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AE NEWSLETTER

NEWSLETTER (16'~)

30호 항공우주공학과 News

AE News 2018.09.28 14:33 Views : 1117

NEWS


 

광전구조실험실, 삼성전자와 비밀유지계약 체결.

 

1.jpg

 

 우리 학과 광전구조실험실(지도교수 이정률)이 2018년 6월 26일 삼성전자와 비접촉 센싱기술을 응용한 신뢰성 예측 기술 개발 관련 비밀유지계약을 체결하였다.

mainbotton.png

 

 

이왕근 공군참모총장, KAIST 방문 및 교류 협력 강화방안 논의.

 

2.jpg

 

 이왕근 공군참모총장이 2018년 7월 3일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방문해 신성철 총장과 교류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공군은 초소형 전술위성과 무인전투기 개발, 스마트 비행단 구축 등을 위해 KAIST에 공군연구소를 개설하는 문제를 협의했다. 2016년 공군과 군사과학기술분야 협력을 맺은 KAIST는 올해 6월부터 '공군 4.0 특별연수과정'을 운영 중이다.

mainbotton.png

 

김용호 박사과정, 한국항공우주학회 구조 및 재료 부문 2018 하계 워크샵 우수논문상 수상.

 

3a.jpg  3b.jpg

 

 우리 학과 광전구조실험실(지도교수 이정률)에서 박사과정으로 재학 중인 김용호 학생이 2018년 7월에 개최된 한국항공우주학회 구조 및 재료 부문 하계워크샵에서 ‘비디오스코프 적용을 위한 엔진 블레이드 손상 탐지 인공지능 개발’ 이라는 제목으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mainbotton.png

 

산업용 자율 비행 드론 제조사 니어스랩, 30억 투자 유치.

 

4.jpg

 

 산업용 자율 비행 드론 개발사 (주)니어스랩은 컴퍼니케이파트너스, 스톤브릿지벤처스, 데브시스터즈벤처스 등으로부터 총 3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19일 밝혔다. 니어스랩은 2015년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 출신 석박사들이 모여 설립했으며, 정기 검사가 필요한 산업 시설물을 자율비행으로 점검하는 드론을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니어스랩은 엔비디아(NVIDIA)가 주최하는 세계 최대 인공지능(AI) 컨퍼런스 GTC 2018 초청 기업 명단에 국내 드론 기업 중 유일하게 이름을 올리면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율 비행의 선두주자로 이름을 알린 바 있다. 니어스랩 최재혁 대표이사는 ‘자율비행 기술 개발을 통해 수동 비행의 한계를 극복하고 산업용 드론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으며, 사업 영역도 확대할 수 있었다’며 이번 투자를 통해 인재들을 추가로 영입하여 자율 비행 기술 수준을 끌어올리는데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mainbotton.png

 

이카루스 팀, 기상기후산업 창업경연대회 우수상 수상.

 

5.jpg

 

 우리 학과 이카루스 팀이 기상청에서 주최한 기상기후산업 창업경연대회에서 ‘사운딩로켓의 상층 기상관측 데이터 수집과 활용 방안’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여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이번 대회에서는 총 10개 팀을 선발하여 시제품 개발지원, 창업캠프 개최, 멘토링 지원, 비즈니스 전문 상담 등을 지원하였으며 그 중에서 5개의 팀을 뽑아 시상하였다. 수상 팀은 한국기상산업기술원에서 시행하는 창업자금 지원사업(최대 2000만원 이내)에 지원할 수 있으며, 기상기업성장지원센터 입주시 우대혜택을 받을 수 있다.

mainbotton.png

 

우윤지 학사과정, 학부생연구참여(URP)프로그램 최우수상 수상.

 

6a.jpg  그림1.jpg

 

 우리 학과 우윤지 학사과정 (지도교수 이정률) 학생이 2018년 8월 21일 학부생연구참여 (Undergraduate Research Participation, URP) 프로그램 워크샵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우윤지 학생의 URP 프로그램 연구 주제는 ‘촬영용 드론 및 RC카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비행체 표면 구조 손상 탐지 시스템 개발’ 이다.

 

mainbotton.png

 

남영우 박사, 국립 경상대학교 교수 발령.

 

7.jpg

 

 우리 학과 스마트 구조 및 복합재 연구실(지도교수 김천곤)의 남영우 박사가 국립 경상대학교 기계항공정보융합공학부 항공우주 및 소프트웨어공학전공 신임 조교수로 발령되어 2018년 09월 부로 재직하게 되었다. 남영우 박사는 KAIST 항공우주공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KAIST 기계기술연구소 연수연구원으로 근무하였었다.

mainbotton.png

 

정보 및 제어 시스템 연구실, Automatica 논문 게재 승인.

 

8a.jpg  8b.jpg

 

 우리 학과 정보 및 제어 시스템 연구실 (지도교수 최한림)의 하정수 박사가 제1저자로 작성한 논문이 제어 공학분야 최우수 저널 Automatica (IF: 6.126) 에 게재 승인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관심 영역/변수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센서 플랫폼의 최적 경로 계획 문제를 다루었으며, 효과적인 경로 생성을 위해 필수적인 이론과 기법을 제시하였다.

 

논문 제목: On Periodic Optimal Solutions of Persistent Sensor Planning for Continuous-Time Linear Systems

저자: 하정수, 최한림

mainbotton.png

 

권오준 교수, 2018년 봄학기 우수 강의상 수상.

 

9.jpg

 

 우리 학과 권오준 교수가 2018년 봄학기 우수강의상을 수상하였다. 권오준 교수는 공기역학 II, 압축성 공기역학 등의 과목을 담당하여 강의를 개설해왔다. 이번 우수강의상을 수상한 과목은 우리 학과에서 명강의로 유명한 AE320 공기역학 II이다. 공기역학 II 과목에서는 공기와 물체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다양한 지배 방정식을 유도하는 법을 다루며, 이를 바탕으로 2차원 및 3차원의 날개 이론에 대해 학습한다.

mainbotton.png

 

정보 및 제어 시스템 연구실, 2018 국제 군사과학기술 경진대회 우승.

 

10a.jpg  10b.jpg  10c.jpg

 

 우리 학과 정보 및 제어 시스템 연구실(지도교수: 최한림)의 졸업생 및 재학생으로 구성된 팀이 2018년 7월에 개최된 국제 군사과학기술 경진대회의 신기술 부문에서 ‘무인항공기 영상 시스템을 위한 딥러닝 기반 다수 대상체 추적 기법’을 주제로 발표하여 우승(금상 수상)하였다.

 

팀 구성원: 이선호 소령(육군사관학교), 김상현 박사(삼성전자), 김주형, 이우철 (이하 박사과정)

 

mainbotton.png

 

광전구조실험실, 두산중공업과 비밀유지계약 체결.

 

11.jpg

 

 우리 학과 광전구조실험실(지도 교수 이정률)이 2018년 7월 4일 두산중공업과 디지털 데이터 기반 UT/RT 자동 결함 평가 Platform 개발 관련 비밀유지협약을 체결하였다. 본 협약을 통해 광전구조실험실은 두산 중공업으로부터 실제 현장의 UT 및 RT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mainbotton.png

 

이덕주 교수, 한재흥 교수 외 박사과정 4인, 7th DTU-KAIST Offshore Wind Energy Workshop 참석.

 

12a.jpg  12b.jpg

 

 우리 학과 이덕주, 한재흥 교수와 이학진, 김영진, 이학민, 김호현 박사과정 학생이 2018년 8월 16일부터 17일까지 덴마크 DTU에서 열린 7th DTU-KAIST Offshore Wind Energy Workshop에 참가하였다. 본 워크샵은 Lyngby 캠퍼스에서 진행되었으며 Risø 캠퍼스에 있는 풍력 터빈 시험장, 풍동 실험실 등을 방문하는 일정도 포함되었다.

mainbotton.png

 

광전구조실험실, 레이저 초음파 검사 장비 및 기술로 단체표준 획득.

 

13.jpg

 

 우리 학과 광전구조실험실(지도 교수 이정률)에서 개발된 선형스캔 펄스에코 레이저 초음파 검사 장비 및 기술이 단체 표준 기술(한국특허등록: 10-1746922, 미국특허등록: 2016.0349217)로 e나라표준인증(www.standard.go.kr)에 단체표준으로 등록되었다. 이로서 기술 사용자가 표준절차에 따라 검사를 수행할 경우 인증이 가능해져 기술 보급이 활발해질 전망이다.

mainbotton.png

 

광전구조실험실, Composite Science and Technology 논문 게재 승인.

 

14a.jpg   14b.jpg

14c.jpg

 

 우리 학과 광전구조실험실(지도교수 이정률)의 손대성 박사과정 학생이 제 1저자로 작성한 논문이 복합재료분야 최우수 저널 Composite Science and Technology (IF: 5.160)에 게재 승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곡률을 가진 전자기 흡수 구조의 전자기 성능을 예측하는 기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검증하였다.

 

논문 제목: Prediction and Validation of Electromagnetic Performance of Curved RAS based on Equivalent Circuit Model and Ray Tracking Method

저자: 손대성, 현종민, 이정률

 

mainbotton.png

 

김규태 교수, 2018 가을학기 Safety Day 개최.

 

15a.jpg  15b.jpg

 

 우리 학과 김규태 교수가 2018 가을학기 Safety Day를 개최하였다. Safety Day는 대학원 과정 신입생 및 풍동실험실 사용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교육 자료로 우리 학과에서 자체 제작한 Safety code가 활용되었다.

mainbotton.png

 

Lockheed Martin 김경수 박사 일행 학과 방문 및 항공기 모델 전달식.

 

16a.jpg  16b.jpg

 

 2018년 9월 12일에 Lockheed Martin 김경수 박사 일행이 우리 학과를 방문하여 항공기 모델들을 기증하였다. 본 기증식에는 우리 학과의 한재흥 학과장, 방효충 공과대학 부학장, 김규태 교수, 안재명 교수, 최한림 교수가 참석하였고, Lockheed Martin 측에서는 김경수 박사가 참석하였다.

mainbotton.png

 

KAIST 공과대학-프랑스 ISAE-SUPAERO 협정 체결 및 Ceremony 진행.

 

17a.jpg 

 

 2018년 9월 12일에 KAIST 공과대학 – 프랑스 ISAE-SUPAERO 간 협정 체결 Ceremony가 진행되었다. 본 협정은 학술행사 및 정보교류에 관한 ‘일반 협력’ 내용과 학부/대학원생의 교환 프로그램에 관한 ‘학생 교환 협력’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협약 기간은 5년이다. 본 협정은 우리 학과에서 주도적으로 추진하였으며, KAIST 측에서는 김종환 공과대학 학장, 방효충 공과대학 부학장, 한재흥 학과장이 참석하였고, ISAE-SUPAERO에서는 Prof. Daniel Alazard(Academic Supervisor for student exchange in Asia & Pacific Zone) 이 참석하였다.

mainbotton.png

 

 

Air & Space KAIST 2018.

 

18a.JPG 18b.JPG18c.JPG 18d.JPG

 

 지난 2018년 9월 20일 목요일 오후 1시부터 Air & Space KAIST 2018 행사가 열렸다. 본 행사는 Air & Space Symposium과 Banquet으로 나뉘어 각각 N7 1501호와 W9 Outdoor Theater에서 진행되었다. Air & Space Symposium에서는 연구실 대표들의 세미나를 통해 학과 내 학생들끼리 학술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는데, 특히 본 행사에 참석한 2019년도 대학원 신입생들에게는 학과 내에 어떤 연구실들이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유익한 자리였다. 이후에 열린 Banquet에서는 학사 우수상, 학사 모범상 등을 포함한 11개 분야의 시상식이 열렸고, 겸임 교수님들의 건배사를 시작으로 학생들과 교수 및 교직원들이 한데 어우러져 저녁 식사를 함께 했다.

 

<참여 인원>

참여 학생: 학사 25명, 대학원 110명, 신입생 24명, 교환학생 2명

참여 교수: 한재흥, 탁민제, 권오준, 김천곤, 권세진, 방효충, 이지윤, 최한림, 안재명, 이정률, 박기수, 김규태

겸직 교수: 박필호, 박성둥, 노웅래, 권기정, 김홍배, 용기력

대우 교수: 이대희

겸임 교수: 문일철

직원: 7명

 

<수상자 명단>

학사 우수상: 이재호

학사 모범상: 장광우

석사 우수상: Felix Wolff

석사 우수논문상: 현종민, 이주성

박사 항공우주동문회 우수논문상: 하정수

박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상: 김윤호

우수 TA상: 이성현

2018년 봄학기 Dean’s List 상: 이슬, 김도운

2018년 학사 인성장학생 장학증서: 김다연, 이한영

2018년 봄학기 안전관리우수연구실: 로켓연구실, 연소불안정 및 레이저진단 실험실, 극초음속학 연구실, 광전구조연구실

Best Presentation Award: GNSS Lab, SAI Lab, OESL Lab, Hypersonic Lab

 

mainbotton.png

 

 

Boeing Scholarship “항공우주분야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기 위한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만의 특별한 해외탐방 프로그램!”

 

19a.png 19b.png

19c.png 19d.png

 

KAIST 항공우주공학과는 2013년부터 Boeing Korea로부터 산-학 협력 활성화 및 우호증진의 목적으로 매년 USD 50,000의 장학금을 지원받아 Boeing Scholarship을 운영하고 있다. 본 장학금은 항공우주공학과 학부생 중 학과성적이 우수하거나 학과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 또는 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장학금 혜택을 지원하고 있으며, 2013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 총 158명의 학부생들이 장학금 수혜를 받아왔다.

 

2017년부터는 장학금을 일반장학금과 해외연수 장학금으로 분리하여 운영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2018년 Boeing 해외연수 장학금은 학부생들이 항공우주와 관련된 탐방활동의 주제 및 국가를 직접 선정하고 계획을 세워 탐방을 한다는 점에서 단순한 해외여행이나 견학과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이다.

 

뿐만 아니라, 탐방활동 후 결과보고서를 학과 홈페이지에 등록하여 정보 공유를 통해 항공우주공학과 학부생들의 참여, 확산으로 이루어지는 학부생에 의한, 학부생들을 해외 탐방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올해에는 총 4팀이 해외연수 장학생으로 선정되었으며 유럽지역에서는 Airbus 본사 방문 및 판버러 에어쇼 방문, 미국지역에서는 Boeing, NASA Ames Center, Stanford 대학교를 방문하였다. [탐방활동 보고서 바로가기]

 

앞으로도 KAIST 항공우주공학과는 Boeing Scholarship 해외연수 장학금과 같이 학부생들의 역량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mainbotton.png

편집         김용호[kyh1477@kaist.ac.kr]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