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enu

AE NEWSLETTER

NEWSLETTER (16'~)

24호 [24호] News 및 이색소식

AE News 2017.03.27 14:13 Views : 1782

NEWS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사업 SHM 과제 선정

우리학과 이정률, 한재흥, 김천곤 교수 및 우리학교 기계과 김성수 교수, 신소재공학과 스티브박 교수가 공동으로 2017년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 사업 “CNT/Polymer 복합섬유네트워크 기반 무인항공기 SHM 시스템 개발 및 자율비행/진단 동시 실증” 과제에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었다. 참여기관으로 디쏠, 항공대학교, 서울대학교가 참여하며 총 예산은 3년간 35억원이다. 본 과제는 기존 SHM 센서와 달리 CNT/Polymer 섬유를 개발 활용하여 복합재구조와 일체화의 장점을 극대화 하는 혁신성에 도전한다.

 

News 2.jpg

 

mainbotton.png

 

 

 

KAIST 기계항공공학부, 2017 QS 세계대학평가 15위 진입 (국내 1위)

영국의 세계대학평가 기관인 QS가 8일 발표한 ‘2017 세계대학평가 학문분야별 순위’ 에 따르면 우리 대학 기계항공공학부가 세계 15위에 진입하였으며 국내 1위를 차지하였다. QS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KAIST는 총 6개 학문 분야에서 세계 20위 이내로 진입하였으며, 이는 작년 4개 분야에서 올해 6개 분야로 늘어난 결과를 보였다. 또한 7개 분야에서 국내 1위를 차지해 다시 한 번 국내 최고의 공과대학임을 입증하였다.

 

News 8.jpg

 

mainbotton.png

 

 

 

김형준 동문, 한국항공우주산업 (KAI) 전무 승진
김형준 전무는 우리 학과에서 홍창선교수의 지도하에 89년 2월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CS 본부장을 16년까지 역임 후, 17년 1월 1일자로 한국항공우주산업 전무로 승진하였다. CS 본부는 한국항공우주산업에서 ILS(종합군수지원), 훈련 체계, 운영 항공기 총괄 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News 1.jpg

 

mainbotton.png

 

 

 

한재흥, 이인 교수 SMS 25주년 Top 25 most cited papers에 선정

한재흥, 이인 교수가 Smart Materials and Structures (SMS) 25주년 Top 25 most cited papers에 선정되었다. 올해 25주년을 맞이한 Smart Materials and Structures에서 1992 ~ 2016년까지 매년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Top 25를 선정하였으며, 이 중 1999년에 한재흥, 이인 교수 연구논문이 그 해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논문명 : “Optimal placement of piezoelectric sensors and actuators for vibration control of a composite plate using genetic algorithms”

 

News 3.png

 

mainbotton.png

 

 

 

장경식 박사,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조교수로 임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졸업생 장경식 박사가 오는 2017년 3월 1일부로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기계공학부에 조교수로 임용되었다. 장경식 박사는 KAIST 학사과정 (2000년)을 졸업하였고, 이어 공기역학실험실에서 박승오 교수의 지도하에 석사학위 (2002년), 박사학위 (2007년)를 취득하였다. 장경식 박사는 LG전자 DA연구소 (2007 ~ 2009년)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이후 울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부 연구교수 (2009 ~ 2011년), 한서대학교 항공기계학과 조교수 (2011 ~ 2017년 2월)를 역임하였다.

 

News 4.png

 

mainbotton.png

 

 

 

이정률 교수, 2016년 KAIST 대표 R&D 연구성과 10선 선정

우리학과 이정률 교수가 2016년 KAIST 대표 R&D 연구성과 10선에 선정되었다. 선정된 연구는 공군과 함께 수행한 “이동식 펄스에코 레이저 초음파전파영상화 시스템 개발” 에 해당한다. 2016년 12월 20일에 연구과제 최종발표와 함께 시스템을 공군측에 전달하였으며, 미국특허등록이 완료되어 기술수출 기반을 마련하였다. KAIST 연구위원회에서는 매년 대표 R&D 연구성과를 선정하고 있으며 오는 5월 리서치데이에서 상패 수여 및 연구성과 홍보 동영상 제작을 진행할 예정이다.

 

News 5.jpg

 

mainbotton.png

 

 

 

권세진 교수 연구실, KAIST-서울대학교 과학로켓 개발 교육 프로그램 진행

우리학과 권세진 교수 연구실에서 KAIST-서울대학교 과학 로켓 공동연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2/6 ~ 2/17 기간동안 서울대학교 로켓동아리 ‘하나로’ 학생 11명이 함께한 이번 프로그램은 하이브리드 과학로켓 설계 및 실험을 목적으로 과학 로켓의 설계에 필요한 교육 및 실습을 진행하였다. 진행기간동안 과학 로켓의 전체 시스템 설계 뿐만 아니라 과학 로켓용 하이브리드 추진기관 설계, 항법장치용 HW 및 SW 제작, 과학 로켓 회수장치 실험 및 개선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News 6.jpg

 

mainbotton.png

 

 

 

김천곤 교수 연구실, KAIST 공과대학 연구뉴스레터 Breakthroughs 게재

김천곤 교수 연구실이 KAIST 공과대학 연구뉴스레터 Breakthroughs에 게재되었다. KAIST 공과대학에서는 매년 2번씩 연구뉴스레터 Breakthroughs를 통하여 공과대학에서 수행하고 있는 여러 연구를 소개하고 있다. 이번에 김천곤 교수 연구실에서 게재된 내용은 FBG (fiber-Bragg-grating) 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비행기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해당 연구에 대한 논문은 “Aircraft health and usage monitoring system for in-flight strain measurement of a wing structure” 통해 확인할 수 있다.

 

News 7a.png

 

mainbotton.png

 

 

 

방효충 교수, KAIST 공과대학 부학장 겸 기계기술연구소 소장 임명

2017년 3월 13일부로 우리학과의 방효충교수가 공과대학 부학장 겸 기계기술연구소 소장으로 임명되었다. 방효충교수는 2001년 카이스트 부임이래 연구와 교육에 전념하고 있으며, 2012 ~ 2016년 사이 학과장을 역임하였고 2014년부터 현재 국방 “초고속비행체특화연구센터장”을 담당하고 있다. 공과대학 부학장의 역할은 학장을 보좌하여 공과대학의 연구/교육 및 행정 전반의 업무를 담당하는 것이다. 공과대학은 카이스트 전체에서 학생 및 교원수의 63-65% 차지하는 최대 조직으로 역할과 임무가 어느 단과대학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신임 총장의 새로운 개혁 방침에 맞게 교육과 연구의 새로운 변화 방향을 모색하고, 국제적인 명성에 걸 맞는 공과대학의 새로운 모습을 갖추는데 일조하는 것이 신임 부학장의 포부로 알려져 있다.

 

News 9.jpg

 

mainbotton.png

 

 

 

이지윤 교수, ION Pacific Technical Advisor & Navigation Associate Editor 선임

KAIST 항공과 이지윤 교수는 그 동안의 항법 및 항행 분야에서의 학술 업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항법 관련 세계최고권위학회인 Institute of Navigation (ION) Satellite Division의 임원인 Pacific Technical Advisor로 선출되었고 부속 학술지인 Navigation의 Associate Editor에 선임되었다.

 

News 10.jpg

 

mainbotton.png

 

 

 

구본용 박사, 국립군산대 기계융합시스템공학부 신임교수로 임용

구본용 박사는 1998년과 2000년 2월에 우리 학과에서 홍창선교수의 지도 하에 학사 및 석사학위를 각각 취득하였으며, 2012년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진중공업과 미국선급에서 근무하다가, 2017년 3월 국립군산대학교 기계융합시스템공학부 신임교수로 임용되었다. 구박사는 등기하학상의 해석과 형상최적설계 분야를 전공하고 해양플랜트산업계에서 표준화와 최적설계 적용 연구를 수행하여 왔다.

 

News 11.jpg

 

mainbotton.png

 

 

 

이색소식


 

 

이덕주 교수, K-MOOC 온라인 공개 강좌

이덕주 교수는 지난 1월 16일부터 시작하여 ‘헬리콥터 비행의 이해 : 한계 그리고 도전’ 의 주제로 한국형 무크, 즉 K-MOOC (Korea Massive Open Online Course)를 통해 온라인 공개강좌를 개강하였다. 본 강좌는 헬리콥터의 비행원리, 주요성능, 진동, 그리고 소음에 관하여 알기 쉽게 설명되어 수강자가 잘 마스터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http://www.kmooc.kr)

 

이색소식 1.png

 

 

mainbotton.png

 

 

 

편집         현종민 [jmhyun08@kaist.ac.kr]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