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사업 소개
무인이동체 원천기술 개발사업
“시스템 H/W 연구단” 과제는 과학기술정보통산부 2020년도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에서 선정된 과제이다. 총 사업기간 7년 동안 약 116억의 정부출연금이 달하는 차세대 무인이동체 시장을 선점 할 수 있는 혁신적인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핵심 과제이다. 과제 기간은 2020년 6월부터 2027년 5월까지 7년간 진행된다. 과제 총괄 책임자는 KAIST 항공우주공학과 학과장인 한재흥 교수이며, 국내 무인이동체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연구팀을 구성하였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IST, 한국항공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디브레인, 충남대학교, 단암시스템즈, 인하대학교, 울산대학교, 중소조선연구원, 건국대학교).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무인이동체 사업에서의 시장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 무인이동체 산업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전과 민간분야의 수요급증을 기반으로 2025년까지 글로벌 시장규모 기준 연평균 20% 성장이 전망된다. 무인비행체 시장의 규모는 2025년 23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제 22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무인이동체 기술개발 및 산업성장 전략”자문 보고에서 국내 무인비행체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소형드론을 이용한 임무 분야(재난/감시정찰/농업)의 수요 창출과 민•군 겸용 무인기 기술의 실용화가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차세대 무인이동체는 제한된 동력원, 넓은 운용 범위, 다양한 운용 환경 등을 고려한 발전된 형태의 구조 및 제작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과제의 핵심 목표는 다기능 일체형 구조 개발을 통한 차세대 무인이동체의 시스템 중량을 절감하고 생체모방형 구조 및 재료 적용을 통해 운용 성능 향상 달성과 복합재료 3D 프린팅 기술 확보를 통한 소량 맞춤형 제작 방식에 신속 대응하고 3D 프린팅 제작 구조 성능 및 치수 적합성을 확보하는 것 이다.
- 해당 연구팀은 본 연구를 통해 생체모방형 무인비행체의 개발을 통해 기존 무인이동체들의 한계를 뛰어넘는 차세대 무인이동체를 개발하고, 무인이동체 소형화/경량화와 활용범위 확대를 위해 안테나, 전자장비와 통합된 다기능 구조 개발, 그리고 차세대 무인이동체의 다품종/소량 생산경향에 대응하고 시제품 레벨이 아닌 다양한 무인이동체의 주요 구조 부재 제작을 위한 연속섬유 3D 프린트 복합재 제작 공정 기술을 개발 할 것이다.
Figure 1 최종목표 구상도
이를 통해 국내 무인이동체 사업의 발전 및 시장경쟁력 향상을 위한 핵심 선도 기술을 확보하고자한다. 또한 본 연구팀의 디브레인, 단암시스템즈와 MOU를 체결함으로써, 원천기술 확보 및 사업화를 통해 시장 변화에 대응하는 글로벌 경쟁 우위 및 해외시장 맞춤형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Figure 2 한재흥 교수님 연구실에서 진행 중인 조류모방형 날갯짓 비행체 연구
Figure 3 이정률 교수님 연구실에서 연속섬유 3D 프린트 복합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시편
원문 최재용 [ajchoi@kaist.ac.kr]
편집 김경환 [fddcd@kaist.ac.kr]
Comment 0
- Total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
No. | Subject |
---|---|
Notice | 자유기고 모집 |
Notice | Fund Raising |
9 |
특집인터뷰 (권세진 교수)
![]() |
8 | Photo Album |
7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6 |
학부생 소식
![]() |
» |
신규사업 소개
![]() |
4 |
연구실탐방 (Flight Dynamics and Control Lab.)
![]() |
3 |
동문소개 (청주대학교 김상현 교수)
![]() |
2 |
해외탐방 기고문 (뮌헨 공과대학교)
![]() |
1 |
항공우주 핫이슈 (다시 돌아온 우주비행, 스페이스 크루 데모-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