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돌아온 우주비행, 스페이스 크루 데모-2)
https://www.spacex.com/updates/crew-demo-2-mission-update-5-30-2020/
(SpaceX)
2020년 5월 30일 오후 7시 22분, Crew Dragon C206 Endeavour 호가 플로리다에 위치한 케네디 우주센터(John. F Kennedy Space Center, KSC)에서 2명의 우주인을 태운 상태로 발사되었다. 이는 2011년 스페이스 셔틀 미션 이후, 9년 만의 첫 유인 궤도 우주비행이었으며 민간 기업의 첫 유인 우주비행이었다. 원래 계획대로는 크루 드래곤 데모-2 (Crew Dragon Demo-2)는 2020년 5월 27일 발사였으나 기상 악화로 취소되었으며 다행히 성공적으로 아래와 같이 5월 30일날 발사되었으며 내년 실제 임무를 위한 The Crew-2 발사는 2021년 9월로 예정되어 우주비행의 시작을 다시 알릴 예정이다.
그림1. Crew Dragon C206 Endeavour호의 5월 30일 발사 장면
[https://www.tampabay.com/news/breaking-news/2020/05/30/spacex-launches-crew-dragon-successfully/]
2011년의 스페이스 셔틀을 이용한 STS-135 미션 이후, 미국의 나사는 천문학적으로 드는 비용과 위험을 무릎 쓰고 더 이상 유인 우주비행을 진행하지 않았다. 이는 우주 분야 발전의 속도를 낮추었으며 우주비행에 꿈을 갖는 사람들에게 많은 아쉬움을 안겨주었다. 하지만 이에 대하여 단순히 우주비행의 재개에 만족하지 못하고 화성 탐사를 계획하는 엘론 머스크의 SpaceX가 있었다. 우주비행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였으며 많은 비판을 받았던 천문학적인 비용에 대하여 SpaceX는 2011년부터 재사용이 가능한 로켓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다양한 종류의 Falcon 우주선을 연구 개발 및 제작하였다. 이번 우주비행이 민간 기업으로는 유인 우주비행이 첫 시도임에도 불구하고 탄탄한 기반과 기술을 확보하며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 있었으며 이번 발사에서도 다시 한번 성공을 이뤄냈다.
이번 크루 드래곤 데모-2는 이미 2번의 우주비행을 수행하였던 베테랑들인 Douglas Hurley와 Robert Behnken의 2명의 우주인이 탑승하였다. 발사 전, 기존의 나사의 주황색 우주복에서 달라진 SpaceX의 우주복을 입은 Douglas Hurley와 Robert Behnken가 발사 장소로 이동하면서 엘론 머스크의 또다른 회사의 Tesla의 Model X 차량을 타고 이동하는 것과 같이 이전의 우주 발사 현장과는 색다른 광경을 보여주었다.
그림2. Douglas Hurley와 Robert Behnken의 발사 장소로 이동 전 모습
[https://www.space.com/astronauts-rehearse-spacex-crew-dragon-demo-2-launch.html]
Crew Dragon C206 Endeavour 호는 성공적인 발사 후에 재사용이 가능한 Falcon9 발사체와 분리 후, 19시간 뒤에 국제우주정거장에 성공적인 도킹 및 도착을 하였다. 국제우주정거장에 ISS Expedition 63의 동료들과 만났으며 이들은 계획된 우주에서의 임무들을 수행할 예정이다. 현재 2020년 6월 26일 계획되었던 첫번째 Spacewalk를 진행하였다. 기존에 국제우주정거장에 있었던 Chris Cassidy와 이번 크루 드래곤 데모-2의 Robert Behnken은 6시간 7분동안 Spacewalk를 진행하였으며 배터리 교체 및 태양광 패널 교체의 임무를 모두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 7월 1일 2번째 Spacewalk를 진행하였으며 임무 종료 전까지 총 2개의 추가적인 Spacewalk가 존재하며 국제우주정거장의 유지 보수 및 개선을 위한 작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그림3. Crew Dragon C206 Endeavour 호 국제우주정거장에 도킹하는 모습
[https://www.teslarati.com/spacex-crew-dragon-space-station-arrival/]
그림4. Spacewalk 임무 전의 Crew Dragon C206 Endeavour 호 및 국제우주정거장의 모습
[https://www.nasa.gov/image-feature/an-astronauts-view-of-work]
이번 우주비행 임무는 발사 후, 현재까지 1달의 시간이 지났으며 계획되었던 임무들을 우주정거장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2020년 8월 2일 착륙을 기점으로 종료될 예정이다. 첫 민간 기업의 유인 우주비행 시도이며 미국 자체에서도 9년만에 다시 재개된 유인 우주비행으로서 전세계적으로 많은 관심과 기대와 꿈을 심어주고 있다. 모든 임무에 대하여 성공적으로 수행되며 지구로의 안전한 복귀를 기원하며 이 우주비행 임무가 미국에 국한되지 않고 전세계적으로 우주비행과 우주 및 항공과 관련된 산업의 무궁한 발전의 신호탄이 되기를 염원한다.
원문 박진우[jinpark57@kaist.ac.kr]
편집 박진우[jinpark57@kaist.ac.kr]
Comment 0
- Total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
No. | Subject |
---|---|
Notice | 자유기고 모집 |
Notice | Fund Raising |
344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43 |
신규 사업 소개 (복합 화학반응을 포함한 극초음속 다원자 혼합물 유동의 입자기반 해석기법 개발)
![]() |
342 |
연구실 탐방 (전기추진 및 이온빔 응용 연구실 연구실)
![]() |
341 |
연구실 탐방 (Space Testing And Research 연구실)
![]() |
340 |
학부생 소식 (2025 봄 해피아워 개최)
![]() |
339 |
특집 인터뷰 (이동호 교수)
![]() |
338 |
동문 인터뷰 (Caltech 연구원 서종은 박사)
![]() |
337 |
Research Highlight (이상봉 교수)
![]() |
336 |
항공우주 이야기 (민간 무인 탐사선 블루 고스트 달 착륙)
![]() |
335 |
Photo Album
![]() |
334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333 |
연구실 탐방 (익스트림역학 및 멀티피직스 연구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