 

QB50 프로젝트 큐브셋 LINK(KR01) FM 조립 및 환경시험 완료

우리 학과 항공우주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지도교수 방효충)의 KR01팀이 2012년부터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 프로젝트인 QB50의 일부로 발사될 큐브셋 LINK(Little Intelligent Nanosatellite of KAIST)의 FM 조립 및 환경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본 위성은 8월에 네덜란드로 배송될 예정이며, 이후 2016년 12월 국제우주정거장으로 발사되어 2017년부터 저궤도 대기관측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10.png

mainbotton.png

 

 

 

우리 학과 졸업생 오현동 박사, UNIST 기계 및 원자력공학과 신임 교수로 임용

우리 학과 졸업생 오현동 박사가 2016년 8월 UNIST 기계 및 원자력공학과 신임교수로 임용되었다. 오현동 박사는 2004년과 2010년 2월에 우리 학과 탁민제 교수의 지도 하에 학사 및 석사학위를 각각 취득하였으며, 영국의 Cranfield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영국 Surrey 대학교에서 Postdoc을 거쳐 Loughborough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2년 간 근무한 바 있다. 오현동 박사는 무인 자율 이동체를 위한 의사 결정, 유도, 제어 및 항법 관련 이론 및 실험 연구를 수행하여 왔다.

 

11.jpg

mainbotton.png

 

 

 

임재한, 장광우 학부 4학년생 베이항 대학교 ICDIC 항공안전, 심우주탐사 분야서 각각 3위

우리 학과 학부 4학년 임재한, 장광우 학생이 베이항 대학교에서 열린 2016 ICDIC(International Collegiate Design Innovation Competition)에서 각각 항공안전 분야, 심우주탐사 분야에서 3위를 하였다. 연구 주제는 각각 ‘Saving the airplane in no power scenario’(항공안전), ‘Solar sail propulsion by focusing broad sunlight’ (심우주탐사)이다.

 

12.png

mainbotton.png

 

 

 

우리 학과 졸업생 박동훈 박사, 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신임 교수로 임용

우리 학과 졸업생 박동훈 박사가 2016년 9월 1일부로 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신임교수로 임용되었다. 박동훈 박사는 2006년 2월 우리 학과 학사 취득 후, 2008년과 2013년에 우리 학과 박승오 교수의 지도하에 석사 및 박사학위를 각각 취득하였다. 박사 졸업 후, KAIST 기계 기술연구소 (2013.03 ~ 11)에서 Postdoc을 거쳐, 항공우주연구원 (KARI) 공력성능연구팀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한 바 있다 (2013.12 ~ 2016.08). 박동훈 박사는 PSE 기법을 이용한 Hump 위 경계층의 선형 및 비선형 안정성 해석 연구를 주로 수행하여 왔다.

 

13.jpg

mainbotton.png

 

 

 

우리 학과 졸업생 김혜민 박사, 한국교통대학교 항공∙기계설계학과 신임 교수로 임용

우리 학과 졸업생 김혜민 박사가 2016년 9월 1일부로 한국교통대학교 항공∙기계설계학과 신임 교수로 임용되었다. 김혜민 박사는 2010년 우리 학과 학사 취득 후, 2012년과 2015년 2월 우리학과 백승욱 교수의 지도하에 석사 및 박사학위를 각각 취득하였으며,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 하였다. 김혜민 박사는 비정상 상태에서 다양한 연료 단일액적의 증발 및 연소에 관한 실험적 연구를 주로 수행하여 왔다.

 

14.jpg

mainbotton.png

 

 

 

우리 학과 Postdoc 라비 판와(Ravi Panwar) 박사, 인도 Thapar University 신임 교수로 임용

우리 학과 Postdoc 라비 판와(Ravi Panwar) 박사가 2016년 9월 1일부로 인도 Thapar 대학교 전자통신공학과 신임 교수로 임용되었다. 라비 판와 박사는 2015년 9월부터 우리학과 이정률 교수의 지도하에 박사 후 연수과정을 수행하였다. 라비 판와 박사는 2015년 IIT Roorkee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KAIST에서 스텔스 구조 설계 연구를 지속했었다.

 

15.jpg

mainbotton.png

 

 

 

이색소식


 

심현철 교수, 대전 MBC “허참의 토크 & 조이” 출연

우리학과 심현철 교수가 지난 5월 22일 대전 MBC ‘허참의 토크앤조이(Talk&Joy)’에 국내 드론 연구 1세대 연구자로서 출연하였다. 심현철 교수는 이날 방송에서 90년대 초반 독자적으로 드론 연구를 시작하던 시기부터 현재의 무인 자동차, 군용 드론, 민간 촬영 및 택배 드론 등 최신 무인 이동체 관련 연구에 대한 소개, 그리고 드론 연구의 향후 미래에 대한 이야기 등을 다양하게 전달하였다.

 

21.jpg

mainbotton.png

편집         현종민 [jmhyun08@kaist.ac.kr]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