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개 : 한국항공대학교 이동헌 교수
1. 교수님에 대한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방효충 교수님의 Aerospace Systems and Control Lab.(ASCL) 출신으로 2010년 여름에 박사학위를 수여받고, 카이스트 기계기술연구소, 미국 해군대학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연구 활동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2021년 3월부터,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에서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 교수님께서 방효충 교수님 연구실에서 했던, 그리고 현재 하고 계시는(앞으로 하실) 연구에 대한 간략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방효충 교수님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 중에서 “심우주 유도, 항법, 제어 연구” 주제에 참여하였습니다. 지구 저궤도에서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던 인공위성을 보다 멀리 떨어진 우주 공간에 보내서 우주 탐사 활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유도, 항법, 제어 기술을 다루었던 프로젝트 이였습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매우 흥미롭고 다양한 연구 주제들이 있었습니다.
저는 달 탐사(Lunar Exploration)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지구에서 달까지 가는 비행 궤적을 설계하는 주제를 연구하였습니다. 대학원 시절에서는 저추력(Low-Thrust) 추진 시스템을 이용해서 지구에서 달까지 가는 비행 궤적을 설계하는 기법을 연구하였습니다. 대학원 과정에서 연구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달 탐사(Lunar Exploration), 우주 임무 및 시스템(Space Mission and System), 자율 우주비행시스템 (Autonomous Space-Flight System) 등을 주요 키워드로 연구를 수행하여 왔고 수행할 계획입니다.
3. 미국의 해군대학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활동하셨는데요, 어떤 연구를 하셨고, 어떤 경험을 하셨는지 여쭙습니다
미국 해군대학원에서는 Michael Ross 교수님 연구실에서 박사 후 연수연구원 자격으로 Pseudospectral Optimization 기법을 연구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기법을 인공위성 자세제어시스템에 접목하기 위한 알고리즘 연구와 실험을 수행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미국 연구기관/업체들과 함께 직/간접적으로 공동 연구를 수행하면서 개인적으로 연구 분야의 안목을 넓힐 수 있었던 소중한 경험을 가졌습니다.
미국 해군대학원에서 기술에 대한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우주비행시스템을 이해하고 달 탐사선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에 참여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2022년 8월에 발사될 우리나라 달탐사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일부 참여하였고, 지구에서 달까지 가기 위한 비행 궤적을 설계하는 팀에 참여하였습니다. 2020년 1월 당시 달탐사사업 단장님과 담당자님께서 BTAK이라는 그룹을 달탐사사업단 내에 조직하셨는데, 이 연구 그룹내에서 팀원들과 밤 낮 가리지 않고 달까지 가는 비행 역학에 관한 토론과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이 순간들이 매우 강렬해서 평생동안 잊을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4. 연구를 해오시면서 느끼셨던 어려움, 극복하는 과정에 대해 후배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점이 있다면?
연구를 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부분은 “동기 부여”이였습니다. 좋은 연구 주제가 있더라도 그 주제가 개인에게 적절한 동기 부여가 되지 않는다면, 힘든 연구가 될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동기 부여를 하기 위해 작은 부분이지만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면서 즐거움과 기쁨을 찾으려고 했었고 이 부분이 저에게는 동기부여가 잘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동기 부여는 스스로 만들어 나가야 매우 효과적인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자신에게 맞는 동기 부여 방식을 생각해 보면서 연구를 수행하면, 바람직한 연구 과정과 결과로 연결될 것입니다. 동시에 꾸준함을 갖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5. KAIST에 있을 때 가장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으시다면 무엇인가요?
가장 먼저 떠오르는 기억은 대학원에 진학하고 처음으로 해외 학회에 참여했던 경험입니다. 2005년도에 일본 나고야에서 개최되었던 행사였는데. 당시 석사과정 1년차이였던 저에게는 짧은 기간이지만 수행했던 연구 주제에 관해서 논문도 쓰고, 동료들과 같이 행사에 참여하고, 발표자료를 만들어서 발표했던 기억이 매우 좋았었습니다. 그리고 당시 해외 연구 주제들을 접할 수 있었고 학회 참석이라는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에도 미국, 유럽 등에서 개최되었던 학회들을 참석하면서 제 연구분야와 연관 있는 주제들을 듣고 배울 수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6. 항공과 후배들에게 선배로서 해주고 싶으신 말씀
지도 교수님이신 방효충 교수님께서 해주신 많은 좋은 말씀들이 떠오릅니다. 다시 한번, 방효충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그 중에서도 “지금 자신의 모습은 과거 10년 전부터 열심히 살아왔던 결과이고, 미래 10년 후에 모습은 지금부터 10년동안 노력한 결과이니, 포기하지도 말고 우쭐대지도 않으며 성실하고 꾸준하게 그리고 묵묵히 노력하는 모습이 중요하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저는 이 말씀이 항상 마음속에 깊이 다가옵니다.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는 모든 면에서 세계와 경쟁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갖추었다고 생각됩니다. 그 속에서 여러분들이 원하시는 꿈을 자유롭게 그려 나가고 마음껏 펼쳐 나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원고 이동헌 교수님[donghlee@kau.ac.kr]
편집 진도현[jdohyun7@kaist.ac.kr]
Comment 0
- Total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
No. | Subject |
---|---|
Notice | 자유기고 모집 |
Notice | Fund Raising |
9 |
Photo Album
![]() |
8 |
동문 소개 (Hasan Ahmed ARM 선임 연구원)
![]() |
7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 |
동문 소개 (한국항공대학교 이동헌 교수)
![]() |
5 |
항공우주 핫이슈 (누리호, Nuri, KSLV-II)
![]() |
4 |
Research Highlight
![]() |
3 |
동문 소개 (한국해양대학교 송지수 교수)
![]() |
2 |
연구실 탐방 (비평형 기체 플라즈마 연구실)
![]() |
1 |
학부생 소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