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주요 뉴스
KAIST, 우주개발을 선도하는 우주연구원 개원
우주를 향해 더 높이 도약하는 인류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KAIST내 우주기술 역량을 총집결한 ‘우주연구원’의 개원식이 9월 30일 오후 대전 본원 대강당에서 개최되었으며, 초대 원장으로 우리 학과의 한재흥 교수가 임명되었다.
우주연구원은 뉴스페이스 시대를 이끌어갈 수 있는 우주 임무 및 융합·핵심 기술 연구를 위해 신설된 조직이다. ‘한계를 넘는 꿈의 실현’이라는 슬로건 아래 ▴최초를 지향하고 인류 삶의 지평을 넓히는 우주 분야 연구 수행 ▴글로벌 선도 대학 우주연구 집결체로서 우주 연구와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도전적 우주 임무 실증 및 개척을 통한 국내 우주기술 혁신 및 우주 산업생태계 구축 기여 ▴창의적 우주융합인재 양성으로 지속 가능한 국가 우주개발 지원 등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조직 운영에 나선다.
이를 위해 그간 다양한 부서에서 독립적으로 운영해 온 우주 분야 연구조직을 우주연구원이라는 이름으로 통합·재편했으며, 산하 조직으로는 ▴인공위성연구소를 주축으로 향후 ▴우주기술혁신인재양성센터 ▴우주핵심기술연구소 ▴우주융합기술연구소를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Air & Space KAIST 2024 성황리 개최
2024년 10월 4일, Air & Space KAIST 2024가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에는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동문과 재학생 등 약 200여 명이 참석하여 성황을 이루었다.
항공우주공학과에서 진행 중인 다양한 연구들이 소개되었으며, 한 해 동안 우수한 학업과 연구성과를 낸 학생들에게 시상이 이루어졌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권세진 교수님의 장학금인 KSF 장학기금 1회 수여식이 함께 진행되어 더욱 의미 있는 자리가 되었다.
한재흥 교수 연구실 고형석 (석사과정) & 양현호 (박사과정), 2024 RecurDyn Simulation 경진대회 2년 연속 1위 입상
우리 학과 스마트 구조 및 하드웨어 시스템 연구실 (지도교수: 한재흥)의 고형석 학생과 양현호 학생은 펑션베이㈜가 주최하는 “2024 RecurDyn Simulation 경진대회”에서 42개의 팀 중 금상(1위)으로 입상하여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1위를 차지하였다.
발표 주제는 "조류모방형 날갯짓 비행체 통합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며, RecurDyn의 유연다물체 동역학 해석과 비정상 와류 격자법을 활용하여 날갯짓 비행체 전진비행 상황의 유체-구조 연성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RecurDyn은 다분야 통합 CAE 동역학 해석 소프트웨어이며, Multi-Flexible-Body Dynamics를 핵심으로 제어, 피로해석, 최적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Thrust 전국대학생로켓연합회 NURA 로켓발사대회에서 과기정통부장관상 수상
2024년 08월 11일 NURA 로켓발사대회에서 우리학과 동아리인 Thrust가 과기정통부장관상(대상)을 수상했다.
Thrust는 로켓의 설치와 발사에서부터 각자의 역할을 다하며 완벽한 팀워크를 보여주었다. 특히, 하강 과정에서 낙하산이 안정적으로 펼쳐지며 로켓이 받는 충격을 감소시켜 온전한 모양으로 로켓을 회수했다.
Thust 지도교수인 안재명 교수는 “Thrust는 로켓을 좋아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로켓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늘 노력한다. 작년 학술대회 대상과 이번 발사 대회 대상이 이를 반증한다. 무엇보다 열정을 가진 학생들이기에 Thrust가 앞으로 어떤 성장을 보여줄지 기대가 크다.”며 Thrust 학생들을 격려하였다.
Thrust는 이와 더불어 2024년 로켓학술대회에서 과학창의재단 이사장 상(3위)을 수상하였다.
한국-폴란드 국제방산협력 프로그램 Workshop 개최
2024년 10월 4일, 한국-폴란드 국제방산협력 프로그램 Workshop이 KAIST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이번 워크숍에는 KAIST 이도헌 교무처장을 비롯해 항공우주공학과 이정률 학과장, 기계공학과 김정 학과장, 원자력공학과 장동찬 학과장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내주었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특히 폴란드에서 온 7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여, 그동안의 연구 및 활동에 대한 소감을 발표하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
한국과 폴란드 간의 방산 협력 및 연구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한 이번 워크숍은 두 나라 간의 공고한 협력 관계를 다시 한 번 확인하는 뜻깊은 시간이 되었다.
이동우 박사과정, 2024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학술대회 '최우수논문발표상' 수상
우리 학과 항공우주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지도교수 : 방효충)의 이동우 박사과정은 2024년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학술대회에서 '최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제목: 멀티로터를 위한 SINDy 기반의 비선형 외란 관측기 설계
현대자동차그룹 김철웅 상무, 항공우주공학과 특별세미나 연사 초청
2024년 7월 10일,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한 현대자동차그룹 AAM본부 김철웅 상무의 세미나가 진행되었다.
이번 세미나는 『항공우주공학 관련 산업 동향 및 Supernal 소개』를 주제로, 현대자동차그룹의 AAM 사업과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김철웅 상무는 학생들의 질의에 성실히 답하며, 학생들이 그동안 궁금했던 부분들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정률 학과장은 "산업 현장에 나가있는 선배를 만날 수 있는 시간은 매우 귀하다. 학생들이 세미나를 통해 산업 현장을 더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란다"라며 학생들을 격려했다.
김철웅 상무는 故 홍창선 교수의 제자로 오랜만에 방문한 학교에서 후배들과 소중한 시간을 가질 수 있어 감사하다는 마음을 전했다.
2024년 봄학기 학부생 창의체험학습 개최
항공우주공학과 학부생들이 2024년 7월 5일 대한항공 테크센터를 방문하였다.
여객기의 수리부터 무인기 제작 공정까지 현장을 실제로 방문하고 현장 엔지니어와 직접 대화를 하며, 대한민국의 비행 기술을 배우는 유익한 시간이었다.
이창훈 학사 주임 교수는 "대한항공이 항공우주분야의 대표적인 국내 기업인만큼 학생들이 산업현장에서 선배들을 실제로 만나 미래의 연구자이자 엔지니어로 성장하기를 응원한다"라며 학생들을 격려했다.
방효충 교수 연구실, 2024 Aero Future Tech & Business 아이디어 공모전 대상 수상
우리 학과 방효충 교수 연구실(항공우주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 김영재, 김강산, 임철수, 장보현 연구원이 2024 Aero Future Tech & Business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하였다.
연구명 : 지상 전투차량 방호를 위한 대 드론 원점타격 시스템
이전윤 교수, KAIST Biannual Engineering Research Webzine (Fall 2024) 게시
우리학과 이전윤 교수의 연구가 KAIST Biannual Engineering Research Webzine(Fall 2024)에 아래와 같이 게시되었다.
링크: https://breakthroughs.kaist.ac.kr/sub02/view/id/531
KAIST 항공우주공학과 소개합니다!
KAIST 항공우주공학과 홍보영상이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되었다.
링크: https://youtu.be/zeH87BJ2zq8
2024학년도 가을학기 HAPPY HOUR 성황리 개최
2024학년도 가을학기 HAPPY HOUR가 09.30(월) 성황리에 마무리 되었다. 항공우주공학과는 HAPPY HOUR와 개강파티를 연계하여 학부생과 교수님들이 자연스럽게 친해지고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특별히 이번 HAPPY HOUR에서는 물로켓 발사대회, 교수님들과의 만남, CA와의 만남 등을 통해 학과의 생활에 대한 상황을 공유하면서도 학생들 간의 친목을 도모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었다.
이창훈 학사 주임 교수는 ‘언제나 열정적으로 준비하는 학생회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며 언제나 학생회와 학부생을 적극 지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마수연 학사과정, 학부생연구참여 (URP) 프로그램 장려상 수상
우리 학과 마수연 학사과정 학생이 2024 겨울/봄 학부생연구참여(URP) 프로그램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학생은 우리 학과 비평형 기체 플라즈마 연구실 (KNGPDL)에서 고영일 석사 과정, 전은지 교수님의 지도 아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성과를 2042년 겨울/봄 URP 프로그램 워크샵에서 발표함으로써 위와 같은 성과를 거두었다.
제1회 KSF 장학기금 수혜자로 서종은 박사 선정
2024년 10월 4일에 열린 Air & Space KAIST 2024에서 제1회 KSF(Kwon Sejin Fellowship) 장학기금의 수혜자로 칼텍(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 중인 서종은 박사가 최종 선정되었다.
서종은 박사는 KSF 장학기금으로 총 12만 달러($120,000)를 수여받으며, 1년간 매달 1,000달러씩 지급될 예정이다. 이번 장학기금은 우수한 연구 성과를 이루어 낸 연구자에게 수여되는 특별한 상으로, 앞으로도 KAIST와 글로벌 학문 공동체 간의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태현 박사, Air & Space KAIST 2024 항공우주연구원장상 수상
2024년 10월 4일에 열린 Air & Space KAIST 2024에서 김태현 박사가 항공우주연구원장상을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김태현 박사는 박사과정 재학 중에 우수한 학업 성적과 뛰어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이번 상을 수여받았다.
김태현 박사는 Air & Space KAIST 2024에서 "종이접기 기반의 전개형 우주 방호구조"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며 많은 주목을 받았다.
KAIST와 항공우주연구원은 앞으로도 김태현 박사의 진취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응원할 것이다.
우주항공청 재사용발사체 프로그램장 박순영 박사, 항공우주공학과 정기세미나 개최
2024년 10월 8일(화), 2024학년도 가을학기 항공우주공학과 제 2회 정기세미나가 개최되었다. 본 세미나에서는 우주항공청의 재사용발사체 프로그램장 박순영 박사가 연사로 초청되었다.
박순영 박사는 “우주수송 기술개발 현황과 우주항공청 정책방향” 이라는 제목의 강연을 진행하였으며, 본 강연을 통해 세계 우주산업의 발전 과정과 한국의 우주개발 정책방향에 대해 강연하였다. 학과에서는 강연에 대한 감사 의미로 감사패를 전달하였다.
추이은 학사과정, 학부생연구참여 (URP) 프로그램 최우수상 수상
우리 학과 추이은 학사과정 학생이 2024 겨울/봄 학부생연구참여(URP) 프로그램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추이은 학생은 우리 학과 스마트 구조 및 하드웨어 시스템 연구실(한재흥 교수)에서 ‘유연 메커니즘을 통해 수동적인 날개 변형이 가능한 조류모방형 발갯짓 비행체의 개발’ 연구로 URP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연구 주제: Development of Bird-Inspired Flapping-Wing Air Vehicles Capable of Passive Wing Morphing Using Compliant Mechanism
원글 임정빈[jungbean99@kaist.ac.kr]
편집 이승찬[aero_sc@kaist.ac.kr]
Comment 0
- Total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