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AE NEWSLETTER

NEWSLETTER (16'~)

31호 항공우주공학과 News

AE News 2019.01.07 15:04 Views : 1558

NEWS


 

 

B. V. S. Jyoti 박사,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교수 임용.

 

1.png

 

 우리 학과 출신의 B. V. S. Jyoti 박사가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TU Delft) 에 교수로 임용되었다. B. V. S. Jyoti 박사는 우리 학과 추진 및 연소 연구실 (지도교수: 백승욱) 에서 박사 학위를 2015년에 취득하였으며, 이후 3년간 박사 후 과정으로 머물렀다.

mainbotton.png


 

 

정보 및 제어 시스템 연구실, NIPS 2018 게재 승인.

 

2a.png  2b.png

 

 우리 학과 정보 및 제어 시스템 연구실 (지도교수: 최한림) 에서 작성한 논문이 인공지능 분야 최우수 학회인 NIPS 2018 (Google h5-index: 134) 에 게재 승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차원 모션 계획 및 최적 제어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한 기법을 제시하였다.

논문 제목: Adaptive Path-Integral Autoencoder: Representation Learning and Path Planning for Dynamical Systems

저자: 하정수, 박영진, 채혁주, 박순서, 최한림

mainbotton.png


 

 

항공우주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 Hyundai-Technion-KAIST 유인 드론 프로젝트 착수.

 

3a.png

3b.png

 

 우리 학과 항공우주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 (지도교수: 방효충)팀은 지난 2018년 10월 17일 HTK (Hyundai-Technion-KAIST)의 유인 드론 프로젝트 착수 회의를 가졌다. 본 프로젝트는 현대 자동차와 이스라엘 Technion 공과대학과 KAIST의 협력으로 유인 드론의 비행제어와 임무 설계를 공동으로 연구할 예정이다. 특히 방효충 교수 연구팀은 유인 드론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고신뢰성 비행 제어기'를 연구하여 실증할 예정이다.

 

mainbotton.png


 

 

박상현 박사과정, 7th Asian/Australian rotorcraft forum best paper award 수상.

 

4a.png

4b.png

 

 우리 학과 박상현 박사과정 (지도교수: 권오준) 학생이 2018 10 31 7th Asian/Australian Rotorcraft Forum에서 Best Paper Award를 수상하였다. 박상현 박사과정 학생의 논문 발표 주제는 ‘Numerical Study about Aerodynamic Interaction for Coaxial Rotor Blades’ 이다.

 

mainbotton.png


 

 

이정률 교수, 한국복합재료학회 복합재료논문상 수상.

 

5a.png

 

 우리 학과 이정률 교수는 복합재료관련 학술지에 우수한 논문들을 다수 게재하여 복합재료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바로 복합재료논문상을 수상하였다.

 

mainbotton.png


 

 

이인 교수, 한국복합재료학회 KAL-KSCM상 수상.

 

6.png

 

 우리 학과 이인 교수는 복합재료학회 회장직 (2003~2004) 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한일조인트 복합재료심포지엄의 활성화에 공로가 크고 복합재료의 항공우주구조물 응용 역학 분야에 많은 학술적 업적을 남겨 ‘KAL-KSCM’ 상을 수상하였다.

 

mainbotton.png


 

 

김천곤 교수, 한국복합재료학회 학술상 수상.

 

7a.png   7b.png

 

 우리 학과 김천곤 교수는 국내외 복합재료 관련 학술 부문에서 다수의 우수한 연구성과를 이룩하고 탁월한 활동을 통해 복합재료 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하여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mainbotton.png


 

 

홍창선 교수, 한국복합재료학회 복합재료대상 수상.

 

8a.png   8b.png

 

 우리 학과 홍창선 교수는 복합재료학회 회장직 (1998~2002) 을 장기간 수행하면서 ACCM과 한일조인트 복합재료심포지엄 창립 등 학회의 발전 뿐만 아니라 복합재료 국제공동체 확산에 크게 기여하여 복합재료대상을 수상하였다.

 

mainbotton.png


 

 

서종은 박사과정,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aptive Structure and Technologies 학회 best paepr presentation award 수상.

 

9a.png  9b.png

 

 우리 학과 스마트 시스템 및 구조 연구실 (지도 교수: 한재흥) 서종은 박사과정 학생이 2018년 9월 서울에서 개최된 2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aptive Structures and Technologies 학회에서 Best Poster Presentation Award를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Deployable truss structure with shape memory alloy spring: Application of the bistability

저자: 서종은, 정석용, 한재흥

 

mainbotton.png


 

 

성열훈 박사과정, 2018 한국항공우주학회 춘계학술대회 우수논문발표상 수상.

 

10a.png   10b.png

 

 우리 학과 스마트 시스템 및 구조 연구실 (지도 교수: 한재흥) 성열훈 박사과정 학생이 2018년 4월에 개최된 한국항공우주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자기 부상 풍동을 활용한 NACA 0015 날개의 비정상 공력 특성 연구

저자: 성열훈, 한종섭, 한재흥

 

mainbotton.png


 

 

박성현 박사과정, 2018 KAI 항공우주 논문상 수상.

 

11a.png   11b.png

 

 우리 학과 극초음속 연구실 (지도교수: 박기수) 박성현 박사과정 학생이 2018년 9월에 개최된 KAI (한국항공웅주산업) 주관 항공우주 논문상 공모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재진입 인공위성의 부서짐 현상을 고려한 생존성 및 궤적 예측에 관한 연구

저자: 박성현, 박기수

 

mainbotton.png


 

 

KAIST-인공위성연구소, 소형과학로켓 우리새 2호 발사.

 

12a.png   12b.png

 

 우리 학과 권세진 교수 연구팀이 KAIST 인공위성연구소와 함께 소형 과학 로켓 우리새 2호를 개발하여 발사에 성공하였다. 우리새 2호는 2018 10 28일 오전 10 40분께 전북 새만금 간척지에서 발사되었고, 900여 미터 상공까지 비행 후에 소방당국의 지원으로 회수되었다. 3km 상공까지 비행할 능력을 갖추었지만 이번에는 1km까지만 공역이 승인되었고, 따라서 추가 발사가 이어질 예정이다.

 우리새 2호는 길이 2.2m, 직경 0.2m, 무게 20kg 규모이며 핵심 부품을 국내 기술로 만든 소형 과학 로켓이다. 일반적인 과학 로켓은 30km 이상의 준궤도에서 운용되며 추진 기술 개발, 재진입 기술 개발, 무중력 실험, 대기 측정 등의 과학적 목적을 위해 발사된다. 이번 우리새 2호에서는 하이브리드 엔진, 비행 컴퓨터, 낙하산 사출장치, 지상 통제국 등이 자체 개발되었으며 로켓의 비행 데이터는 모두 로켓 내부의 메모리와 지상통제국에 저장된다.

 

mainbotton.png


 

 

조한솔 박사,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신임 교수 부임.

 

13.jpg

 

 조한솔 박사가 2018년 11월부로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 조교수로 부임하였음. 조한솔 교수는 2014년 MIT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후 MIT의 화학공학과 및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의 Theoretical Division에서 연구활동을 하였음. 전공 분야는 고체 및 연속체역학이며 다양한 환경 및 스케일에서 고체 및 재료의 극한변형을 연구함.

mainbotton.png


 

 

이창훈 박사,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신임 교수 부임.

 

14.png

 

이창훈 박사가 2019 1 28일부로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 조교수로 부임하게 되었다. 이창훈 박사는 2010 2월 우리 학과 탁민제 교수의 지도 하에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이후 2013 2월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후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2016 5월부터는 영국 Cranfield University 에서 research fellow 로 근무하였으며 Big data를 활용한 항공기 운항 및 유지보수 계획 알고리즘 개발 프로젝트 (AIRMES) 에 참여하였다.

 

mainbotton.png


 

 

최윤실 박사과정, ICAST 2018 best poster presentation award 수상.

 

 

그림1.jpg

그림2.png  그림3.png

 

 

우리 학과 최윤실 박사과정 (지도교수: 이정률) 학생이 2018년 10월 1일부터 3일까지 건국대학교에서 개최된 2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aptive Structures and Technologies (ICAST 2018) 에서 Best Poster Presentation Award 를 수상하였다.

 

제목: Visualization of defects for high-pressure vessel with phased-array ultrasonic propagation imaging system

저자: 최윤실, 이정률

 

mainbotton.png


 

 

방효충 교수 연구실, KAIST-Adama University Joint Workshop 개최.

 

16.png

 

 우리 학과 항공우주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 (지도교수: 방효충) 팀은 지난 2018 8 16일부터 20일까지 에티오피아의 Adama 대학과 Joint Workshop for Nanosatellite Development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본 워크샵에서는 Adama 대학의 백홍렬 교수와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우주비행체 (방효충 교수) 및 발사체 (안재명 교수) 관련 강의가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방효충 교수 연구실 팀의 초소형 위성 개발과 운용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였다.

 

mainbotton.png


 

 

학과사무실 박종일 선생님 발령.

 

KakaoTalk_20190110_140139295.jpg

 

 2018121일부로 총장실에서 근무하던 박종일 선생님이 우리 학과로 발령되었다. 박종일 선생님은 학사과정 및 외국인 학생, 학과 홍보, 우주탐사학제전공 등의 업무를 담당할 예정이다. 그동안 우리 학과에서 근무하던 문인철 선생님은 총장실로 전보 발령되었다.

 

 

mainbotton.png

편집         김용호[kyh1477@kaist.ac.kr]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