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한재흥 교수 연구팀, 제자리 비행하는 곤충의 롤방향 비행 안정성 규명.
다운스트로크 중간에서의 대측날개 유무에 따른 유동 구조 변화
우리 학과 졸업생 한종섭 박사(현 뮌헨공대 연구원)과 한재흥 교수는 Scientific Report(2019, 9:17397)에 실린 논문을 통해 곤충이 측풍에 대해 매우 불안정한 비행 상태를 유지한다는 통설과 달리 날개간 상호 작용으로 인해 바깥쪽 날개의 양력이 정상화되며 이로 인해 롤방향 비행안정성이 유지됨을 처음으로 입증하였다.
이상봉 교수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부임.
이상봉 박사가 2019년 12월 20일부로 카이스트 항공우주공학과 조교수로 부임하였다. 이 교수는 2009년 12월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에서 박사후연구원 및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임용 전 University of New Mexico에서 조교수로 근무하였다. 이 교수는 충격파와 난류 유동 간섭현상을 연구하며 대기 유동 및 윈드 에너지를 수치해석과 이론적 접근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왔다.
KAIST-KISTI MOU 체결 – 우리 학과 한재흥 교수 협력위원장으로 활동 예정.
2월 18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와 KAIST간 MOU가 체결되었으며, 앞으로 슈퍼컴퓨팅 및 데이터 활용 공동연구 등을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또한 양 기관의 협력을 주도할 협력위원회(위원장: 우리 학과의 한재흥 교수)를 구성하였으며, 엑사스케일 난류 시뮬레이션 등 공동 연구 주제를 발굴할 예정이다.
이주호 박사, 울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전공 신임교수 임용.
이주호 박사는 우리 학과에서 2010년 1월에 학사학위를, 2016년 8월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지도교수: 한재흥 교수). 이후 우리 학과 연구조교수 및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으며, 2020년 3월부터 울산대학교 기계공학부 항공우주공학전공 신임교수로 임용되었다. 이 박사는 파이로 분리장치, 파이로충격 및 미사일 구조 관련 연구를 주로 수행하여 왔다.
이선호 소령, 육군사관학교 기계공학과 조교수 직급 승진.
우리학과에서 군위탁교육생으로 최한림 교수 지도하에 석사학위를 취득한 이선호 소령이 육군사관학교 기계공학과 조교수로 직급 승진하였다. 2018년 1월부터 육사에 재직하며 국방로봇, 무기공학 교과발전과 머신러닝기반 국방 무인화체계 연구업적, 육군 인공지능발전처 창설을 기획하는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국방개혁을 선도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김상현 박사, 청주대학교 신임교수로 임용.
우리 학과 정보 및 제어시스템 연구실(지도교수: 최한림) 출신의 김상현 박사가 청주대학교 항공학부 무인항공기학전공 조교수로 임용되어 2020년 4월부터 재직하게 되었습니다. 김상현 박사는 최한림 교수 지도 하에 2018년 2월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이후 삼성전자에서 스마트 팩토리용 지능형 무인항공기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 하였습니다. 김상현 박사는 딥 러닝 기반 물체 인식 기법과 다표적 추적 기법, 무인항공기 자율 비행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왔습니다.
이지윤 교수, 공역위원회 민간위원 위촉.
우리 학과 이지윤 교수는 2020년 3월 27일부로 국토교통부 산하의 공역위원회 신규 민간위원으로 위촉되었다. 공역위원회는 항공안전법 제78조의 규정에 의한 공역의 설정 및 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심의하며, 당연직 13명 위촉직 2명으로 구성되어있다. 민간위원 위촉 기간은 2022년 3월 26일까지다.
나아라 선생님, 신규 임용.
나아라 선생님이 2020년 1월 1일부로 우리 학과에 학연행정원으로 신규 임용되었다.
나아라 선생님은 KBS 방송작가로 근무하였고, 한국언론진흥재단 광고직사원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다. 현재 학사 업무와 교과과정 지원 업무 등을 담당한다.
카이스트 기계항공공학부 QS 세계 랭킹 22위(국내 랭킹 1위).
2020 QS 세계대학 학과순위 Engineering-Mechanical, Aeronautical & Manufacturing 분야에서 KAIST 기계항공공학부가 22위를 차지하여 국내 대학 중 가장 높은 성적을 내었다. 작년에 비해 1계단 순위가 상승하여 22위를 기록하였으며, 이어서 서울대학교가 23위를 차지했다.
편집 김경환[fddcd@kaist.ac.kr]
Comment 0
- Total
- 56호
- 55호
- 54호
- 53호
- 52호
- 51호
- 50호
- 49호
- 48호
- 47호
- 46호
- 45호
- 44호
- 43호
- 42호
- 41호
- 40호
- 39호
- 38호
- 37호
- 36호
- 35호
- 34호
- 33호
- 32호
- 31호
- 30호
- 29호
- 28호
- 27호
- 26호
- 25호
- 24호
- 23호
- 22호
- 21호
No. | Subject |
---|---|
Notice | 자유기고 모집 |
Notice | Fund Raising |
9 | Photo Album |
8 |
특집인터뷰 (윤효상 교수)
![]() |
7 |
연구실탐방 (Rocket Lab.)
![]() |
6 |
동문소개 (울산대학교 이주호 교수)
![]() |
5 |
해외탐방 기고문 (UT Austin)
![]() |
4 |
Research Highlight
![]() |
» |
항공우주공학과 News
![]() |
2 |
신규사업 소개
![]() |
1 |
학부생 소식
![]() |