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행성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DART
지구로 접근하는 소행성은 인류 전체를 궤멸시킬 가능성이 있는 아주 위협적인 존재이다. 이러한 재난을 예방하는 유력한 방법 중 하나는 소행성의 궤도를 충돌을 통해 변경시키는 것이다. DART(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은 이러한 아이디어의 실현 가능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미션이다.
DART 미션 개요도 (NASA/Johns Hopkins Applied Physics Lab)
DART 미션에서 우주선 DART는 1.8 × 1.9 × 2.6 m의 크기를 가지며, 지름 160m의 소행성 디모르포스에 충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당 소행성은 잠재적 위험이 있는 소행성은 아니지만, 적당한 크기 및 관측의 용이성 등으로 선정되었다. 디모르포스는 지구에서 달까지보다 30배 더 먼 거리에 위치한 지름 160m의 소행성이며, 디디모스와 함께 쌍소행성계를 구성한다. 또한, 무게와 크기 차이 때문에 목표 소행성인 디모르포스가 디디모스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처럼 보인다.
팰컨 9에서 분리된 DART (NASA/Johns Hopkins Applied Physics Lab)
Didymos Reconnaissance and Asteroid Camera for Optical navigation (DRACO)
(NASA/Johns Hopkins Applied Physics Lab)
DART는 질량 610kg의 임팩터(impactor)로 어떠한 과학장비도 탑재되어 있지 않고, 오직 목표물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항법, 통신 등을 위한 장비만 탑재되어 있다. 주요 탑재체로는 DRACO라는 카메라가 있으며, 충돌 전 9만 km 정도의 항법은 해당 카메라를 통해 수행된다. 해당 카메라가 촬영한 충돌 과정은 아래와 같다.
DART는 초속 6km의 속도로 디모르포스에 성공적으로 충돌하여 공전 주기를 32분 감소시켰다. 이는 당초 최저 성공 기준 73초를 훨씬 상회하는 결과이며 NASA에서는 DART 미션의 결과가 성공적이었음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허블 망원경과 제임스 웹 망원경이 관측한 충돌 순간 (NASA/ESA/CSA)
DART 미션의 성공은 더 이상 우리가 우주 재해로부터 무기력하지 않다는 점을 의미하며, 인류가 우주의 작은 물체를 정확하게 조준할 수 있음을 보였다.
원문 이상길[sanggil.lee@kaist.ac.kr]
편집 정바울[bwchung@kaist.ac.kr]
Comment 0
- Total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
No. | Subject |
---|---|
Notice | 자유기고 모집 |
Notice | Fund Raising |
10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9 |
학부생 소식
![]() |
8 |
Fund raising
![]() |
7 |
Photo Album
![]() |
6 |
신규 사업 소개(탄소중립 고효율 가스터빈 연소기술 에너지혁신연구센터)
![]() |
» |
항공우주 이야기(소행성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DART)
![]() |
4 |
Research Highlight (신동혁 교수)
![]() |
3 |
연구실 탐방 (전략적 항공우주 연구실)
![]() |
2 |
동문 인터뷰 (한국항공우주학회 황창전 수석부회장)
![]() |
1 |
특집 인터뷰 (안재명 교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